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평생교육 현장실습 유형 장단점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평생교육 현장실습의 유형과 장단점
1.1. 평생교육 현장실습의 유형 이해
1.2. 평생교육 현장실습 유형별 장단점
1.2.1. 학기 중 실습
1.2.2. 방학 중 실습
1.2.3. 시간제 실습
1.2.4. 근무지 실습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평생교육 현장실습의 유형과 장단점
1.1. 평생교육 현장실습의 유형 이해
평생교육 현장실습의 유형은 크게 실습 시기에 따라 '학기 중 실습'과 '방학 중 실습'으로 구분되며, 또한 실습 시간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시간제 실습'과 평생교육 기관 현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재직 기관에서의 '근무지 실습'도 한 유형을 차지하고 있다.
먼저, '학기 중 실습'은 학기 중 특정 요일을 지정하여 하루 8시간 이상 총 160시간의 실습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습 기관의 사정에 따라 실습일이 바뀔 수 있으나, 사전에 양성 기관과 실습생의 동의를 구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실습생에게 특별한 사정이 있을 때에도 실습 지도자와 미리 논의하여 실습일을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방학 중 실습'은 방학 기간을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4주간, 160시간을 해당 실습 기관에서 실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주 5일(월~금)이며, 매일 8시간 정도 실습하고, 실습 기관의 사정에 따라서는 주말에 실습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시간제 실습'은 직장이나 특별한 사정으로 인해 야간이나 특정 요일, 특정 시간을 이용하여 실습 기회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때때로 실습 기관에 고용된 상태에서 실습 업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간제 실습의 경우, 실습 기관에서 담당하는 업무 내용 중 특정한 부분을 선정...
참고 자료
전용복, 평생교육 현장실습론, 2019, 조은
오중근, 배숙영, 평생 교육 실습론, 2018, 항공신문
평생교육실습 교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