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최씨 무신정권의 붕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고려 무신정권의 이해
1.1. 무신정권의 성립
1.2. 초기 무신정권의 전개
1.2.1. 이의방 정권
1.2.2. 정중부 정권
1.2.3. 경대승 정권
1.2.4. 이의민 정권
1.3. 최씨 무신정권
1.3.1. 최충헌 정권
1.3.2. 최이 정권
1.3.3. 최항 정권
1.3.4. 최의 정권
1.4. 무신정권의 붕괴와 몽골의 침략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고려 무신정권의 이해
1.1. 무신정권의 성립
무신정권의 성립은 고려 중기 문벌귀족사회에서 무신들의 반발로 시작되었다. 당시 고려에서는 문신들에 비해 무신들이 차별받는 상황이 이어졌는데, 이에 불만을 품은 무신들은 1170년 정변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의종 24년(1170)에 의종이 보현원에 행차하던 중에 문신 한뢰가 무신 이소응을 때리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에 격분한 무신들이 난을 일으켜 의종을 폐위시키고 명종을 옹립하였다. 이 무신정변은 우발적인 것이 아니라 사전에 계획되어 있었는데, 이의방과 정중부 등이 주도하였다. 이들은 문신중심의 정치체제를 타도하고 무신들 중심의 새로운 체제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무신정권이 수립된 이후에는 이의방,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 순으로 권력이 이어졌다. 이 시기 무신정권은 문신들에 대한 강경한 대응으로 인해 잦은 갈등과 내부 분열을 겪었다. 특히 이의방 정권에서는 김보당과 조위총의 반란이 발생하였고, 정중부 정권과 경대승 정권에서도 하급 무신들의 불만이 고조되었다.
이후 평민출신인 이의민이 집권하면서 신분제 제약이 완화되고 하급 무신들의 진출이 확대되는 등 변화가 있었다. 그러나 이의민의 강력한 독재에 불만을 품은 최충헌이 1196년 이의민을 암살하고 정권을 장악하게 된다. 이로써 최씨 무신정권의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1.2. 초기 무신정권의 전개
1.2.1. 이의방 정권
이의방 정권은 무신란의 주도세력 중 한 명인 이의방이 1170년 의종을 폐위시키고 정권을 장악한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의방은 같이 무신란을 주도했던 이고(李高)와 채원(蔡元) 등을 제거하고 집권하였다.
이의방은 비록 무신란의 주도세력이었지만, 이전에는 낮은 지위에 있었기에 고위 무신들을 완전히 무시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의방은 중방(重房)의 권한을 강화하여 이들을 회유하고자 했으며, 무신란에 적극 가담했던 하위 무신들에게도 벼슬의 길을 넓혀주었다.
그러나 이의방의 정권은 얼마 지나지 않아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 문신 김보당(金甫當)이 정중부, 이의방 등의 제거와 의종의 복위를 명분으로 봉기한 것이 그 배경이었다. 비록 김보당의 난은 곧 진압되었지만, 의종을 비롯한 많은 문신들이 희생당했다.
이어서 서북면 토착세력인 도령(都令)들을 중심으로 일어난 조위총의 난 때는 이의방정권이 쉽게 진압하지 못하고 오히려 이의방이 정중부의 아들 정균(鄭筠)에 의해 살해당하면서, 이의방정권은 4년 만에 몰락하게 되었다.
이처럼 문신들의 반발과 토착 세력의 봉기로 인해 이의방정권은 불과 4년 만에 막을 내리게 되었다. 이는 무신정권 초기의 불안정한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2.2. 정중부 정권
정중부 정권이 수립되었다. 그는 무신란이 일어나기 전부터 고위직이었기에 온건파였다. 무신란 이후 급격한 변화를 꺼려했던 정중부는 동반 권무관직 임명요구 등 적극적...
참고 자료
『高麗史』.
민병하,『한국사』18, 「무신란과 초기의 무신정권」, 국사편찬위원회, 2003.
「진양부와 정방 및 서방」
이기백,『한국사신론』, 일조각, 1999.
박용운,『高麗時代史』下, 「무신정권과 그 사회」, 일지사, 1987.
민현구,『高麗政治史論』, 고려대학교출판부, 2004.
이다지, 이다지 한국사 : 전근대 편: 흥미진진 스토리텔링으로 한국사 다지기, 브레인스토어,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