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건강검진실 실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유방암에 대한 문헌 고찰
1.1.1. 유방암의 정의
1.1.2. 유방암의 종류
1.1.3. 유방암의 증상
1.1.4. 유방암의 위험인자
1.1.5. 유방암의 진단
1.1.6. 유방암의 치료
2. 건강검진
2.1. 건강검진의 목적
2.2. 건강검진의 종류
2.2.1. 국가건강검진
2.2.2. 특수검진
2.2.3. 종합검진
2.2.4. 기타검진
2.3. 건강검진의 비용
2.4. 건강검진 대상
2.5. 건강검진 진행과정
2.6. 건강검진 전 유의사항
3. 신체검진실 실습
3.1. 신체계측 실습
3.1.1. 시력검사
3.1.2. 청력검사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유방암에 대한 문헌 고찰
1.1.1. 유방암의 정의
유방암이란 우리 몸의 정상세포가 무제한으로 자라는 악성종양으로, 보통 유관(젖줄)과 유소엽(젖샘)의 상피세포에서 발생한다. 유방암은 유방에 발생하는 모든 악성 종양을 통칭하는 말이다. 우리나라에서 유방암의 발생이 꾸준히 증가하여 2001년부터 여성 암 중 가장 많은 암이 되었으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처럼 유방암은 여성 건강을 위협하는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이다.
1.1.2. 유방암의 종류
유방암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암이 기원한 세포의 종류 및 침윤 정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대표적인 유방암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침윤성 유관암(Invasive Ductal Carcinoma, IDC)은 유방암의 대표적인 유형으로 전체 유방암의 75~85%를 차지한다. 유관을 이루는 세포에서 기원한 암이 유관의 기저막을 침범한 경우이다.
침윤성 소엽암(Invasive Lobular Carcinoma)은 소엽을 구성하는 세포에서 기원한 암으로 전체 유방암의 5~10%를 차지한다. 침윤성 유관암과 예후는 비슷하지만 다발성, 양측성의 빈도가 더 높다.
유관 상피내암(Ductal carcinoma in situ, DCIS)은 유관 기저막을 침범하지 않은 0기 암이다. 침윤성 유방암보다 예후가 좋지만, 암세포가 기저막을 뚫고 성장하면 침윤성 유관암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다.
소엽 상피내암(Lobular carcinoma in situ)은 소엽 기저막을 침범하지 않은 0기 암으로, 젊은 연령층에 흔하고 다발성, 양측성의 빈도가 높다.
유방 파제트암(Paget's disease)은 전체 유방암의 1~2% 미만으로, 유두 및 유륜의 피부에 주로 발생하는 유방암이다.
남성 유방암(Breast cancer among men)은 여성 유방암의 1% 이하 빈도로 발생하며, 침윤성 유관암이 가장 흔한 형태이다.
이처럼 유방암은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 유형별로 특징과 발생 빈도, 예후 등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1.3. 유방암의 증상
유방암의 증상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초기에는 무증상인 경우도 많지만, 일반적으로 유방 내 무통성 종물이나 멍울, 유두 분비물, 피부 변화, 유두 함몰, 유두의 습진성 병변, 겨드랑이의 응어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유방의 멍울이나 종물은 유방암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으로, 종물이 단단하고 고정되어 있으며 표면이 불규칙한 경우가 많다. 유두 분비물은 보통 피, 고름, 악취가 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한쪽 유두에만 국한되는 경우 유방암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유방 피부가 움푹 패이거나 빨갛게 부어오르고 통증이 있는 경우는 염증성 유방암일 가능성이 높다.
대부분의 유방암 증상은 유방암이 진행될수록 더욱 뚜렷해지고 악화된다. 초기 유방암은 크기가 작고 고정되지 않은 무통성 종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지만, 암이 진행될수록 종물이 커지고 주위 조직에 고정되며 통증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여성들은 정기적인 자가 검진을 통해 초기 증상을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1.1.4. 유방암의 위험인자
유방암의 위험인자는 크게 호르몬 요인, 유전 요인, 연령 및 출산, 비만, 음주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호르몬 요인이다. 에스트로겐(estrogen)에 오래 노출될 경우 유방암 발생의 위험도가 증가한다. 경구 피임약 복용, 폐경 후 호르몬 치료 등이 그 예이다.""
둘째, 유전 요인이다. 유방암 발생에 5~10% 정도의 유전적 요인이 관여한다. 직계 가족이나 2대 친척 중 유방암에 걪린 사람이 있는 경우 유방암 발생 위험성이 높다.""
셋째, 연령 및 출산 요인이다. 유방암은 40세 이후의 여성에게서 주로 발생하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발생 빈도가 증가한다. 또한 자녀가 없거나 늦게 출산한 여성, 수유를 하지 않은 여성에서 유방암 발생 위험이 높다.""
넷째, 비만 요인이다. 폐경 후 여성의 비만은 유방암 발생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한다.""
다섯째, 음주 요인이다. 과도한 음주는 유방암 발생 확률을 높인다.""
이처럼 유방암의 발생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특히 호르몬 요인과 유전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1.5. 유방암의 진단
유방암의 진단은 다양한 검사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먼저 유방 자가검진은 자신의 유방을 스스로 만져보아 멍울이나 이상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조기에 발견함으로써 완치율과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유방촬영술(mammography)은 90~95%의 정확성을 가지며 유방암 조기 진단에 매우 이상적인 검사 방법이다. 특히 유방이 고밀도일수록 유방촬영술의 민감도가 낮아지므로 초음파검사를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방초음파검사는 유방 낭종의 경우 90~99%의 정확도로 진단할 수 있고, 악성 종...
참고 자료
김명아,신수, 『병원검사 길라잡이』, 의학서원, 2014
송미순,김달숙,최스미,전명희, 『진단적 검사와 간호』, 현문사, 1996, 15-16, 160, 177-179, 225-229
사이언스올 과학사전, [안저], http://www.scienceall.com/%ec%95%88%ec%a0%80fundus-eyeground/
약학정보원, [아트로핀], http://www.health.kr/drug_info/basedrug/show_detail.asp?idx=12433
네이버 건강백과, [자기공명영상]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7617&ref=y&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네이버 건강백과, [컴퓨터단층촬영]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7610&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네이버, [자동안압계 tonometer]
http://blog.naver.com/vp1000?Redirect=Log&logNo=150103240806
네이버,[무산동안저카메라]
http://im-tech.kr/150103239080
네이버 건강백과, [폐기능 검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575&cid=51007&categoryId=51007
강동경희대병원, [대장용종제거]
http://www.khnmc.or.kr/intro.do
https://www.amc.seoul.kr/asan/main.do 서울아산병원
https://www.kbcs.or.kr/main/main.html 한국유방암학회
노인 간호학 4판, 박명화 외, 학지사 메디컬, 2019년
여성건강간호학 7판 강남미 외, 학지사 메디컬 2019년
https://www.cancer.go.kr/ 국립암센터
강릉의료원 검진실
https://www.nhis.or.kr/nhis/index.do 국민건강보험공단
질병관리청, “지역사회건강조사”, https://chs.kdca.go.kr/chs/index.do, (2022.10.28.)
강남구보건소, “강남구보건소”, https://health.gangnam.go.kr/main.do, (2022.10.28.)
하남시보건소, “하남시보건소”, https://www.hanam.go.kr/health/index.do, (2022.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