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통합교육 장단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통합교육의 개념과 현황
1.2. 통합교육의 필요성 및 중요성
2. 본론
2.1. 통합교육의 장점
2.1.1. 장애아동의 정상화 및 발달 지원
2.1.2. 비장애아동의 이해와 배려 증진
2.2. 통합교육의 단점
2.2.1. 교사의 전문성 부족
2.2.2. 비장애아동 및 학부모의 부정적 인식
2.2.3. 장애아동의 차별과 따돌림
2.3.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2.3.1. 통합교육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확산
2.3.2. 교사 전문성 강화
2.3.3. 비장애아동 및 학부모의 인식 개선
2.3.4. 장애아동 가족의 선입견 해소
3. 결론
3.1. 통합교육의 필요성 재강조
3.2. 향후 통합교육 정책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통합교육의 개념과 현황
통합교육이란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을 차별하지 않고 같은 학급에 배치하여 교육하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어린이집은 이미 통합교육이 시행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통합교육이 더 확대되어야 한다는 여론이 조성되고 있다. 통합교육은 장애아동의 정상화에 큰 도움이 된다. 장애아동이 비장애아동과 함께 생활하면서 자신이 차별받는 존재가 아닌 존중받는 존재라 인식하게 되고, 이는 장애아동의 건강한 자존감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비장애아동에게도 장애인을 차별적 시선으로 바라보지 않고 장애인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방법을 경험적으로 터득하게 한다는 점에서 통합교육은 긍정적이다. 하지만 아직 우리나라 학교가 통합교육을 시행하기에는 준비가 미흡하고, 학부모들의 부정적 인식이 여전히 통합교육을 가로막는 장애물이 되고 있다. 따라서 통합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육현장의 여건을 개선하고 사회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1.2. 통합교육의 필요성 및 중요성
통합교육의 필요성 및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은 장애아동의 정상화와 발달을 지원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장애아동이 비장애아동과 함께 교육받으며 비장애아동의 행동을 모방하고 관찰할 수 있게 되어,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적절한 행동을 습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장애아동이 비장애아동들과 어울리며 자신이 차별받는 존재가 아니라 존중받는 존재라고 인식하게 되어, 장애아동의 건강한 자존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통합교육은 장애아동의 정상화와 발달을 도모하는데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둘째, 통합교육을 통해 비장애아동은 장애인에 대한 차별적 인식을 개선할 수 있다. 통합교육 환경에서 비장애아동들은 장애인이 차별의 대상이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야 할 사회구성원임을 체득하게 된다. 이를 통해 비장애아동들은 장애인을 도움이 필요한 대상으로 인식하면서 이타적 마인드를 가진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다. 따라서 통합교육은 미래세대의 장애인식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통합교육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더욱 밀접하게 상호작용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를 실현하는데 도움이 된다. 통합교육을 통해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이 교류하고 소통하는 과정에서 서로에 대한 이해와 배려의 태도를 익히게 되기 때문이다. 이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포용적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통합교육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를 만드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종합하면, 통합교육은 장애아동의 정상화와 발달을 도모하...
참고 자료
장애아 통합 교육 이진숙, 이희란 외 1명 저 | 어가 | 2020.10.30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교육현황과 선진화 방안 이정림, 김은영 외 2명 저 | 육아정책연구소 | 2012.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