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삼성전자 재무분석
1.1. 재무제표 분석
1.1.1. 재무상태표
삼성전자의 재무상태표는 자산, 부채, 자본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3년부터 2017년까지의 재무상태표를 통해 해당 기간 동안의 재무 현황을 살펴볼 수 있다.
자산 총계는 2013년 154,825,957백만 원, 2014년 164,060,583백만 원, 2015년 168,969,630백만 원, 2016년 174,802,959백만 원, 2017년 198,241,360백만 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는 삼성전자의 자산 규모가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유동자산의 경우 2013년 60,603,694백만 원, 2014년 62,054,773백만 원, 2015년 67,002,055백만 원, 2016년 69,981,128백만 원, 2017년 70,155,189백만 원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현금 및 현금성자산, 단기금융상품, 매출채권 등 유동성이 높은 자산이 지속적으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비유동자산은 2013년 94,222,263백만 원, 2014년 102,005,810백만 원, 2015년 101,967,575백만 원, 2016년 104,821,831백만 원, 2017년 128,086,171백만 원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와 유형자산의 증가에 기인한다.
부채 총계는 2013년 32,455,190백만 원, 2014년 31,383,508백만 원, 2015년 32,541,375백만 원, 2016년 37,256,197백만 원, 2017년 46,671,585백만 원으로 나타났다. 부채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동부채는 2013년 27,597,944백만 원, 2014년 28,208,638백만 원, 2015년 29,630,488백만 원, 2016년 34,076,122백만 원, 2017년 44,495,084백만 원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매입채무, 단기차입금, 미지급금 등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비유동부채는 2013년 4,857,246백만 원, 2014년 3,174,870백만 원, 2015년 2,910,887백만 원, 2016년 3,180,075백만 원, 2017년 2,176,501백만 원으로 변동이 있었다.
자본 총계는 2013년 122,370,767백만 원, 2014년 132,677,075백만 원, 2015년 136,428,255백만 원, 2016년 137,546,762백만 원, 2017년 151,569,775백만 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이익잉여금의 증가에 기인한다.
종합적으로 볼 때, 삼성전자의 재무상태표는 자산과 자본 규모가 지속적으로 늘어났고, 부채 또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삼성전자가 경영 활동을 확대하며 재무 규모를 키워나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1.1.2. 손익계산서
삼성전자의 손익계산서는 매출액, 매출원가, 매출총이익, 판매비와관리비, 영업이익, 기타수익, 기타비용, 금융수익, 금융비용,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법인세비용, 계속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등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개년간 삼성전자의 손익계산서를 살펴보면, 매출액은 2013년 158조 3,720억 원에서 2017년 161조 9,150억 원으로 증가하였다"."
매출원가는 2013년 110조 7,315억 원에서 2017년 101조 3,996억 원으로 감소하였고, 매출총이익은 같은 기간 47조 6,405억 원에서 60조 5,153억 원으로 증가하였다"."
판매비와관리비는 2013년 25조 8,335억 원에서 2017년 25조 6,582억 원으로 감소하였고, 영업이익은 21조 8,070억 원에서 34조 8,570억 원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기타수익과 기타비용, 금융수익과 금융비용의 차이를 고려하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도 2013년 24조 2,172억 원에서 2017년 36조 5,335억 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당기순이익 또한 2013년 17조 9,295억 원에서 2017년 28조 8,008억 원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종합적으로 볼 때 삼성전자는 최근 5년간 지속적인 매출 증가와 함께 비용 절감을 통해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크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1.2. 재무비율 분석
1.2.1. 수익성 비율
수익성 비율은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의 경영 성과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삼성전자의 수익성 비율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총자산순이익률(ROA)을 살펴보면, 2015년 7.4%, 2014년 9.2%, 2013년 12.5%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다. 이는 기업의 수익성이 점차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자기자본순이익률(ROE) 또한 2015년 9.1%, 2014년 11.4%, 2013년 15.7%로 감소하고 있다. 이는 주주들의 출자금에 대한 수익성이 낮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매출액순이익률은 2015년 26.3%, 2014년 28.0%, 2013년 30.1%로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이는 매출액 대비 당기순이익의 비율이 낮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매출액영업이익률 또한 2015년 9.9%, 2014년 10.1%, 2013년 13.8%로 감소하고 있어, 영업활동을 통한 수익성도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삼성전자의 다양한 수익성 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