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빛의 회절과 간섭
1.1. 실험 목적
레이저를 이용하여 단일 슬릿을 지나는 빛의 회절과 이중 슬릿을 지나는 빛의 간섭현상을 관찰하고 슬릿의 폭과 슬릿들 사이의 간격을 구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 빛의 특징인 입자성과 파동성 중 파동성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며, 레이저는 간섭성, 단일파, 직진성, 강한 광원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실험에 적합하다. 단일 슬릿을 지나는 빛의 회절 현상과 이중 슬릿을 지나는 빛의 간섭 현상을 관찰하고, 각각의 경우에서 슬릿의 폭과 슬릿들 사이의 간격을 계산하여 이론값과 비교하고자 한다.
1.2. 실험 이론
1.2.1. 단일 슬릿을 지나는 빛의 회절
빛의 회절은 빛이 진행하다 작은 구멍이나 장애물을 지날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호이겐스의 원리에 따르면 슬릿을 통과한 파동들은 모든 방향으로 퍼져나간다. 단일 슬릿을 지나는 빛의 회절 현상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슬릿의 폭을 a, 중앙에서부터 어두운 곳이 나타나는 차례를 m, 가장 밝은 점(중앙)에서부터 m번째 어두운 부분까지의 거리를 y, m번째 어두운 부분의 위치와 중앙의 밝은 부분으로부터 벗어난 각도를 θ, 슬릿과 광센서까지의 거리를 D라고 한다.
호이겐스의 원리에 따르면, 슬릿의 중앙과 끝점에서 출발한 빛의 경로차는 (1/2)asin(θ)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위상이 같은 두 파장의 경로차가 파장의 (2n-1)/2배만큼 날 경우 상쇄 간섭이 일어난다. 따라서 빛의 파장을 λ라고 하면, (1/2)asin(θ) = (m*λ)/2 의 관계식이 성립한다.
만약 θ가 작다면 sin(θ) ≈ θ가 되므로, 위 식은 sin(θ) = (mλ)/a로 정리할 수 있다. 이 식은 단일 슬릿에서 회절 무늬가 나타나는 조건을 나타낸다. 즉, m번째 어두운 무늬는 y_n = (Lmλ)/a의 위치에 나타나게 된다.
이를 통해 단일 슬릿의 폭 a가 커질수록 회절 무늬 사이의 간격 y_n이 좁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대로 슬릿의 폭 a가 작아지면 회절 무늬 사이의 간격 y_n이 넓어지게 된다. 이는 회절 현상이 빛의 파장과 슬릿의 크기 관계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1.2.2. 이중 슬릿을 지나는 빛의 간섭
이중 슬릿을 지나는 빛의 간섭은 1802년 영국의 물리학자 영(T. Young)에 의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