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공공성과 민간위탁
1.1. 공공성의 의미
공공성이란, 개인이나 특정 집단의 사적 이해를 넘어서는 공익적인 성격을 의미한다. 즉, 공중의, 일반 국민의, 공공에 속하는 - 다수의 국민에게 공통적 혹은 보편적인 것을 말한다. 이는 유사개념인 공익과 개방성(openness)과도 관련이 있는데, 공익은 소수의 특정이익에 치우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며, 개방성은 누구에게나 열려 있고, 누구의 접근도 거부하지 않는 공간이나 정보 등을 의미한다. 따라서 공공성은 개인이나 특정 집단의 사적 이해를 넘어서는 공익적 성격을 가지며, 다수의 국민에게 공통적이고 보편적인 것을 지향한다고 볼 수 있다."
1.2. 민간위탁반대론
민간위탁 반대론자들은 민간위탁이 오히려 비효율과 서비스 공급 비용의 상승, 관리 감독 등 사회적 비용의 증가, 서비스의 질적 수준의 저하, 정부와 민간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부패와 부정, 정부의 책임성과 공공성 저하, 사회적 약자의 부당한 해고, 정부의 고용력 상실, 정부의 서비스 관련 전문성의 상실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비용절감은 인정하지만 그것이 곧 효율성 증가를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반론이 있다. 이를 주장하는 학자들은 대부분의 비용절감이 노동자의 축소나 임금 삭감에 기초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Hirsch는 더 긴 노동시간과 더 낮은 임금은 비용을 절감시키기는 하지만 효율성을 증진시키는 것은 아니라고 비난한다.""
또 비용 절감이 아니라 비용 전가가 일어날 수도 있다. 계약당사자인 정부와 수탁업체에게는 이득이 되지만 서비스의 수요자들에게는 비용 절감이 아니라 피해가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민간위탁의 결과로 비용이 감소한다고 하더라도 이는 반드시 그 공공서비스의 최종 수요자가 지불하는 비용의 감소를 의미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비용 절감된 부분은 서비스 공급자의 몫으로 환원되고 실제로 서비스 수요자들은 원래 약정된 비용을 그대로 지불할 수 있다.""
Savas는 민간위탁의 반대의 논거를 다음과 같이 들고 있다. ① 민간위탁은 비용이 더 많이 든다. ② 능력 본위의 고용 원칙을 무색하게 하고 법을 전복시킨다. ③ 위기 상황에 대처하는 정부의 유연성을 저해한다. ④ 수탁기관의 파업과 태업, 파산 등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지 못한다. ⑤ 민간위탁은 잘 작성된 계약에 의존하는데, 이는 어려운 작업이고 그 결과로 정부는 책임과 통제능력을 상실하게 된다. ⑥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기 어렵게 만든다. ⑦ 서비스의 공급을 민간기관에 의존하게 되면 민간기관의 정치적인 역량은 증대하고 그 기관은 정부로 하여금 더 많이 지출하도록 로비할 수 있다. ⑧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