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미생물 코로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코로나바이러스의 특징
1.1. 코로나바이러스의 정의와 분류
1.2. 코로나바이러스의 유전체 및 구조
1.3. 코로나바이러스의 감염 과정
2. 코로나바이러스의 종류
2.1. 사람 감염 코로나바이러스
2.2. 동물 감염 코로나바이러스
3.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및 치료
3.1.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법
3.2.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진단 및 치료
4.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현황
4.1. 국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병 발생 현황
4.2. 세계 코로나바이러스 감염병 발생 현황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코로나바이러스의 특징
1.1. 코로나바이러스의 정의와 분류
코로나바이러스는 2019년 12월 아시아권에서 처음 발생한 뒤 대륙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호흡기 감염질환이다. CO는 corona, VI는 바이러스, D는 질병, 19는 발생년도인 2019년에서 따왔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ronavirus Disease 2019;COVID-19)의 법정 감염병은 제1급감염병 신종감염병증후군이다. 기존에는 '신종'감염병의 경우 대부분 지역 명을 따랐으나, 최근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바이러스의 족보를 알아낼 수 있게 되면서 지역 명을 붙이지 않고 코로나19로 명명되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RNA 계열의 숙주로부터 유래된 이중의 인지질 막을 가지고 있어 변이가 빠르고 외부 spike 단백질의 변형 한계가 높다. 이번 COVID-19는 외부 단백질의 변형으로 점액 친화성이 높아져 감염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코로나바이러스 과에는 알파, 베타, 감마, 델타의 4개의 속(genus)이 있으며, 알파와 베타는 사람과 동물에게 감염되지만 감마와 델타는 동물에게만 감염된다. 사람감염 코로나바이러스는 현재까지 6종류가 알려져 있는데, 감기를 일으키는 유형인 229E, OC43, NL63, HKU1과 중증 폐렴을 일으킬 수 있는 SARS-CoV, MERS-CoV가 있다. 이 중 SARS-CoV-2가 COVID-19의 병원체이다. 코로나바이러스는 바이러스 입자 표면에 곤봉 모양의 spike가 존재하며 이는 세포 수용체 결합, 바이러스-세포 융합 등 감염과 병원성에 관여한다.
1.2. 코로나바이러스의 유전체 및 구조
코로나바이러스의 유전체는 보통 바이러스 단백질 ORF들이 5'- Replicase(Rep)-Spike(S)-Envelope(E)-Membrane(M)-Nucleocapsid(N)-3'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종에 따라 비구조적 단백질(Non-structural Protein)의 유전자 순서가 다르거나 Hemagglutinin-esterase (HE) 단백질을 추가로 가지고 있는 경우가 발견된다. HE 단백질은 주로 Murine coronavirus, HKU-1이 속하는 Betacoronavirus 속에만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influenza C virus에서 발견된 hemagglutinin-esterase-fusion (HEF) 단백질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며 수용체 결합과 해리 등에 관여한다. 바이러스의 막단백질들(M, S, E protein)은 주로 소포체(Endoplasmic reticulum)와 '소포체 골지체(Golgi apparatus) 사이 공간(endoplasmic reticulum-Golgi intermediate compartment, ERGIC)'에서 지질 이중막 구조와 함께 성숙되어 최종적으로 비리온을 구성하는데 활용된다.
1.3. 코로나바이러스의 감염 과정
코로나바이러스의 감염 과정은 다음과 같다.
코로나바이러스의 감염은 숙주 세포의 수용체와 바이러스 입자(virion)의 결합에 의해 시작된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특정 종의 숙주에만 감염되는 종 특이성을 가지며, 바이러스의 Spike 단백질이 숙주 세포의 수용체 결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Spike 단백질의 receptor binding domain(RBD)이 주로 관여하며, 바이러스 종류에 따라 수용체 결합 방식이 다양하다. 예를 들어 Mouse hepatitis virus는 RBD의 N말단 부분이 세포 수용체에 결합하고, SARS-CoV, HCoV-NL63, TGEV, HCoV-229E는 RBD의 C말단 부분 또는 중간 부분이 수용체에 결합한다.
숙주 세포의 수용체에 Spike 단백질이 결합하면 바이러스는 세포막과 융합하여 세포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바이러스의 유전체 RNA로부터는 replicase 단백질이 합성되며, 이 replicase 단백질은 바이러스의 RNA 합성과 전사 과정에 관여하는 이중막 소포(double-membrane vesicles, DMVs)를 형성한다.
코로나바이러스의 음성 가닥(negative strand) RNA 합성은 양성 가닥(positive strand) RNA의 3' 말단에서 시작되며, 이를 주형으로 하여 다...
