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속담교육 수업 지도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속담과 문화교육
1.1. 속담의 정의와 특징
1.2. 속담 교육의 필요성
1.3. 속담 교육 시 유의점
2. 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2.1. 목표 속담 선정
2.2. 학습자 수준 고려
2.3. 수업 지도안 구성
2.3.1. 도입 단계
2.3.2. 제시 단계
2.3.3. 전개 단계
3.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속담 활용
3.1. 속담을 통한 문화 요소 이해
3.2. 속담 활용 수업 설계
3.3. 모둠 활동을 통한 속담 이해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속담과 문화교육
1.1. 속담의 정의와 특징
속담은 "오랜 생활 체험에서 얻어진 경험과 교훈을 간결하게 나타내는 구나 문장"으로, 언어 공유자의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 등이 담겨 있어 한국의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다. 속담은 독특한 의미구조와 수사적 기교를 지니고 있어 학습자에게 중요한 교육 자료가 된다. 속담은 예로부터 민간에 전해져 내려오는 짧은 격언이나 잠언으로, 교훈, 풍자, 경험, 유희 등이 함축적으로 담겨 있다. 따라서 속담은 한국인의 생활 속 철학과 가치관, 세계관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유용한 교육 자료가 될 수 있다.
1.2. 속담 교육의 필요성
오랜 생활 체험에서 얻어진 경험과 교훈을 간결하게 나타내는 속담은 언어 공유자의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 등이 담겨 있어서 한국의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속담 교육의 필요성이 크다. 속담은 독특한 의미구조와 수사적 기교를 지니고 있어 외국인 학습자에게 다양한 한국어 표현 자료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학습할 때 속담은 유용한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속담은 단순한 어휘 습득을 넘어서 한국인의 사고방식, 가치관, 풍습 등을 이해할 수 있는 창구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속담을 통해 학습자들은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고,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속담은 단순히 언어적 의미뿐만 아니라 문화적 맥락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속담 교육은 단순한 언어 교육을 넘어서 문화 교육으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속담 교육은 외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능력 향상과 더불어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1.3. 속담 교육 시 유의점
속담 교육 시 유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속담에 반영된 문화적 특성을 다룰 때는 해당 속담이 한국 전체 문화를 항상 대변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속담은 주로 조선시대 평민 문화를 반영하고 있으므로, 이를 기준으로 다른 나라 문화와의 차이를 강조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둘째, 속담에 반영된 문화적 가치가 시대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즉, 과거에는 특정 가치를 반영했지만 현재는 다른 가치를 드러내고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셋째, 속담이 가지고 있는 수사적, 언어학적 특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속담은 언어의 압축적 표현 방식, 비유적 표현, 운율감 등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한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외국인 학습자들이 속담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
결국 속담 교육 시에는 속담에 반영된 문화적 특성과 언어적 특성을 균형 있게 다루면서, 시대별 변화와 개별성을 고려해야 한다. 이를 통해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 문화와 언어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2.1. 목표 속담 선정
목표 속담을 선정할 때는 학습자의 수준과 관심사, 문화적 배경을 고려해야 한다.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속담 교육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속담을 선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특히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와 같은 속담은 한국 사회의 위계질서와 상하관계를 반영하고 있어 한국 문화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이 속담은 리더십과 모범적인 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바, 학습자들에게도 유의미한 교훈을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학습자의 흥미와 교육적 효과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속담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2.2. 학습자 수준 고려
중급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속담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급 학습자의 경우 한국어 능력이 향상되어 속담의 의미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였으나, 아직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속담 교육 시 문화적 맥락을 충분히 설명하여 학습자가 속담의 의미와 배경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어,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와 같은 속담을 교육할 때는 한국 사회에서 상하 관계와 윗사람의 책임이 강조되는 문화적 특성을 설명해야 한다. 또한 실생활에서 이 속담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구체적인 예시를 제공하여 학습자의 이해를 ...
참고 자료
“한국어 어휘 교육”, 한재영 외, 태학사, 2010년
강등학. 『 속담의 유형과 기능』. 구비문학연구 6집. 1997.
고진숙, 한국 중등 국어 교육상 속담 연구 = The Study of Proverbs Used in Korean Language Abilities: 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교육인적자원부, 『국어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 1998.
권세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속담 지도 연구 : 고급 수준의 속담 학습자를 대상으로. 아주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김광해 外, 『국어지식탐구』, 박이정, 1999.
김나영. 영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속담 교육 연구 : 교훈적 속담 교육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숙명여대 대학원. 2008
김성민,「중학교 생활국어 담화 단원의 화용론적 교수 - 학습 방법」, 단국대 교육대학원, 2004.
김영자.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속담 교육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2002.
김종택. 속담의 기능과 의미 구조. 새국어생활 4권 2호. 국립국어연구원. 1994.
김학진. 일본속담의 교재화를 통한 일본인의 사고이해와 기초학력의 신장 : 현행〈일본어 1〉 교과서 9종류를 중심으로. 울산서여자상업고등학교
김희정. 일본어교육을 위한 문화리터러시 :속담(ことわざ)을 활용한 교수학습 실천을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日語日文學. 제38집 (2008. 5), pp.83-103
문 금현. 「 국어의 관용 표현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6.
