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효과적인 한국어발음 교육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효과적인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
1.1. 서론
1.1.1. 교수 대상
1.1.2. 학습자의 특징
1.2. 새도잉 방법에 의한 발음 교육
1.2.1. 새도잉의 특징
1.2.2. 새도잉의 효과
1.2.3. 새도잉을 통한 영어권 학습자의 발음 교육 방안
1.3. 결론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효과적인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
1.1. 서론
1.1.1. 교수 대상
교수 대상은 중급 이상의 영어권 학습자이다. 중급 이상의 영어권 학습자는 한국어에 있는 평음-유기음-경음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아 세 음이 혼란을 보이며 평음은 유기음이나 경음으로, 경음은 유기음으로 발음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모음에서는 'ㅗ'가 'ㅓ'처럼, 'ㅓ'가 'ㅗ'처럼, 'ㅡ'는 'ㅣ'나 'ㅓ'처럼 발음되는 오류가 관찰된다.
1.1.2. 학습자의 특징
영어권 학습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영어권 학습자는 한국어에 있는 평음-유기음-경음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아 세 음이 혼란을 보이며 평음은 유기음이나 경음으로, 경음은 유기음으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유기음을 잘못 발음하는 경우도 있지만 일부 외파 현상이 발견된다. 모음에서는 'ㅗ'가 'ㅓ'처럼, 'ㅓ'가 'ㅗ'처럼, 'ㅡ'는 'ㅣ'나 'ㅓ'처럼 발음하는 등 한국어 모음의 정확한 발음에 어려움을 겪는다.
1.2. 새도잉 방법에 의한 발음 교육
1.2.1. 새도잉의 특징
새도잉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섀도잉은 학습자가 듣는 것을 따라하는 과업으로 정의되며, 이때 '듣고 따라하기'와 같이 들리는 문장이 완전히 끝나고 따라하는 것이 아니라 그 문장이 끝나기 전에 그림자처럼 따라 읽어...
참고 자료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교육 연구/창성난/부산대학교/2016
자기피드백을 활용한 한국어 발음교육 방안 연구/김민지/부산대학교/2013
김설 외, 중국 초급 한국어 교재의 발음 영역 구성 방안 연구 : 비음화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8.
김진호,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 비음화 오류 현상을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8.
이화진, 한국어 비음화의 오류 유형과 원인 분석 - 중국인 학습자와 일본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 연세대학교언어정보연구원, 2018.
김지형, 한국어발음교육론 강의 6차시 1강, 언어권별 한국어 발음 :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박미향, 김영주 (2017). 딕토섀도잉, 딕토글로스, 섀도잉이 L2 듣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동악어문학
박정은, 이주희 (2008).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교재의 분석과 개선방향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