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악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순자의 예와 성악설
1.1. 예란 무엇이고 왜 강조했을까?
1.2. 예를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 법, 심
1.3. 우리의 욕망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예, 욕망 그리고 음악
1.4. 순자가 생각하는 올바른 정치: 예치(禮治)
1.5. 인간의 본성은 정말로 악한가?: 성악설(性惡說)
1.5.1. 순자의 성론
1.5.2. 화성기위(化性起僞)와 류(類)의 발현(發現)
1.6. 맹자에 대한 순자의 고찰: 성선설과 성악설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순자의 예와 성악설
1.1. 예란 무엇이고 왜 강조했을까?
우선 예란 고대 성왕(聖王)이 인위적으로 제정한 외면적 규범과 재화를 공정하게 배분하기 위한 사회적 규범이며 본질은 예를 제작하는 객관적 원칙인 의에 있다"" 예(禮)는 처음에는 제사와 관련된 숭배의식을 표현하기 위한 글자였다"" 그러나 차츰 예(禮)는 인간사회의 생활규범까지 포괄하게 되었는데, 순자가 중국사상사에서 예를 인간사회의 최고 가치규범으로 정의했다""
그렇다면 순자가 왜 예를 강조했을까? 우리는 순자가 왜 예를 강조했는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성악설의 개념과 사회 혼란의 원인을 알아야 한다"" 성악설이란 '사람은 선천적으로 갖고 태어난 욕구를 악하게 활용할 가능성이 농후한 존재'라는 의미이다"" 사회 혼란은 인간의 욕망과 자원의 희소성에 의해 발생한다""
순자는 인간의 욕망을 기르되 일정한 제한을 두어 사회 질서를 유지하고자 했다"" 즉, 예를 통해 인간의 물질적 욕구를 적절히 충족시켜 사회갈등을 해결할 수 있다고 보았다"" 순자는 예를 통해 한정된 자원을 권위적으로 배분함으로써 쟁란을 해결하고자 노력했다"" 이는 '불평등의 평등', 즉 빈부귀천의 신분적 등급을 만들어 사회 질서를 바로잡으려는 것이었다""
1.2. 예를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 법, 심
순자는 예를 "법의 큰 부분이며, 공동체의 규범"이라고 정의하면서도 예식을 갖추더라도 "태도"의 문제가 있으면 진정한 도(道)라고 보지 않았다"". 이는 순자가 예를 단순한 법적, 형식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심적인 부분도 중시했음을 보여준다".
순자는 예를 "必由其道至 然後接之 非其道則避之"라 하며, 도(道)에 말미암아야만 상대를 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피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는 예에 있어서 단순히 법적, 제도적인 부분만이 아닌 심적인 태도와 자세가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예를 "恭而後可與言道之方 辭順而後可與言道之理 色從而後可與言道之致"라 하며, 예를 공손히 하고 언사가 순한 뒤에야 도의 방법과 이치, 그리고 도의 이뤄짐을 말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이를 통해 순자가 예에 대해 법적, 형식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심적인 측면도 중요하게 여겼음을 알 수 있다".
1.3. 우리의 욕망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예, 욕망 그리고 음악
순자는 물질...
참고 자료
김병환, 김병환 교수의 동양윤리사상 강의, 새문사, 2018.
신영복, 강의: 나의 동양고전 독법, 돌베개, 2012.
이장희, 순자 性惡說의 의미, 『사회와철학』, 사회와철학연구회, 200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유아교육 / 지옥정, 조혜진 저 / 창지사 / 2021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