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임상사례 분석 리포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 관리자의 역할과 간호사-의사 협력
1.1. 의사와 간호사의 역할 및 협력의 필요성
1.2. 간호 관리자의 조정자와 협력자로서의 역할
1.2.1. 간호사와 타 직종 간 업무 조정
1.2.2. 간호사 간 역할 및 업무 조정
1.2.3. 의사와의 협상 및 효과적인 의사소통
2. 간호계의 연구 동향
2.1. 간호사의 교육과 근무환경에 대한 연구
2.2. 근거기반간호에 대한 연구
2.2.1. 학술대회를 통한 임상간호연구 발표
2.2.2. 환자보고형 결과 활용에 대한 연구
2.3. 연구 방법론 및 근거기반간호 발전을 위한 활동
3. 보건의료법규 사례
3.1. 무면허 의료행위 관련 판례
3.1.1. 응급구조사의 의료행위 사례
3.1.2. 간호조무사의 대리수술 사례
3.1.3. 무면허자의 임플란트 시술 사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 관리자의 역할과 간호사-의사 협력
1.1. 의사와 간호사의 역할 및 협력의 필요성
의사와 간호사의 역할 및 협력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의사와 간호사는 처치명령을 중심으로 상호작용이 일어나는데, 현실적으로 간호사는 의사의 진료를 돕고 의사의 처방이나 규정된 간호 기술에 따라 치료를 하며, 의사 부재시에는 비상조치를 취한다. 그러나 환자에 따라 질환의 진행 상태가 동일하지 않으므로 업무내용이 표준화되기 힘들다. 또한 일반조직에서는 일상 업무의 상호작용 대상이 어느 정도 정해져 있지만, 의료조직에서는 병동에 따라 동일한 의사와 간호사가 업무를 수행하기도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에 따라 의사와 간호사 사이의 업무가 불명확하거나 간호사의 의료행위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의료과오에 있어서 책임의 소재가 명확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갈등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두 전문직종간의 간격을 해소하고 활동을 조정하거나 통합시켜 협력이 잘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1.2. 간호 관리자의 조정자와 협력자로서의 역할
1.2.1. 간호사와 타 직종 간 업무 조정
간호 관리자는 간호사와 타 직종 간 업무를 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의사와 간호사의 업무가 명확하지 않거나 간호사의 의료행위로 인한 의료과오 책임 소재가 불분명한 경우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 관리자는 두 직종 간의 간격을 해소하고 업무를 조정하여 협력이 잘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간호 관리자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직종 간 업무 조정을 수행한다"". 먼저 간호사와 다른 직종의 역할과 업무 범위를 명확히 구분하고 정의하는 직무기술서를 개발한다"". 이를 통해 각 직종의 고유 업무와 공동 수행업무를 명시하여 혼란을 방지한다"".
또한 간호 관리자는 업무 조정 시 효율성을 고려한다"". 적정 수준으로 업무를 분배하여 균형을 맞추고, 중복된 업무는 조정하며, 누구도 담당하지 않은 환자 요구사항은 누락되지 않게 관리한다"". 이때 부서 전체 업무량, 개인의 업무 속도와 시급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더불어 간호 관리자는 조정 과정에서 타 직종 구성원들과 적절한 의사소통을 유지한다"". 공식적인 회의체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의견을 교환하며, 상호 신뢰와 협조를 바탕으로 공동의 목표를 달성해 나간다"".
이처럼 간호 관리자의 간호사와 타 직종 간 업무 조정 역할은 의료기관 내 원활한 협력 관계 유지와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2. 간호사 간 역할 및 업무 조정
간호사 간 역할 및 업무 조정은 간호 관리자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이다. 간호관리자는 간호사들 간의 업무를 조정하여 효율적이고 균형 잡힌 간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우선 간호관리자는 간호사들 간의 역할을 명확히 구분하고 업무를 적절히 배분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각 간호사의 전문성, 경력, 경험 등을 고려하여 개인별 업무를 세분화하고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부서 내에서의 역할 분담을 통해 업무의 ...
참고 자료
염영희 외(2017). 간호관리학(6판). 경기 : 수문사
간호사-의사 간의 갈등 연구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병주, (2013)
간호사의 의료행위와 의료과오 책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장미희(2014)
병원 간호사와 의사의 갈등관리유형과 의사소통능력 및 협력 간의 관계.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이임선(2017)
현문사, 김희경 외 저, 보건의약관계법규,
메디컬투데이, 코로나 병동 ‘응급구조사’무면허 의료행위 지시 의혹 제기,
https://mdtoday.co.kr/news/view/1065606518397020
노컷뉴스, 광주‘대리수술’척추병원 의료진 6명 송치,
https://www.nocutnews.co.kr/news/5657087
임플란트 대리시술한 ‘무면허 의사’ 집행유예,
https://biz.chosun.com/topics/topics_social/2021/11/28/NFOWEDAZT5HB7AZNLVQ42VAJ6E/?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