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통증과 관련된 수면양상장애
1.1. 간호 사정
1.1.1. 주관적 자료
"SN "OOO 님, 아직도 배가 많이 아프신가요? 1점에서 10점으로 점수를 매기면 몇 점 정도일까요?"라고 하여 주관적인 통증 수준을 평가하였으며, P "명치 아래쪽이 타는 듯 하고... 점수로 표현하자면 6에서 7점정도...? 자세히는 내가 어떻게 알겠어?"라고 응답하여 통증의 위치와 강도를 주관적으로 표현하였다.""2020. 06. 13 - "잠을 별로 못 잤더니 요즘 기력이 하나도 없어..." - "잠을 아예 못 잔 건 아닌데... 피로가 누적돼서..." - "예전에는 힘이 넘쳤는데.. 왜 그래, 요즘?"라고 말하여 수면 부족으로 인한 피로감과 기력저하를 호소하였다."
1.1.2. 객관적 자료
입원 당시 V/S 체온 37.0 혈압 80/50mmHg 호흡 25회/분 맥박 88회/분 SpO2 95%로 측정되었으며, 입원 2주 전부터 상복부 통증이 있었다"는 것이다. 또한 최근 허리 통증으로 아스피린을 복용하고 있었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시간에 따른 V/S 변화를 관찰한 결과, 통증으로 인해 추가로 진통제인 ConoFEN 캅셀과 Tramadol을 투약하고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1.2. 간호진단
간호진단은 "통증과 관련된 수면양상장애"이다. 대상자는 명치 아래쪽의 지속적인 통증으로 인해 잠들기 어려워하고 수면 중에도 깨는 모습을 보였다. 주관적 자료에서 대상자는 "잠을 별로 못 잤더니 요즘 기력이 하나도 없어..."라고 하면서 통증으로 인한 피로감을 호소하였다. 객관적 자료에서는 VS 측정 결과 시간에 따른 변동이 있었고, NRS 통증 사정 시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실제로 통증으로 인해 움직임이 어려운 모습이 관찰되었다. 또한 수면측정도구 PSQI 사정 결과 12점으로 수면의 질이 매우 저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주관적, 객관적 자료를 종합할 때 "통증과 관련된 수면양상장애"가 간호진단이라고 할 수 있다.
1.3. 간호목표
1.3.1. 단기목표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저녁 수면시간이 기존 4시간 30분에서 약 5시간 30분 이상으로 늘어날 것이다."
1.3.2.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할 때까지 매일 22시에 숙면을 취하여 규칙적인 수면패턴을 가질 것이다."
1.4. 간호계획 및 수행
1.4.1. 간호계획
간호계획은 대상자의 통증과 관련된 수면양상장애를 중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수립되었다"".
첫째, 1시간마다 활력징후 측정을 통해 대상자의 신체적, 심리적, 환경적 스트레스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였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건강상태 변화를 조기에 발견하고 신속히 대응할 수 있었다"".
둘째, 근무조별로 통증사정척도(NRS)를 이용하여 통증의 강도, 부위, 양상, 지속시간 등을 주기적으로 사정하였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통증 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평가할 수 있었다"".
셋째, 매일 대상자의 수면양상(취침시간, 기상시간, 낮잠시간, 수면시간)을 사정하였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수면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수면증진을 위한 간호중재를 계획할 수 있었다"".
넷째, 대상자의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통증, 불편한 환경, 낮잠 과다 등)을 사정하고, 수면시간 동안 환경적 자극을 최소화하였다"". 이를 통해 대상자가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섯째, 수면박탈 증상이 있거나 낮잠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낮 동안의 수면시간을 줄이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수면-각성 주기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여섯째, 대상자의 불안을 중재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