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마음을 읽어주는 미술치료 기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그림책 분석
1.1. 나를 알고 존중하기: 「강아지똥」
1.1.1. 주제와 소재
1.1.2. 등장인물의 성격 묘사
1.1.3. 매체의 특성
1.1.4. 내용 소개
1.2. 사회에 관심 가지기: 「구리와 구라의 빵 만들기」
1.2.1. 문학적 특징
1.2.2. 미술적 특징
1.3. 아름다움 찾아보기: 「나랑 같이 놀자」
1.3.1. 문학적 특징
1.3.2. 미술적 특징
2. 반응중심 문학 활동
2.1. 「강아지똥」 이야기 나누기
2.1.1. 활동 목표
2.1.2. 활동 방법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그림책 분석
1.1. 나를 알고 존중하기: 「강아지똥」
1.1.1. 주제와 소재
「강아지똥」의 주제는 "강아지 똥처럼 쓸모없다고 여겨졌던 것이 자신을 희생하여 한 소중한 생명을 꽃 피울 수 있다"는 내용이다. 소재로는 강아지 똥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자연물로 친근감이 있다는 점에서 선정되었다. 즉, 주제는 생명의 가치와 자신을 희생하여 타인을 돕는 것에 대한 소중함을 말하고 있으며, 소재는 친근한 자연물인 강아지 똥을 사용하여 이를 표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구리와 구라의 빵 만들기」의 주제는 친구와 함께 즐겁게 어려운 일을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소재로는 숲 속에서 큰 알을 발견하고 빵을 만드는 과정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유아들에게 친숙한 소재로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즉, 주제는 친구와의 협력을 통한 어려움 극복이며, 소재는 빵 만들기라는 유아들에게 익숙한 활동을 활용하여 이를 표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1.2. 등장인물의 성격 묘사
등장인물의 성격 묘사는 다음과 같다.
강아지똥은 자신이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것으로 여겨진다는 인식을 지니고 있지만, 자신이 소중한 생명을 꽃 피울 수 있다는 것을 깨닫고 기쁨을 느끼는 순수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다. 참새는 강아지똥을 더럽다고 여기며 피하는 배타적이고 편견을 지닌 성격이다""하고, 흙덩이는 강아지똥을 격려해 주는 따뜻하고 자상한 성격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어미닭과 병아리들은 강아지똥이 아무런 쓸모가 없다고 외면하는 이기적인 모습을 보인다""는데, 이는 강아지똥의 입장에서 보면 섭섭하고 상처받는 감정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민들레는 강아지똥의 소중한 가치를 인정하고 감사의 마음을 표현하는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1.3. 매체의 특성
「강아지똥」을 그림책으로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내용이 훌륭할 뿐만 아니라 그림을 그린 정승각의 힘도 크다고 할 수 있다. 정승각은 강아지똥을 잘 표현하기 위해 직접 점토로 강아지똥을 만들어 보기도 했다고 한다.
「강아지똥」은 첫 페이지부터 마지막 페이지까지 그림 하나하나가 정성이 가득하고 버릴 페이지가 없다. 또한 똥을 누는 흰둥이의 뒷모습이나 강아지똥을 둘러싼 참새며 병아리의 모습이 사실성이 넘친다. 그러면서도 강아지똥이 빗물에 녹아서 민들레꽃을 피우는 장면은 '별빛 모인다, 디지털화 된다.' 등으로 표현할 수 있는 독특한 모습으로 표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앞표지에 강아지똥이 누워있던 자리에 뒷표지에 민들레가 곱게 피어있어, 강아지똥이 한 의미있는 일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강아지똥」의 그림은 내용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독특한 화면 구성과 소재의 활용으로 독자들에게 친근하면서도 심미적, 정서적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구리와 구라의 빵 만들기」...
참고 자료
네이버 책, 「구리랑 구라의 소풍」.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82599
네이버 책, 「나랑 같이 놀자」,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1738083
네이버 책, 「강아지똥」,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82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