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치매노인 가족간호 과정 사례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사례 요약
1.1. 치매환자 가족의 상황
1.2. 치매환자 가족의 건강관리 문제
2. 가족 간호과정
2.1. 간호사정
2.1.1. 가족 구조도
2.1.2. 가족밀착도
2.1.3. 외부체계도
2.1.4. 가족연대기
2.1.5. 가족의 강점 파악
2.2. 가족자료분석
2.3. 가족간호진단
2.4.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
3. 결론 및 느낀 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례 요약
1.1. 치매환자 가족의 상황
치매환자 가족의 상황은 다음과 같다.
2014년 오토바이 사고로 홍씨(80세)가 외상성 경막하출혈로 진단받아 오랜 시간 중환자실 치료를 받았고, 합병증으로 2015년 치매를 진단받았다. 홍씨는 부인(78세), 아들(60세), 며느리(55세)와 농촌에서 거주하고 있다. 2주에 1회 첫째 딸(61세)이 방문하고 있으며, 다른 가족들과도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나 셋째 딸은 명절 이외에는 왕래가 적다. 사고 이전에는 홍씨 혼자 목축업을 하고 있었으나 가족 내 경제적인 벌이를 하던 구성원이 일하지 못해 현재는 홍씨 부인과 아들이 대신 운영하고 있으며 집안일은 며느리가 책임지고 있다. 또한 나라 지원금과 사업의 수입, 가족들의 지원으로 생활하고 있으며 한 달에 한 번 오는 방문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받고 있다.
홍씨는 지각/인지기능 저하로 과거 홀로 밖에 나가 길을 잃은 적이 있으며 개인위생을 주로 부인과 며느리가 관리하고 질문에 대한 답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 한정된 공간에서 혼자 시간을 보내고 있다. 처음에는 간병인이 부양하였으나, 현재 주 부양은 홍씨 부인이 하고 있으며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아들은 원래 직장을 잃었으며, 며느리는 시아버지 치매증세가 심해짐에 따라 부양이 점점 힘들어지고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몰라 답답해하고 있다. 같이 거주하는 가족들이 시골에 살아 생활의 범위가 좁으며 다른 가족들의 재정지원으로 의료적 지원은 해주고 있으나 홍씨를 제외한 가족은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1.2. 치매환자 가족의 건강관리 문제
치매환자 가족의 건강관리 문제로는 부인의 퇴행성 관절염과 스트레스로 인한 건강관리 어려움이 있다. 부인은 치매환자인 시아버지의 장기적인 간호로 인해 지쳐있으며,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으로 힘들어하고 있다. 또한 며느리 또한 시아버지 간호와 집안일로 인한 스트레스로 건강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치매환자 가족들은 치매환자의 간병과 가사 등의 역할이 과중되어 자신의 건강관리에 소홀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부인과 며느리는 치매환자의 주된 간병 제공자로서 자신의 건강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부인의 경우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해 통증이 심각한 상태이지만 치매환자 간병에 전념하느라 병원 방문이나 운동 등 자신의 건강관리를 소홀히 하고 있다.
며느리 또한 치매환자 간병과 가사 부담으로 인해 우울감과 스트레스가 가중되고 있지만, 가족 외 지지체계가 부족하여 스트레스 해소 방안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처럼 치매환자 가족들은 환자 간병과 가사 등의 역할이 과중되어 자신의 건강관리에 소홀할 수밖에 없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참고 자료
지역사회보건간호학 Ⅱ,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 수문사,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