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정의란 무엇인가
1.1. 정의의 다양한 접근 방식
1.1.1. 공리주의
공리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목표로 하는 윤리 이론이다. 대표적인 공리주의 학자인 제러미 벤담과 존 스튜어트 밀에 따르면, 행위의 옳고 그름은 행위의 결과로 판단되어야 한다. 즉, 어떤 행위가 더 많은 사람들에게 더 큰 행복을 가져다주면 그것이 옳은 행위이며, 그렇지 않다면 잘못된 행위인 것이다.
공리주의는 개인의 권리나 자유보다는 전체적인 결과를 중시한다는 점에서 자유주의와 구분된다. 예를 들어, 어떤 개인의 기본적 권리를 침해하더라도 그로 인해 더 많은 사람들이 행복을 누릴 수 있다면 그것이 정의롭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다수의 행복을 위해 소수의 희생을 정당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공리주의적 접근은 일상 생활에서의 도덕적 딜레마 상황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예를 들어 기차 선로 딜레마의 경우, 한 명을 희생시켜 다섯 명을 구하는 것이 더 많은 사람의 행복을 가져다줄 수 있기 때문에 공리주의자들은 그렇게 해야 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하지만 공리주의에 대해서는 개인의 권리와 존엄성을 무시한다는 비판이 있다. 또한 행복의 측정이나 비교가 객관적으로 어렵다는 점에서 실제 적용의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샌델은 공리주의만으로는 정의로운 사회를 구현하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1.1.2. 자유주의
자유주의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중시하는 철학적 접근 방식이다. 대표적인 자유주의 철학자인 존 롤스는 "정의론"에서 공정한 분배를 위한 원초적 입장과 무지의 베일을 제안했다"". 롤스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토대로 정의로운 사회를 구현하고자 했다. 그는 모든 사람이 동등한 기본적 자유를 갖고 있으며, 공평한 기회 속에서 자신의 재능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자유주의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근간으로 하는 정의관을 제시하며, 이는 공리주의와 대비되는 접근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1.1.3. 공동체주의
공동체주의는 개인의 정체성과 도덕적 판단이 공동체와의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고 보는 철학적 접근이다. 공동체주의자들은 개인의 권리와 자유보다는 공동체의 가치와 전통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 대표적인 공동체주의자로 알려진 아리스토텔레스와 헤겔은 개인이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정체성을 갖는다고 주장하였다.
마이클 샌델은 이러한 공동체주의 관점을 중요하게 다룬다. 샌델은 개인의 가치관과 도덕적 판단이 공동체와의 연관성 속에서 형성된다고 본다. 그에 따르면, 진정한 정의로운 사회는 개인의 권리와 자유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가치와 전통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샌델은 개인의 정체성이 공동체와의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는 공동체의 역사와 전통, 관습 등이 개인의 도덕적 판단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따라서 정의에 대한 판단도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 공동체 전체의 가치와 이익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공동체주의는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를 중시하며, 정의의 개념에도 이러한 관점을 적용한다. 즉, 공동체주의에서 정의란 단순히 개인의 권리와 자유를 보장하는 것을 넘어, 공동체의 가치와 전통을 반영하는 것이다. 샌델은 이러한 공동체주의적 접근을 통해 정의의 개념을 더욱 풍부히 해석하고자 한다.
1.2. 도덕적 딜레마와 사례 연구
1.2.1. 기차 선로 딜레마
기차 선로 딜레마는 철학자 마이클 샌델이 제시한 대표적인 도덕적 딜레마 사례이다. 이 사례는 공리주의와 자유주의의 근본적인 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