소개글
"한계비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계비용, 총비용, 평균비용의 수학적 관계
1.1. 총비용 함수
1.2. 평균비용
1.3. 한계비용
1.4. 평균비용, 한계비용의 관계
2. 비용곡선과 시장구조
2.1. 비용곡선 개요
2.2. 완전경쟁시장의 균형
2.3. 독점시장의 균형
2.4. 독점적 경쟁시장의 균형
3. 코로나19의 경제적 영향과 정부정책
3.1. 외식업의 수요 및 공급 변화
3.2. 정부의 외식업 지원 정책
3.3. 관련 재화 시장에의 영향
3.4. 외식업의 외부효과와 정부 대책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한계비용, 총비용, 평균비용의 수학적 관계
1.1. 총비용 함수
총비용 함수는 생산을 위해 투입된 모든 비용을 나타낸다. 기업이 재생산 활동을 지속하는데 직접·간접적으로 필요로 하는 비용의 총액을 의미한다.
장기에서는 고정비용과 가변비용을 구분하지 않고 총비용으로 나타낸다. 단기에 반해 장기에서는 생산요소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장기총비용함수(LTC(Q))는 생산량(Q)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수확체감의 법칙에 따라 생산함수의 그래프는 특정 생산량 수준 Q0까지 체증하다가 그 이후에는 체감하는 형태를 보인다. 이를 바탕으로 장기총비용함수의 그래프 개형을 파악할 수 있다. Q0까지는 생산량 증가에 따른 비용 증가가 커지지만, Q0 이후에는 생산량 증가에 따른 비용 증가가 점점 작아진다. 따라서 장기총비용함수의 그래프는 우상향하지만 체감하는 형태를 띤다.
1.2. 평균비용
평균비용은 총비용을 총생산량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즉, 생산된 상품 하나당 얼마의 비용이 사용되었는지를 나타낸다. 평균비용 곡선은 평균고정비용 곡선과 평균가변비용 곡선을 수직 방향으로 더한 값이다.
평균고정비용(AFC)은 고정비용을 산출량으로 나눈 값으로 생산물 한 단위 당 고정비용을 의미한다. 공장 임대료와 감가상각비 등 분자인 고정비용은 고정되어 있지만 분모인 산출량은 계속해서 증가하기 때문에 AFC곡선은 우하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것이 바로 '분산효과'이다.
평균가변비용(AVC)은 일정 생산물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모든 가변비용을 산출량으로 나눈 값으로, 한 단위당 소요된 가변비용을 뜻한다. 평균가변비용은 일반적으로 산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한다. 이는 가변요소들의 수익체감효과 때문으로 우상향한다.
이와 같이 평균비용 곡선은 평균고정비용 곡선과 평균가변비용 곡선의 수직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AC= AFC + AVC이다. 평균비용은 언제나 평균고정비용의 크기만큼 크다. 생산량이 많아질수록 평균가변비용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지만, 평균고정비용은 계속하여 감소하기 때문에 평균비용은 평균가변비용이 증가하더라도 최저점에 늦게 도달하게 된다.
1.3. 한계비용
한계비용은 생산량이 한 단위 증가할 때 나타나는 총비용의 증가분을 말한다. 다시 말해, 한 단위의 생산물을 추가로 생산할 때 발생하는 비용의 증가분을 의미한다.
수식으로 표현하면 한계비용(MC)은 {△TC} over {△Q}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TC는 총비용의 변화분을, △Q는 생산량의 변화분을 뜻한다. 즉, 한계비용은 총비용의 변화분을 생산량의 변화분으로 나눈 값이다.
한계비용은 생산량이 증가할수록 일반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생산요소의 수확체감의 법칙에 따른 것이다. 생산량이 증가하면 보다 한계적으로 효율적이지 않은 생산요소를 투입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비용 증가로 인해 한계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한편, 특정 구간에서는 한계비용이 감소할 수도 있다. 이는 가변요소의 생산성이 증가하여 동일한 생산량 증가에 소요되는 비용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노동의 분업과 전문화로 인해 생산성이 높아지면 한계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한계비용은 생산량 증가에 따른 총비용의 변화를 나타내는 중요한 개념이며, 기업의 이윤극대화를 위한 의사결정에 활용된다.
1.4. 평균비용, 한계비용의 관계
평균비용과 한계비용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장기 총비용함수를 LTC(Q)= f(Q)라고 할 때, 평균비용은 {f(Q)} over {Q}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생산량이 0에서 특정 Q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하적으로 평균...
참고 자료
네이버 블로그(내가 공부한 미시경제학)
네이버 지식백과, 매일 경제
김재영, 박대근, 전병헌 역, Paul Krugman, Robin Wells 저, 『크루그먼의 경제학 제4판』, 2017, 355p~466p.
김경환, 김종석 역, N.Gregory Mankiw 저, 『맨큐의 경제학 7판』, 2017, 84p. 시장실패,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71081&cid=58780&categoryId=58780), 2021.07.06.
파이낸셜 뉴스, 농식품부 배달앱 외식 할인 내달 4일 종료, 김용훈, 2021.06.28.
대체제,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81523&cid=40942&categoryId=31819), 2021.07.07
노형규. 기초미시경제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김동영(2016). 테샛 TESSAT 기본서.
균형가격의 결정 –KDI 경제정보센터(https://eiec.kdi.re.kr/)
미시경제학 - https://m.blog.naver.com/PostList.nhn?blogId=hope8718
미시경제학 - http://kocw.net/home/index.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