- 관용표현에 대한 국어교육학적 고찰. 남천 박갑수 교수 정년퇴임기념논문집. 도서출판 월인. 1999.
박삼서,『국어교육과 생활․문화․철학』, 국학자료원, 2003.
박수미,「국어교육에서 속담의 지도방안 연구」, 단국대 교육대학원, 2002.
박정안,「속담의 국어교육적 의의와 지도방안」, 경기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박해숙. 속담의 문화적 배경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 인하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서정수·정달영 편. 「 세계 속담 대사전. 한양대 출판부」. 1998.
서혁,「언어사용으로서의 속담 표현의 특성」, 선청어문21, 1993
심재기·성광수·최창렬. 「 국어의미론. 개문사. 1986.
안경화. 「 속담 연구의 몇 가지 과제와 전망」. 용운언어. 2001.
양정.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속담 교육 방안 연구 : 중국 내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양지선,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과 동남아시아 속담 비교 연구 : 문화 비교를 중심으로. 경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엄병섭·박용순·김종선·류영걸. 「 조선 속담집. 사회과학출판사」. 1992.
에릭 요아킴 융크. 1993.「 한·독 속담의 비교 연구」. 국어연구 115. 국어연구회. 1993.
원수은.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 교재 분석과 학습자 요구 분석을 중심으로. 2003.
이기문 편. 속담사전. 민중서관. 1962.
이기문 편. 한국의 속담. 삼성문화재단. 1976.
이기문 편. 국어의 현실과 이상. 문학과지성사. 1997.
이미숙,「속담 지도 방안 연구」, 국민대 교육대학원, 2004.
이상억. 속담의 인식. 이기문 교수 정년퇴임기념논총.1996.
이성영,『국어교육의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이종철,『속담의 형태적 양상과 지도방법』, 이회문화사, 1998.
이종철,『우리속담 바르고 창의적으로 쓰기』, 이회, 2003.
이종철. 국어의 형태적 양상과 지도방법. 서울: 이화문화사. 1998.
김종록, 『한국언어문화론』 영한문화사, 1999, p.2
이종철. 사전에 설정된 속담의 뜻풀이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국어교육학회. 1999.
張智정.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속담 교육 방안 :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상명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조기정. 한국인 EFL 학습자 영어속담 교육 연구. 단국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조재윤. 국어 속담의 문법구조연구.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1988.
지인영, 『영어속담과 한국속담에 나타난 생활문화 비교』 학위논문, 1999
최상진․유승엽. 속담 분석을 통해 본 한국인의 심리 표상. 새국어생활 4권 2호. 국립국어연구원. 1994.
최준식. 한국인에게 문화가 있는가. 사계절. 1997.
하동준,「속담 패러디를 활용한 국어 표현능력 신장 방안 연구」, 인천교육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연구. 2002
한상복. 한국인의 생활양식과 사고방식. 한국인과 한국문화. 심설당. 1982.
한영우. 한국의 문화전통. 을유문화사. 1988.
에드워드 버네트 타일러(1832년-1917년), 영국의 인류학자. 1991.
바쌈 티비, 마스커스 출신의 독일 정치학자, 1944년 136- 5407-4775 기사
新村 出編. 廣辭苑. 岩波書店. 1991.
Atkinson, D.. . TESOL and culture. TESOL Quarterly 34. 1999
Brown, H. D..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Prentice Hall Regent. 1993.
Fraser, B.. Idioms within a transformational grammar. Foundations of Language 6. 1970.
Hofstede, G.. Cultures and Organizations. 차재호․나은영 역. 1997. 세계의 문화와 조직. 학지사. 1995.
Kubota, R.. Japanese culture constructed by discourses: Implications for applied linguistics research and ELT. TESOL Quarterly 33. 1999.
Norrick, N. R.. How Proverbs Means: Semantic Studies in English Proverbs. Berlin. New York. Amsterdam: Mouton. 1985.
레이먼드 윌리엄스(Raymond Williams) 문화와 사회의 다양성(Keywords: A Vocabulary of Culture and Society)》. Rev. Ed. (NewYork: Oxford UP, 1983), pp. 87-93 and 236-8. 1976.
John Berger, Peter Smith Pub. Inc.,Ways of Seeing. 1971.
Goodall, J. The Chimpanzees of Gombe: Patterns of Behavior. 1986.
Jary, D. and J. Jary. The HarperCollins Dictionary of Sociology, page 101.
Tylor, E.B. rimitive culture: researches into the development of mythology, philosophy, religion, art, and custom. 1974.
원은영ㆍ이경아(2017), 관용어와 속담으로 배우는 한국여, 도서출판 참
김원경,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어휘교육론 교안, 진흥원격평생교육원
김나영(2008), 영어권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속담교육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 문화연구
박영순(2004), 속담으로 배우는 한국어 1, 한국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