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당뇨병 사례 보고서
1.1. 환자 소개 및 일반정보
최00 씨는 72세 남성으로, 2022년 5월 9일 내과 병동에 입원하였다. 진단명은 당뇨병 type 2와 대상포진이다. 환자는 도보로 병원에 내원하였으며, 실습기간은 2022년 5월 9일부터 2022년 5월 20일까지이다.
최00 씨의 교육 수준은 초등학교 재학 또는 졸업으로, 결혼 상태는 기혼이다. 현재 무직 상태이며, 음주와 흡연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수준은 중간 정도이고, 의료보험에 가입되어 있다. 종교는 무교이다.
1.2. 질병의 병태생리
당뇨병의 병태생리는 인슐린의 부족과 분비장애, 인슐린의 작용 결함에 의해 발생한다. 인슐린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제 1형 당뇨병)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제 2형 당뇨병)로 나눌 수 있다.
제 1형 당뇨병은 베타 세포의 파괴로 인해 하루 인슐린의 양이 실제로 부족한 경우이며, 제 2형 당뇨병은 인슐린의 절대분비량은 정상이나 인슐린이 세포에 작용할 때 기능장애를 보이는 경우로 인슐린 저항성이라고 한다.
제 1형 당뇨병은 청소년기에 주로 발병하며 인슐린 분비가 감소되거나 없어져 케톤증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제 2형 당뇨병은 성인기에 주로 발병하며 인슐린은 분비되나 인슐린에 대한 세포반응이 저하되어 케톤증이 거의 없다.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갈증, 다뇨, 다음, 피로, 체중감소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피로감, 무력감, 감염, 상처치유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당뇨병의 진단은 혈당 검사, 당화혈색소 검사, 경구 당부하 검사, 당화 알부민 검사, 24시간 소변 수집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혈당 수치, 혈중 포도당 농도, 당뇨병 관리 정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당뇨병의 합병증으로는 저혈당, 당뇨병성 케톤산증, 고혈당 고삼투성 비케톤성 증후군, 대혈관 변화, 미세혈관변화, 당뇨병성 족부병변 등이 있다. 이러한 합병증들은 지속적인 고혈당으로 인해 발생하게 된다."당뇨병은 인슐린의 부족과 분비장애, 인슐린의 작용 결함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제 1형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 감소로 인해 발생하며, 제 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발생한다.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갈증, 다뇨, 다음, 피로, 체중감소 등이 있으며, 당뇨병의 진단은 혈당, 당화혈색소, 경구 당부하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당뇨병은 저혈당, 케톤산증, 혈관 합병증 등 다양한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다."
1.3. 병력
대상자는 2년 전 제2형 당뇨병을 진단받아 평소 Amaryl 4mg qd, Metformin 1g bid 경구투약을 하고 있었다. 내원 한 달 전부터 혈당 조절이 되지 않아 외래 방문 후 약물 변경, 혈당조절 및 당뇨 교육 등을 위해 내분비 내과로 입원하였다.
대상자의 주증상은 불안정한 혈당수치였다. 진단명은 NIDDM(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과 Hyperglycemia였다. 내원 당시 활력징후는 체온 36.8℃, 맥박 70회/분, 호흡수 20회/분, 혈압 130/80 mmHg였다. 평소 단음식을 좋아하고 현재 3회/일 단요식 섭취 중이나 수시로 빵이나 아니스크림, 과자 등 군것질을 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병원에서 제공되는 당뇨식은 맛이 없다고 불평하며 섭취를 거부하고 보호자로부터 매점에서 햄버거나 샌드위치 등을 사오라고 하여 섭취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1.4. 신체검진
대상자의 신체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신장은 165cm, 체중은 50kg으로 BMI는 18.4kg/m²이다. 활력징후를 살펴보면, 입원 당시 혈압은 171/91mmHg, 맥박은 96회/분, 호흡수는 20회/분, 체온은 36.4도였다. 학생간호사가 처음 대상자를 만났을 때 혈압은 168/103mmHg, 맥박은 99회/분, 호흡수는 21회/분, 체온은 37.0도였다. 호흡 양상은 정상이었으며, 호흡음 또한 정상이었다. 심음은 정상이었고, 심전도 모니터링 결과 특이소견은 없었다. 대상자는 부정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경학적 검사에서 시력과 청력에 특이소견은 없었고, 동공의 크기와 대광반사도 정상이었다. 의식 수준은 명료하였으며, 지남력도 정상이었다. 영양상태 평가 결과, 식사량이 절반 정도였고 건강한 모습이 아니었다. 배뇨는 자연배뇨를 하고 있었고, 소변색은 짚색이었다. 피부는 건조하고 탄력성이 저하되어 있었으며, 피부 병변도 관찰되었다.
