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려 무인정권의 붕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고려 무신정권
1.1. 무신정변의 발생과 정권 수립
1.1.1. 무신정변의 개요
1.1.2. 무신정변의 발생 원인
1.1.3. 무신정변의 전개 과정
1.2. 무신정권의 특징과 변화
1.2.1. 무신정권의 초기 집권자들
1.2.2. 최씨 무신정권의 등장과 성립
1.2.3. 최씨 정권의 흥망성쇠
1.3. 무신정권의 영향과 해체
1.3.1. 무신정권 시기 정치기구의 변화
1.3.2. 무신정권의 몰락과 원종의 복위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고려 무신정권
1.1. 무신정변의 발생과 정권 수립
1.1.1. 무신정변의 개요
무신정변은 고려시대 의종 24년(1170년)에 발생한 사건으로, 무신들이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고 자신들의 세력을 강화한 사건이다. 이 사건의 결과 무신정권이 100년간 지속되었다.
구체적으로 무신정변은 1170년 음력 8월 30일 보현원에서 발생하였다. 상장군 정중부를 중심으로 한 무신들이 보현원에서 문신들을 공격하여 한뢰, 김돈중 등 많은 문신들을 살해하였다. 이후 무신들은 의종을 거제현으로, 태자를 진도현으로 유배보내고 의종의 동생 왕호를 왕으로 옹립하였다. 이로써 무신정권이 성립되었고, 이후 100년간 계속되었다.
무신정변의 발생으로 고려 왕조의 엘리트층과 지식인층이 대거 숙청당하거나 지방으로 도피하게 되었다. 또한 무신정권은 중앙정부의 이권을 독점하고 군대를 의도적으로 해체하여 국력 증강을 방해하였다. 이로 인해 고려는 정부의 강력한 행정기반을 회복하지 못하고 오랜 혼란을 겪었다.
1.1.2. 무신정변의 발생 원인
무신정변의 발생 원인은 고려 초기에 도입된 과거제와 문벌귀족 중심의 정치구조에 따른 문신과 무신 간의 차별에 있다. 고려 초기 과거제 도입과 능력 중심의 인재등용으로 지방호족의 세력이 약화되고 문벌귀족 중심의 정치구조가 성립되었다. 이에 따라 문신들이 중용되고 무신들이 차별받게 되면서 무신들의 불만이 쌓이게 되었다.
특히 의종 시기에 문신들의 무신 차별이 심화되었다. 무신 신분의 상장군 이소응이 문신 한뢰에게 뺨을 맞는 사건이 발생하는 등 문신과 무신 간의 갈등이 고조되었다. 또한 의종이 자신의 유흥을 위해 문신들을 우대하고 내시들로 하여금 궁궐을 좌지우지하게 하면서 무신들의 불만이 더욱 커져갔다. 이에 상장군 정중부를 중심으로 한 무신들은 정변을 일으켜 문신들을 숙청하고 의종을 폐위시키는 것으로 무신정변이 발생하게 되었다.
1.1.3. 무신정변의 전개 과정
무신정변의 전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의종 24년(1170) 음력 8월 30일, 보현원 행차 때 상장군 정중부와 그의 동료들이 일으킨 무력 쿠데타로 시작되었다. 의종 일행이 보현원에 도착하자 무신들은 문신들을 급습해 다수의 문신들을 살해했다. 먼저 의종을 호위하던 순검군을 왕의 명령이라 속여 보현원에 배치하고, 의종이 쉬러 보현원에 들어가자 문신 한뢰를 의종의 침대 밑에서 끌어내어 죽였다. 그 외에도 좌승선 직위의 김돈중까지 살해되었다.
무신들은 개경으로 정찰병을 보내 태자를 중심으로 한 반격 움직임이 없다는 확인을 받고, 별동대를 파견해 개경을 점령하고 문신들을 계속 학살하기 시작했다. 음력 9월 1일 오후에 무신들은 의종을 개경 왕궁의 강안전으로 귀환시켰고, 이때 의종을 살해하려던 시도도 있었다고 한다. 이후 다음날 음력 9월 2일 의종을 거제현으로, 태자는 진도현으로 귀양보내고 태손은 죽여...
참고 자료
『高麗史』.
민병하,『한국사』18, 「무신란과 초기의 무신정권」, 국사편찬위원회, 2003.
「진양부와 정방 및 서방」
이기백,『한국사신론』, 일조각, 1999.
박용운,『高麗時代史』下, 「무신정권과 그 사회」, 일지사, 1987.
민현구,『高麗政治史論』, 고려대학교출판부, 2004.
金塘澤, 高麗의 武人政權, 國學資料院, 1999.
金龍善, 高麗蔭敍制度硏究, 일조각, 1991,
金昌賢, 高麗後期 政房 硏究,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1998.
朴龍雲, 고려시대 中書門下省 연구, 일조각, 2000.
朴龍雲, 高麗時代史, 일조각, 2002.
朴龍雲, 「高麗時代의 宰臣과 樞密과 6部尙書의 관계를 통해 본 權力構造」,
박용운,『고려시대사』,일지사,1987
변태섭,『한국사통론』,삼영사,1990.
「고려후기의 무반에 대하여」,『서울대 논문집 인문사회과학』,1966.
이기백, 『한국사신론(한글판)』,일조각,1999
역사신문편찬위원회 편,『역사신문2:고려시대』,사계절.1996
신안식, 『고려 무인정권과 지방사회』,경인문화사,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