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네오다다이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네오다다이즘과 플럭서스
1.1. 네오다다이즘
1.1.1. 정의와 특징
1.1.2. 대표 작가: 로버트 라우센버그, 재스퍼 존스
1.2. 플럭서스
1.2.1. 정의와 특징
1.2.2. 포스트 모더니즘과의 관계
1.2.3. 백남준과 플럭서스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네오다다이즘과 플럭서스
1.1. 네오다다이즘
1.1.1. 정의와 특징
네오다다이즘은 제2차 세계대전 후, 미국에서 추진된 전위예술운동이다. 제1차 세계대전 중에 일어난 다다의 운동을 정신적으로 이어받고 기존의 가치체제를 부정하며, 일상적인 오브제나 그 파편을 주위에서 떼내어 화면에 도입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자 했다. 즉, 다다 운동이 주로 기존 가치의 부정을 목적으로 파괴와 반항으로 시종한 데 비해, 네오다다이즘은 반예술적 활동을 그대로 창조 행위로 전화하고 여기에 적극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특징이다. 역사적으로 볼 때, 네오다다이즘은 제2차 세계대전 직후의 기하학적 추상과 추상표현주의의 대립 뒤에 등장한 전혀 새로운 입장으로, 유럽의 누보 리알리슴 운동에 호응해 일어났다.
1.1.2. 대표 작가: 로버트 라우센버그, 재스퍼 존스
로버트 라우센버그(Robert Rauschenberg, 1925~2008)는 네오다다이즘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한 명이다. 1940년대 후반 제스퍼 존스와 함께 북캐롤라이나의 블랙마운틴 대학에서 조지프 알버스와 존 케이지의 영향을 받았다. 1955년에는 이건 갤러리에서 사진, 인쇄물, 신문 조각 등을 결합한 혼성적 작품인 "컴바인 페인팅(Combine Painting)"을 선보였다. 이 작품은 추상표현주의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화가의 감정 표현에서 벗어나 회화와 조각, 실재와 허상 사이를 넘나드는 특징을 보여준다. 라우센버그는 추상표현주의와의...
참고 자료
김기미(1998),플럭서스 예술에 나타난 사회성에 관한 연구,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고충환(1990),20세기 현대미술의 변화와 모색 9,미술세계
김홍희(1998),플럭서스의 탄생과 그 배경,미술세계
최지나(2014),백남준작품연구:시간성을 중심으로,상명대학교일반대학원 석사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