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시 지역사회간호과정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상세정보

소개글

"익산시 지역사회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 현황 분석
1.1. 지역 특성
1.1.1. 인구 현황
1.1.2. 경제 활동 현황
1.1.3. 교통 및 공공시설 현황
1.2. 지역 건강 수준
1.2.1. 주요 질병 유병률 및 경향
1.2.2. 건강행태 현황
1.2.3. 만성질환 관리 현황
1.3. 지역사회 자원 현황
1.3.1. 보건의료자원
1.3.2. 보건의료 관련 민간조직
1.3.3. 지역주민의 건강행위 현황

2. 지역사회 간호 진단
2.1. 오마하체계
2.2. PEARL

3. 지역사회 간호과정
3.1. 목표 및 목적
3.2. 추진 전략 및 세부 사업 내용
3.3. 추진 일정 및 예산

4. 평가 계획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 현황 분석
1.1. 지역 특성
1.1.1. 인구 현황

익산시의 인구 현황은 다음과 같다.

2020년 11월 기준 익산시의 총인구는 282,582명으로, 2001년까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다가 2002년부터 계속해서 감소하는 추세이다. 익산시의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은 2020년 11월 현재 19.8%로, 익산시는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 평균 19.2%보다 높은 수치이다.

읍·면 지역의 평균 노인인구 비율은 32.7%인 반면, 동지역의 평균적 노인인구 비율은 15.9%로 읍·면 지역의 고령화가 더 심한 것으로 확인된다. 이에 따라 읍·면 지역 보건의료기관에서의 적극적인 보건 활동 확대가 요구된다.

한편 가임여성 1명 당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2016년 기준 1.21명으로 전국 1.17명보다는 높지만, 출산율 감소 양상을 보이고 있어 출산율 증가를 위한 접근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2016년 기준 의료취약계층인 독거노인 10,802명, 등록 장애인 20,129명, 기초생활수급자 16,982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독거노인 수가 2015년보다 3,264명 급증하여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1.1.2. 경제 활동 현황

익산시의 경제 활동 현황은 다음과 같다.

익산시는 전라북도 시군별 지역내총생산에서 15.1%의 비중을 차지하며, 전북 3위의 경제 규모를 가지고 있다. 2018년 기준 익산지역 지역내총생산은 7조 6,184억 원이다. 산업별로는 제조업 종사자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기준 익산지역 취업자의 산업별 분포를 보면, 제조업 종사자가 26.6%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서비스업 종사자가 21.5%를 차지한다.

한편, 익산시의 취업률은 2019년 57%로 전국 평균 60.8%보다 3.8%p 낮으며, 전북 지역 14개 시·군 중 12위를 기록했다. 실업률은 2.8%로 전북 지역 평균 3.2%보다 0.4%p 낮은 수준이다. 취업 여건 개선을 위해서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익산시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양질의 일자리가 없어서' 익산시를 떠나는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1.3. 교통 및 공공시설 현황

익산시의 교통 및 공공시설 현황은 다음과 같다.

익산시의 행정구역은 1읍, 14면, 9개 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면적은 506.98㎢이다. 관내 도로의 연장은 19개 노선 3,506km(전국 25.4%)로 포장율이 96.1%이며 4차로 이상은 43.4%를 차지하고 있다.

익산시의 교통은 주요도로로 국도 정기적으로 유지보수가 이루어져 양호한 편이다. 하지만 일부 읍면지역의 도로와 부족한 주차공간으로 인한 불법주정차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특히 익산역 주변 지역은 소음이 발생하여 생활환경의 저해요인이 되고 있으며, 일부 골목길의 CCTV 설치가 미비하여 치안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유치원 77개, 초등학교 60개, 중학교 26개, 고등학교 18개, 특수학교 2개 등 총 183개의 교육기관이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교육기관이 도심지역에 편중되어 있어 읍면지역 주민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공공체육시설로는 종합운동장, 실내체육관, 야구장, 축구장 등이 있으나 읍면지역에 비해 동지역에 편향되어 있어 접근성이 좋지 않다. 또한 도시공원은 총 99개소 5,253천㎡로 전북 내에서 세 번째로 많으나 전주시, 군산시에 비해 공원 면적 및 개소 수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익산시는 교통여건이 양호하지만 일부 지역의 교통 혼잡과 도시 인프라의 불균형, 공공시설의 접근성 부족 등의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2. 지역 건강 수준
1.2.1. 주요 질병 유병률 및 경향

익산시의 주요 질병 유병률 및 경향은 다음과 같다.

익산시의 고혈압 유병률은 2017년 27.3%, 2018년 31.4%, 2019년 29.8%로 나타났다. 전국 평균 고혈압 유병률과 비교해볼 때, 익산시의 고혈압 유병률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수준이다. 2020년에는 고혈압 유병률 자료가 없어 추이를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2017년부터 2019년까지 계속해서 전국 평균을 상회하는 것으로 보아 고혈압 관리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당뇨병 유병률의 경우 2017년 11.0%, 2018년 11.3%, 2019년 11.4%로 나타났다. 전국 평균 당뇨병 유병률과 비교해보면 2017년과 2018년에는 전국 평균보다 다소 높은 수준이었으나, 2019년에는 전국 평균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2020년에는 당뇨병 유병률 자료가 없어 최근 몇 년간의 추이를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려우나, 2017년부터 2019년까지의 변화 추이를 보면 점차 전국 수준에 수렴해가는 것으로 보인다.

관절염의 경우 2018년 익산시 유병률이 전국 평균 30.9%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2019년 이후의 자료는 없어 최근 추이를 파악하기 어렵다.

뇌졸중 유병률은 2017년 전국 평균 2.3%에 비해 다소 낮은 수준이었으나, 이후 추이를 알 수 있는 자료가 없어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어렵다.

암 유병률의 경우 2017년 전국 평균 2.5%와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2018년 이후의 자료는 없어 최근 추이를 확인할 수 없다.

요실금 유병률은 2018년 전국 평균 0.04%로 나타...


참고 자료

2020년 국가정신현황 보고서,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년 지역사회 건강통계, 전라북도 익산시
2021년 익산시 자살예방시행계획
Susan G Dudek.(2018). 간호와 영양. 서울: 현문사
강서구 보건소, 고혈압, https://www.bsgangseo.go.kr/health/contents.do?mId=0306000000
심뇌혈관 질환 예방수칙 9가지[웹사이트].(n.d.), http://bitly.kr/CnTFkuYagr.
정신장애 유병률, e-나라지표,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441
조선일보, “고혈압 관리 목표, 140->120 낮추니 사망률도 뚝”, 김철중 의학전문기자, (2022.05.10.)https://www.chosun.com/culture-life/health/2021/05/26/KYJ2J3KO4BFXZJ6EUF4LT2NW5M/
질환 맞춤 식사,나트륨 잡는 칼륨, 제대로 섭취하여 혈압 바로 잡기![웹사이트].(n.d.)., http://bitly.kr/uoyyDCk83u.
질환백과 – 고혈압, (n.d.),서울아산병원 https://han.gl/AuWAb
질환백과 – 본태성 고혈압, (2021.10.07.), 연세 세브란스 병원, https://han.gl/myxOM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전락북도 익산시 제7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중장기 계획 (2019~2022)
한양대학교구리병원, 건강강좌, 고혈압, https://www.hyumc.com/guri/healthInfo/lecture.do?action=view&bbsId=healthLife&nttSeq=10847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