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영화 '라라 랜드' 분석
1.1. 배경
영화 '라라 랜드'는 약 2시간 남짓한 짧은 시간만으로 관객들을 사로잡고 쉽게 헤어나오지 못하게 하는 힘이 있다. 그 힘의 가장 기본은 물론 작품의 스토리, 즉 시나리오에서 기반하지만, 이후의 뼈대와 틀을 제작하는데 있어 필요한 것은 스토리를 온전히 살릴 수 있는 여러 영상 기법들과 연출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출은 특히 음악성을 띄는 뮤지컬 영화에서 더욱 힘을 발휘하게 된다. 비긴 어게인, 하이스쿨 뮤지컬, 맘마미아, 미녀와 야수 등 영화 속 음악이 중심이 되어 영화를 이끌어가는 작품들은 영화가 끝난 후에도 자꾸만 영화 속 음악들을 흥얼거리게 만든다. 또한 이후에 영화를 떠올릴 때마다 함께 들려오는 그 음악들이 영화에 깊고 진한 여운을 더한다.
2016년 겨울을 뜨겁게 만들었던 뮤지컬 영화가 바로 '라라 랜드'이다. 처음 이 영화를 보기 전, 포스터를 보고 들었던 생각은 단순히 색감이 잘 살렸다는 것이었다. 강렬하면서도 비비드한 색감을 사용해 로맨스의 장르를 짙게 보여주지만, 연출이나 스토리에 있어선 다소 뻔한 전개가 예상되었기 때문에 그다지 기대가 되지 않았다. 하지만 엔딩 크레딧이 모두 올라가고 영화관을 나올 때, 아니 이미 영화를 보는 내내 관객은 '라라 랜드'에 사로잡혀 헤어나올 수 없었다. 색감은 물론이고, 스토리도 더할 나위 없었으며 무엇보다 그 모든 것들을 뒷받침했던 연출은 말그대로 지극히도 환상적이고 아름다웠다.
1.2. 주요 영상 기법 분석
1.2.1. 잦은 카메라의 움직임과 롱테이크 기법
영화 '라라 랜드'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영상적 특징은 영화 내 대부분의 장면에서 카메라가 지속적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것과 롱테이크 기법을 주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특히나 주인공 미아와 세바스찬이 함께 있는 순간들은 일부를 제외하곤 모두 롱테이크로 보여주고 있다.
롱테이크는 화면을 길게 찍어서 한 컷을 편집 없이 보여주는 방식을 말한다. 현대 영화들이 대부분 빠른 컷편집을 선호하는 것과 달리, '라라 랜드'는 고전 뮤지컬 영화의 롱테이크 기법을 이어가 관객들로 하여금 마치 영화 속 공간에 카메라와 함께 있는 듯한 느낌을 주었다. 또한, 일반적인 컷편집은 말그대로 화면을 잘라 이어 붙이는 것으로 '단절'을 의미하지만, 롱테이크는 자르는 것 없이 한 화면을 보여주기 때문에 일종의 '연결'을 의미한다. 이 영화에서 롱테이크로 두 사람을 연결해서 보여주는 건 이 영화가 둘의 협주로 진행되는 하나의 재즈곡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두 사람이 연주하는 인생이라는 재즈곡이 흘러가는 동안 카메라는 마치 악기가 된 마냥 끊임없이 움직이고, 곡의 연주자인 두 사람은 거의 모든 장면에 롱테이크로 연결되어 나온다.
이처럼 영화 속 장면들을 롱테이크로 연결하고 카메라를 지속적으로 움직임으로써 관객들은 마치 영화 속 공간 안에 있는 듯한 현장감과 몰입도를 경험할 수 있다. 이는 고전 뮤지컬 영화의 스타일을 계승하면서도 현대적인 영화 편집 기법을 활용하여 관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 감독의 의도가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1.2.2. 화면 비율과 카메라 움직임
화면 비율과 카메라 움직임은 "라라 랜드"에서 두드러지는 영상적 특징 중 하나이다. 이 영화는 고전 뮤지컬 영화의 영향을 받아 화면 비율과 카메라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영화의 여러 장면에서 화면 비율의 변화와 카메라의 360도 회전이 나타난다. 특히 주인공 세바스찬과 미아가 자신의 열정을 드러내는 장면들에서 이러한 기법이 두드러진다.
세바스찬이 레스토랑에서 재즈를 연주하는 장면(1.2.2. 장면 1)에서는 롱 샷에서 클로즈업으로 점점 화면 비율이 좁아지면서 카메라가 360도로 회전한다. 이를 통해 그의 재즈에 대한 열정과 집중력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미아의 오디션 장면(1.2.2. 장면 2)에서도 카메라가 풀 샷에서 미디엄 샷, 클로즈업으로 점점 좁아지면서 그녀의 감정 고조와 노래에 대한 열정을 드러낸다.
마지막으로 미아와 세바스찬이 키스하는 장면(1.2.2. 장면 3)에서도 카메라는 한 번 더 360도로 회전한다. 이처럼 허락되지 않은 공간에서 인물들이 자신의 절실함을 표출하는 장면들에서 화면 비율 변화와 카메라 회전이 활용되어, 인물의 내면 감정을 부각시킨다.
이와 같이 "라라 랜드"에서는 고전 뮤지컬 영화의 영향을 받아 화면 비율과 카메라의 움직임을 전략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인물의 내적 욕망과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1.3. 내러티브 분석
1.3.1. 줄거리
여자 주인공 미아는 배우 지망생이다.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사소한 배역들까지 포함해 오디션이란 오디션은 모두 보러 다니지만, 오디션을 끝까지 진행하기도 전에 끊어버리고 홀대당한다. 계속된 탈락에 낙심한 그녀는 친구들과 함께 파티에 참석하지만 그 어디에서도 자신이 존재해야할 곳을 찾지 못한다. 심란한 마음으로 집으로 돌아가던 중, 어느 가게 안에서 들리는 피아노 소리에 이끌려 그 안으로 들어간다. 그 안에는 남자 주인공 세바스찬이 피아노를 치고 있다. 세바스찬은 재즈 피아니스트로써, 재즈를 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