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잔골재의 표면수 측정
1.1. 시험의 목적
이 시험은 잔골재의 표면수가 모르타르나 콘크리트의 혼합용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콘크리트의 시방배합을 조정하고 다시 현장배합으로 환산하는 데 필요한 시험으로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에 극히 중요한 시험이다.
1.2. 시험용 기계기구 및 재료
시험용 기계기구 및 재료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료로 자연상태의 잔골재 300 g 이상이 필요하다.
둘째, 칭량 2 kg 이상, 감도 0.5 g 이상의 저울을 사용한다.
셋째, 플라스크(flask)로 차프만 플라스크(Chapman flask) 또는 피크노미터(pycnometer) 용기가 필요하다. 이 용기는 유리나 녹슬지 않는 금속으로 된 적당한 플라스크 또는 용기로서, 용량은 다져지지 않은 시료 용적의 2~3배 정도이어야 하며, 눈금 0.5 ml 이하까지 읽을 수 있어야 한다.
넷째, 피펫(pipette), 뷰렛(burette), 비커(beaker)가 필요하다.
다섯째, 시료 팬(pan)이 필요하다.
1.3. 시험방법
1.3.1. 중량법
중량법은 잔골재의 표면수량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시료에 의해 배제되는 물의 중량을 측정하여 표면수량을 구한다.
구체적인 중량법의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대표적인 시료 200 g을 채취하여 달아낸다. 그다음 용기의 표시선까지 물을 채운 후 그 중량을 g 단위로 측정한다. 이어서 용기 물을 따르고 시료를 침수시킬 수 있는 충분한 물을 용기 속에 넣는다. 무게를 단 잔골재를 용기 속에 넣고 흔들어 시료 속의 기포를 제거한다. 그리고 용기의 표시선까지 물을 채운 후 그 중량을 g 단위로 측정한다.
마지막으로 시료에 의해서 배제되는 물의 중량을 다음 식으로 구할 수 있다.
Vs = B + W - C
여기서, Vs는 시료에 의해서 배제되는 물의 중량(g), B는 표시선까지 물을 넣은 용기의 중량(g), W는 시료의 중량(g), C는 표시선까지 물을 채웠을 때 시료가 들어 있는 전용기의 중량(g)이다.
1.3.2. 용적법
나) 용적법 (容積法)
용적법은 시료에 의해서 배제된 물의 용적을 측정하여 표면수량을 구하는 방법이다""
먼저 시료를 충분히 침수시킬 수 있는 물의 양을 ml까지 측정하여 용기 속에 넣는다"" 그 후 준비된 잔골재 시료 200 g 이상을 저울에 단 후 용기 속에 조심하여 넣은 후 흔들어 기포를 제거한다""
그리고 시료와 물을 넣은 용적을 ml 단위로 읽는다""
마지막으로 시료에 의해서 배제되는 물의 용적은 다음 식으로 구한다""
Vs = V2 - V1
여기서, Vs는 시료에 의해서 배제되는 물의 용적(ml)이고, V2는 시료와 물의 혼합용적(ml), V1은 시료를 완전히 침수시킬 수 있도록 놓은 물의 용적(ml)이다""
1.3.3. 표면수량의 계산
표면수량의 계산은 중량법과 용적법 두 가지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중량법에서는 시료에 의해 배제된 물의 중량을 구하고, 용적법에서는 시료에 의해 배제된 물의 용적을 구한다.
중량법에서 시료에 의해 배제된 물의 중량은 다음 식으로 계산한다:
Vs = B + W - C
여기서, Vs는 시료에 의해 배제된 물의 중량(g), B는 표시선까지 물을 채운 용기의 중량(g), W는 시료의 중량(g), C는 용기에 시료를 넣은 후 물을 채운 용기의 중량(g)이다.
용적법에서 시료에 의해 배제된 물의 용적은 다음 식으로 계산한다:
Vd = V2 - V1
여기서, Vd는 시료에 의해 배제된 물의 용적(ml), V1은 시료를 완전히 침수시킬 수 있는 물의 용적(ml), V2는 시료와 물을 혼합한 용적(ml)이다.
표면건조 포화상태를 기준으로 한 표면수율(Ps)과 습윤상태의 잔골재의 무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