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빵하고 우유를 사러가다 ~에 가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이슬이의 첫 심부름 도서 선정 이유
1.2. 유아의 발달과 문화적 접근의 중요성
2. 이슬이의 첫 심부름 도서 분석
2.1. 저자 소개
2.2. 줄거리
3. 이슬이의 첫 심부름 수업활동 계획안
3.1. 심부름 가는 길에(동요 배우기)
3.2. 거스름돈 100원 나누기(수/조작 활동)
4. 유아 음식 문화의 변화 분석
4.1. 전통적인 한국 식문화의 특징
4.2. 현대 한국 식문화의 변화
5. 가정 내 식재료 소비 분석
5.1. 자신의 가족 식재료 소비 패턴 분석
5.2. 식문화 변화에 따른 해석
6. 결론
6.1. 전통 식문화 계승과 현대적 발전 모색
6.2. 음식 문화의 사회적 의미와 나눔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이슬이의 첫 심부름 도서 선정 이유
유아의 발달수준에 적합한 그림책을 선정하기 위해 인터넷 검색을 하던 중 어린이 도서 연구가 황경숙 씨의 추천 도서를 접하게 되었다. 집 근처 도서관에 방문하여 추천 도서 20개 중 5권의 책(이슬이의 첫 심부름, 충치 도깨비 달달이와 콤콤이, 티치, 바바빠빠, 무지개 물고기)을 읽어보았다. 이 중 아이들이 성취감을 느끼는 심리를 섬세하게 그린 이슬이의 첫 심부름을 만5세 연령에 맞는 도서로 선정하게 되었다. 그 이유는 우선 책의 내용이 저의 어린 시절 첫 심부름을 했을 때의 심리와 비슷한 부분이 많아 모든 아이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유익한 내용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활동 방법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주인공이 다섯 살 아이인 점이 마음에 들어 이 책을 선정하게 되었다.
1.2. 유아의 발달과 문화적 접근의 중요성
유아의 발달과 문화적 접근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유아의 발달은 신체적, 인지적, 사회·정서적 영역을 고루 포함하며, 이러한 발달을 위해서는 유아가 속한 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유아기는 결정적 시기로 불리는데, 이 시기에 형성된 가치관과 습관은 향후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유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해서는 가정과 사회, 문화가 서로 긍정적으로 기여해야 한다. 특히 유아에게 익숙한 문화적 맥락에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아의 발달 특성상 가정이라는 1차 사회화 기관에서의 영향력이 크다. 부모나 가족의 가치관과 양육 방식이 유아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가정의 문화적 환경이 유아의 발달을 지원하고 풍성하게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유아기에는 또래 집단과의 상호작용이 활발해지면서 또래 문화의 영향력도 커진다. 따라서 유아교육기관에서 또래와의 건전한 상호작용을 통해 또래 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와 존중, 협력적 문제해결력 등을 기를 수 있다.
이처럼 유아의 발달을 위해서는 가정과 지역사회, 국가 차원에서의 문화적 접근이 필요하다. 유아기에 경험하는 다양한 문화적 요소들은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지원하고, 더 나아가 미래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성장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2. 이슬이의 첫 심부름 도서 분석
2.1. 저자 소개
저자 쓰쓰이 요리코는 1945년 동경에서 태어났습니다. 사이다마현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광고회사에 근무했고 현재는 3명의 아이들을 키우면서 많은 그림책과 동화를 쓰고 있습니다. 작품에는 [순이와 어린동생], [이슬이의 첫 심부름], [혼자 가지마] 등 다수가 있습니다.
2.2. 줄거리
이슬이는 혼자 밖에 나가 본 적이 없는 다섯 살 아이입니다. 어머니는 우유를 사 오라고 이슬이에게 첫 심부름을 부탁합니다. 이슬이는 엄마와 두 가지 약속을 합니다. 차 조심하기! 거스름돈 잊지 않기! 이슬이는 동전 두 개를 받아서 손에 꼭 쥐고 집을 나섭니다. 가는 길에 자전거가 다가와 가슴이 철렁하기도 하고 친구를 만나 얘기도 나누고 언덕길에서는 돌부리에 넘어지기도 하지만 가게에 무사히 도착합니다. 하지만 가게에는 아무도 없었고 이슬이는 용기 내어 "우유주세요."라고 말하지만 아무도 나오지 않습니다. 때마침 담배를 사러 온 아저씨, 빵을 사러 온 아줌마 덕분에 가게 ...
참고 자료
쓰쓰이 요리코, 이슬이의 첫 심부름, 한림출판사, 1991
안혜준 외, 놀이지도, 파워북, 2016
네이버 지식백과, 5세 꼭 읽어주어야 할 책 베스트 2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614941&cid=59325&categoryId=59327
키드키즈, http://www.kidkids.net/
나은경. “먹는 방송”과 “요리하는 방송” 음식 미디어에 대한 커뮤니케이션학적 탐색: 텔레비전 먹방/쿡방 유행의 사회 문화적 배경과 뉴미디어 이용 요인.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8: 183-215(2015)
윤선민, 김명희. 음식콘텐츠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 선호유형 연구: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외식조리관리학과.
곽노필 기자. 한국, 50년 동안 곡물 절반 줄고 고기 6배 늘었다. 한겨레. 2014.10.21.
최원형 기자. 현대 한국인의 의식주, 어떻게 변해왔나. 한겨레. 2017.12.7.
김선업 외. 한국사회 음식 문화의 현대적 전개 : 식사 양식과 음식정체성을 중심으로. 동양사회사상학회. 2016.
최준식. 한국 음식은 '밥'으로 통한다 (우리 음식문화 이야기). 한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