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국가론 크라시마코스 소크라테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동서양 고전의 이해
1.1. 감명 깊게 읽은 동양의 고전
1.1.1. 『조선상고사』 (신채호)
1.2. 감명 깊게 읽은 서양의 고전
1.2.1. 『국가』 (플라톤)
1.3. 비판적으로 읽은 고전
1.3.1. 『신학대전』 (토마스 아퀴나스)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동서양 고전의 이해
1.1. 감명 깊게 읽은 동양의 고전
1.1.1. 『조선상고사』 (신채호)
신채호의 『조선상고사』는 단군조선부터 백제의 멸망과 부흥까지의 역사를 담고 있으며,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고 민족사관과 우리나라 근대사학의 기초를 다지는 역할을 한 저작이다"" 신채호는 일제강점기 시절 백두산을 비롯한 나라 곳곳을 다니며 이 책을 집필하였는데, 이는 역사를 통해 우리의 민족의식을 잃지 말아야 한다는 강한 의지를 보여준다"" 『조선상고사』의 핵심을 관통하는 문단은 "역사란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이 시간적으로 전개되고 공간적으로 펼쳐지는 정신적[心的] 활동 상태에 관한 기록이다"라는 문구이다"" 이는 역사가 우리 조선 스스로가 주체가 되어 이끌어가고 기록해야 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필자에게 큰 감동을 주었다"" 과거 중국 중심의 사대주의 사관과 일제의 식민사관에 의해 왜곡되고 변질되었던 우리 역사를 바로잡고자 했던 신채호의 노력은 높이 평가받...
참고 자료
플라톤, 『국가(천병희 역)』, 도서출판 숲, 2013.
오민용, 「플라톤 사상에서의 법의 고찰 : “국가(Politeia)”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강현경, 「플라톤 윤리사상의 형성과정과 덕」,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8.
안용규, 「플라톤의 신체관」,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단재 신채호(김종성 옮김), 『조선상고사』, 위즈덤하우스, 2014
플라톤(박문재 옮김), 『국가』, 현대지성,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