1.5.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결과에 따르면, 대상자는 발열, 상처 분비물, 농성 객담, 탁한 소변색 등의 감염과 염증 징후가 관찰되었다. 주요 검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혈검사에서 WBC 10.1 x103/uL로 증가하였고, ESR 64 mm/hr, CRP 1.15 mg/dL로 염증반응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대상자가 감염이나 염증 상태에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Hb 10.7 g/dL, Hct 35.2%로 빈혈 소견을 보였다.
생화학검사에서 공복혈당이 140 mg/dL로 높았고, HbA1c가 6.9%로 당화혈색소가 증가되어 있어 당뇨병 조절이 잘 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전해질 검사에서 Na 134 mEq/L, Cl 89 mEq/L로 저하되어 있어 탈수 상태를 시사한다.
소변검사에서는 단백뇨(++)와 당뇨(+++)가 확인되어 신기능 장애와 고혈당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를 종합하면, 대상자는 급성 감염과 함께 당뇨병 조절 불량, 전해질 불균형, 그리고 신기능 저하 등의 복합적인 건강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1.6. 약물
대상자에게 처방된 약물은 레날민정 60mg, 텔미베타정 80mg, 카베디아정 12.5mg, 후릭스정 40mg, 디로바정 12.5mg, 크라틴정 10mg, 훼로바-유서방정 256mg, 인벨라정 800mg, 네버펜틴 캡슐 100mg, 대웅라베 프라졸정 10mg, 트라젠타정 5mg, 트레시바, 휴물린알주 100단위, 에스로반 연고 10g, 바크락스 연고 0.25g, 유한짓정 100mg, 유한피라진아미드정 500mg, 마이암부톨 400mg, 케이마돌주 50mg/PRN/IM, 비백산 650g, 헤모비덱스 0.1% 1호액 (10L)이다.
레날민정 60mg은 투석환자, 만성신부전환자의 비타민 B, C 보급을 위해 처방되었다. 텔미베타정 80mg과 카베디아정 12.5mg은 고혈압 치료를 위해 투여되었다. 후릭스정 40mg은 전해질 장애, 소변량 증가 등의 증상 개선을 위해 처방되었다.
디로바정 12.5mg과 크라틴정 10mg은 각각 칼슘채널길항제와 동맥경화용제로서 혈압강하 및 심혈관질환 위험 감소를 위해 투여되었다. 훼로바-유서방정 256mg과 인벨라정 800mg은 철분제제 및 해독제로 철 결핍성 빈혈 치료와 혈청 인 조절을 위해 사용되었다.
네버펜틴 캡슐 100mg은 신경병성 통증 치료 목적으로, 대웅라베 프라졸정 10mg은 위궤양 및 역류성 식도염 증상 완화를 위해 처방되었다. 트라젠타정 5mg과 트레시바, 휴물린알주 100단위는 당뇨병 치료제로 투여되었다.
에스로반 연고와 바크락스 연고는 각각 세균성 피부감염증과 단순포진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를 위해 사용되었다. 유한짓정 100mg과 유한피라진아미드정 500mg, 마이암부톨 400mg은 결핵 치료를 위한 약물이다.
마지막으로 케이마돌주 50mg, 비백산 650g, 헤모비덱스 0.1% 1호액(10L)은 중증 및 중등도의 급만성 통증 치료와 만성신부전 환자의 혈액투석 시 투석액 조제에 필요한 약물이다.이처럼 대상자에게 처방된 약물은 당뇨병, 고혈압, 신장질환, 신경병증성 통증, 위장관 질환, 피부 및 감염질환, 결핵 등 다양한 증상과 질병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처방된 약물들은 각각의 작용기전과 부작용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하며, 처방 용량과 투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