참고 자료
박수은. (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바이러스(SARS-CoV-2) 특징, 전파 및 임상 양상.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27(1), 1-10.
최평균. (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치료제와 백신 전망. Korean Journal of Medicine(구 대한내과학회지), 95(6), 364-369.
김남순. (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현황과 과제. 보건·복지 Issue&Focus, 373(0), 1-13.
송기선, 이유림, 김성민, 김원태, 최정원, 유다현, 유정영, 장경태, 이재왕, 전진현. (2020). 국내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코로나 바이러스의 검사실 내 진단: 현재, 한계점 그리고 직면한 과제.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52(3), 284-295.
송두삼.(2022).실내 밀폐 공간에서 환기를 통한 코로나19 감염 예방.설비저널,51(3),16-22.
배민기, 최은희, 채수미, 김현, 변성수, 김가영.(2020).코로나19 사태를 통해 본 충북의 감염병 발생현황과 예방·관리 방안.연구보고서,(),1-111.
이창한.(2020).코로나 바이러스의 예방과 치료.한국생물공학회소식지,27(2),23-30.
http://ncov.mohw.go.kr/bdBoardList_Real.do?brdId=1&brdGubun=11&ncvContSeq=&contSeq=&board_id=&gubun=
https://covid19.who.int/
김우주, 『신종 바이러스의 습격』, 반니, 2020.3, PP69~70,79~82,105,108,116~117,126~128,129~131
이도연 외 2인, 「국가 융합 R&D 기획을 위한 글로벌 연구개발 과제 정보의 활용연구 : 코로나 바이러스 연구를 중심으로」,『한국융합학회논문지』,제11권 제4호, 2020.4, PP 95-108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정식 홈페이지, 바로알기> 「코로나19란?」, 2020.4, http://ncov.mohw.go.kr/baroView.do?brdId=4&brdGubun=41 , 2020.5.21.
임유 기자, 「美 모더나 "임상서 전원 면역항체 형성"…코로나 백신 연말 나오나」,『한국경제』,2020.5.20.,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0051946971 ,2020.5.21.
조계완 기자, 「WHO, 코로나19 ‘팬데믹’ 공식 선언…“통제될 수 있다”」,2020.3.12.,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932243.html , 2020.5.21
최준호 기자, 「김빛내리 교수, 코로나 비밀 풀었다···RNA 전사체 세계 첫 분석」,2020.4.9., https://news.joins.com/article/23751020, 2020.5.21.
신선미 기자, 「정부 "재양성자,타인 감염시킬 위험 없어…2주 추가격리 않기로"(종합2보)」,2020.5.18., https://www.yna.co.kr/view/AKR20200518068752530 , 2020.5.21.
송경은 기자, 「‘코로나19’ 어떻게 인체세포 침투하나... 결합부위 3D구조 첫 규명」,2020.3.5., https://www.mk.co.kr/news/it/view/2020/03/232515/ ,2020.5.22.
전효진 기자, 「"평균 10년에서 1년 안으로"… 세계 10대 제약사 코로나 백신·치료제 개발, 시간표 빨라졌다」,2020.5.7.,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5/06/2020050604801.html , 2020.5.22
한성간 기자, 「“코로나19 환자, 증상 나타난 후 11일 지나면 감염력 잃어”」,2020.5.26., https://v.kakao.com/v/20200526085425761 , 2020.6.7
김서연 기자, 「코로나바이러스 면역 6개월만 지속..‘집단면역 무의미’」,2020.5.26., https://v.kakao.com/v/20200525204632880?from=tgt , 2020.6.7
김다솜 기자, 「러시아, 코로나바이러스 단 ‘5일’ 만에 없애는 새 치료제 개발했다.」,2020.6.01., https://www.insight.co.kr/news/286658 , 2020.6.7
신선미 기자, 「“코로나19 바이러스 큰 변이없어, 백신개발 문제 생길 위험 적어”」,2020.5.23., https://v.kakao.com/v/20200523160030029?from=tgt ,2020.6.7
김잔디 기자, 「셀트리온 “코로나19 항체치료제 동물실험서 효과..7월 임상목표”」,2020.6.1., https://v.kakao.com/v/20200601103621773 , 2020.6.7
전동혁 기자, 「식약처, 코로나19 치료제 ‘렘데시비르’ 특례수입 승인」, 2020.6.3., https://imnews.imbc.com/news/2020/society/article/5797558_32633.html , 2020.6.7.
주간동아, 「배트(박쥐)보다 강한 배트맨의 생존력」,2020.2.12, https://weekly.donga.com/List/3/08/11/1976792/1 ,2020.5.21.
코로나 바이러스 사진 자료 , https://www.schmc.ac.kr/seoul/selectBbsNttView.do?key=358&bbsNo=221&nttNo=238802 , 202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