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프로젝트 교육법의 교육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프로젝트 접근법
1.1. 개념 및 특징
1.2. 교육과정
1.2.1. 단계별 구성
1.2.2. 교사와 유아의 역할
1.3. 시사점
2. 혼합연령 프로그램
2.1. 개념 및 구성집단
2.2. 교육목표
2.3. 특징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프로젝트 접근법
1.1. 개념 및 특징
프로젝트 접근법의 개념 및 특징은 다음과 같다.
프로젝트란 특정 주제에 관한 심층적 연구를 의미하며, 소집단인 유아들이 흥미를 느끼고 관심을 가지고 협력하며 학습할 가치가 있는 특정 주제를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목적-지향적인 활동을 의미한다. 프로젝트 접근법은 교사의 지도에 따라 개인 또는 소집단, 그리고 학급 전체의 유아들이 책임지고 수행하는 특정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의미한다. 아울러 프로젝트 접근법은 방법이라는 용어 대신 접근법이라는 단어를 사용함으로써 주제에 다가가는 방법이 다양할 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라 방법을 달리할 수 있다는 부분을 강조한다. 프로젝트 접근법은 영유아들에게 교육적으로 학습할 가치 있는 특정 주제를 교사의 지도와 안내에 따라 그들 간의 협력을 통해 심도 있게 공동 연구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프로젝트 접근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접근법의 목표는 학습 목표로 계획한다는 특징이 있다. 즉, 교수목표가 아니라 학습 목표로 학습자 중심의 목표로 수업을 계획하고, 교육의 주된 목적이 교육하는 사람보다 교육을 받는 학습자의 발전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프로젝트 접근법은 주제를 완성하는 과정에서 교사와 유아가 함께 참여하므로 단원 중심 방법에서 교사 중심으로 진행되는 교육계획의 결점을 보완한다는 이점이 존재한다. 셋째, 프로젝트 접근법은 학습 내용을 선정하는 과정과 교수학습 방법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교사와 영유아가 함께한다는 특징이 있으며, 학습 전 영역이 상호보완적이고 유기적인 관계에서의 인격적 통합을 중요시한다. 넷째, 프로젝트 접근법은 학습 내용이 영유아 개개인에게 유의미해야 하며, 교수학습 과정에서 시작, 전개, 마무리의 단계마다 중심 사건과 과정, 영유아들의 활동이 다르며 교사의 관심 및 역할도 달라진다. 마지막으로 프로젝트 접근법은 부모나 주변 사람들, 더 나아가 지역사회 구성원들과의 협력적 관계를 강조해 공동체적 삶의 경험을 제공하고 프로젝트 전 과정을 통해 교사와 ...
참고 자료
김옥경 외(2010) 유아교육개론, 태영 출판사
이순형(2011) 영유아 보육 교육 프로그램의 이해, 학지사
이기숙(2010) 유아교육과정, 교문사
신화식(2011) 영유아교육 프로그램, 교문사
이경숙(2008)『프로젝트 접근법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준호(2006))『혼합연령 종일반 유아들 관계에서 나타나는 만 4,5세 유아의 연령 별 특성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소은ㆍ민하영(2021).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방송대출판문화원.
강은진, 김소연,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공동체, 2013.
김두범, 김미경, 영유아 보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창지사, 2012.
김영희 외, 유아교육과정, 동문사, 2005.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론, 학지사, 2003.
이순형 외, 영유아보육 교육프로그램의 이해, 학지사, 2007.
최인화 외, 유아 혼합연령 프로그램, 학지사, 2011.
문영심,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공동체,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