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AI가 인적자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인공지능과 인적자원관리
2.1. 인적자원관리의 개념
2.2. 인공지능의 특징과 활용
3. HR 분야에서의 인공지능 도입 사례
3.1. IBM Watson Talent
3.1.1. Watson Recruitment
3.1.2. Watson Career Coach
3.1.3. Watson Talent Development
3.1.4. Watson Talent Frameworks
3.1.5. Watson Talent Insights
4. 인공지능 도입이 HR에 미치는 영향
4.1. 효율성과 정확성의 향상
4.1.1. 데이터 분석
4.1.2. 패턴 인식
4.1.3. 예측 모델링
4.2. 개인화된 경험 제공
4.2.1. 개인화된 훈련
4.2.2. 개인화된 경력 개발 계획
5. HR 분야에서의 인공지능 활용과 발전 방향
5.1. AI와 HR의 융합
5.1.1.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5.1.2. 예측 모델링을 통한 의사결정
5.2. 개인화된 경험 제공
5.2.1. 개인화된 훈련
5.2.2. 개인화된 경력 개발 계획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기존의 1차 산업과 2차 산업 등의 급속한 붕괴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UN보고서에 의하면 제4차 산업혁명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경우 현재 직업의 60~70%가 사라지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런 가운데 새로운 유망직종으로 제 4차 산업혁명의 시기에 맞춰 인공지능(AI)가 세간에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인공지능(AI)은 전세계 4차산업 혁명의 시대를 맞이하여 매우 빠른 속도로 각 산업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인류가 생성형 인공지능과 공존하고 이를 활용하여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에서 인류는 어떤 일을 할 수 있고 또 어떤 능력을 배워야 할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다. 인공지능이 신입사원부터 퇴사를 준비하는 임직원까지 관리하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인적자원(HR) 분야에서 AI가 업무 효율성 제고, 핵심 인재 선별, 교육 및 퇴사 등에 있어 모든 인사권을 관리하고 통제하고 있다. HR은 기업 내에서도 가장 보수적인 부서로 모든 인적관리를 행하는바 사람의 할 일을 AI가 대신해 주고 있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효율성을 높이면서 HR 부서 가치를 끌어올리고 있다.
2. 인공지능과 인적자원관리
2.1. 인적자원관리의 개념
인적자원관리(HR)는 조직의 인력을 관리하고, 개발하며, 유지하는 데 필요한 모든 활동을 포함하는 분야이다. 이는 채용, 훈련, 평가, 보상, 직원 관계 관리 등을 포함한다.
인적자원관리는 조직의 성공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적절한 인력을 채용하고, 그들의 능력을 최대한 활용하며, 그들이 조직에 장기간 머무를 수 있도록 돕는 것은 모든 조직의 핵심 목표 중 하나이다.
인적자원관리의 주요 활동에는 채용, 훈련 및 개발, 평가, 보상, 직원 관계 관리 등이 있다. 이를 통해 조직은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고, 직원의 역량을 향상시키며, 직원들의 만족도와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최근 인적자원관리 분야에서도 기술의 도입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인공지능(AI)의 도입은 이 분야에서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AI는 데이터 분석, 패턴 인식, 예측 모델링 등을 통해 HR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2.2. 인공지능의 특징과 활용
인공지능(AI)은 사람과 유사한 수준의 인지 능력을 갖추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인공지능의 주요한 특징과 활용 분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 인간의 학습능력, 추론능력, 지각능력, 자연어의 이해능력 등 지능적인 행동들을 모방할 수 있다. 기계 혹은 시스템에 인공적으로 구현된 지능을 의미하는 인공지능은 문제 해결, 의사 결정, 자동화, 패턴 인식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 인공지능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 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은 생활 속 다양한 서비스와 제품에 활용되고 있다. 인공지능 스피커, 챗봇, 자율주행 자동차, 외국어 자동번역기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처럼 인공지능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며 우리 일상생활 속에 깊숙이 침투하고 있다.
셋째, 인공지능은 기계학습, 패턴인식, 탐색, 논리추리, 자연어처리, 딥러닝 등의 핵심 기술을 활용한다. 기계학습은 컴퓨터가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장 대표적인 인공지능 방법론이다. 또한 패턴인식 기술은 문자, 도형, 음성정보의 구체적인 표현에도 불구하고 인간이 쉽게 인식하는 것과 같은 능력을 컴퓨터에 구현한다. 탐색, 논리추리, 자연어처리, 딥러닝 기술 역시 인공지능의 주요 기반이 되고 있다.
이처럼 인공지능은 사람과 유사한 수준...
참고 자료
공용(2023), 레포트, AI 인공지능의 장단점과 합리적 사용방안
김성준 (2013). 빅데이터, 인재를 말하다. 인더비즈.
김성준 (2018). 인재경영, 데이터사이언스를 만나다. 클라우드나인.
김학수, 김성준, 김태진, & 이진규. (2011). 구조적 면접에서의 면접관 성격과 과정적 효과성간 관계에서 비구조적 면접 경험의 조절역할. 인사조직연구, 19, 99-134.
노규성 (2014). 구글이 퇴사율 줄인 비결… 인사에도 빅데이터 접목. 한국경제.
배성숙 (2018). 기업의 채용선발 도구로서 인적성검사와 NCS 직무능력평가에 관한 비교 연구.기업경영리뷰, 9(3), 103-121.
양철민 (2018). 짜깁고 베낀 자소서… AI는 딱 보면 안다. 서울경제.
https://www.sedaily.com/NewsVIew/1RUKDBB7M3
오인수, 서용원(2002). 구조화된 역량기반 채용면접 체계: 이론적 고찰과 개발 사례. 인적자원개발연구, 4(1), 49-75.
이동인, 원호섭 (2015). 관리의 삼성, 올 신입사원 빅데이터로 뽑았다.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5/12/1224326/
국경환. (2019). 인공지능 기술 및 산업 분야별 적용 사례. 정보통신기술평가원 주간기술동향.
이승훈. (2017). 최근 인공지능 개발 트렌드와 미래의 진화 방향. n.p.: LG경제연구원.
이충형, 김영준. (2021). 빅 데이터 품질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학회.
배종석 · 유규창 · 권기욱(2015). 한국적 인적자원관리의 이론개발을 위한 기반연구. 인사조직연구.
이선우, 오성호, 임현정, 2021, <인적자원관리론>,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백삼균, 정범구, 2018, <인적자원관리>,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