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 &e 염색 결과 및 고찰

  • 1
  • 2
  • 3
  • 4
  • 5
  • 6
  • 7
  • 8
>
최초 생성일 2024.11.24
8,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H &e 염색 결과 및 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조직 슬라이드 제작 및 관찰
1.1. 파라핀 블록 제작 및 절편
1.2. H&E 염색
1.3. 면역조직화학염색(IHC)
1.4. 결과 해석

2. 조직학 기본 원리
2.1. 현미경의 구조와 기능
2.2.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의 차이
2.3. 염색의 종류 및 원리

3. 실험 방법
3.1. 현미경 관찰
3.2. 단순 염색
3.3. 그람 염색

4. 실험 결과 및 고찰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조직 슬라이드 제작 및 관찰
1.1. 파라핀 블록 제작 및 절편

파라핀 블록 제작 및 절편은 조직 슬라이드를 제작하는 핵심 단계이다. 먼저, 조직을 파라핀으로 침투시켜 블록을 제작한다. 조직 내부의 수분을 제거하고 파라핀으로 치환하는 과정을 통해 단단한 블록을 만들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조직을 4% 파라포름알데히드로 고정하고, 에탄올 탈수 과정을 거친 뒤 자일렌으로 투명화한다. 이후 액상 파라핀에 침투시켜 온도를 60도로 유지하며 완전히 치환되도록 한다. 이렇게 제작된 파라핀 블록은 마이크로톰으로 5-10μm 두께의 절편을 만들어 슬라이드에 부착한다. 이때 파라핀 절편의 주름이나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물 배스에서 펴서 슬라이드에 옮겨 놓는다. 마지막으로 60도 오븐에서 완전히 말려 조직 단백질 염색을 위한 준비를 마친다. 이러한 파라핀 블록 제작 및 절편 과정은 다양한 조직학적 분석에 활용되는 필수적인 기초 기술이다.


1.2. H&E 염색

H&E 염색은 조직의 단백질 구조를 관찰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염색 방법이다. 이 염색법은 세포 핵과 세포질, 결합 조직 등을 구분하여 관찰할 수 있게 한다.

헤마톡실린(Hematoxylin)은 염기성 염료로 세포 핵을 파란색으로 염색한다. 반면 에오신(Eosin)은 산성 염료로 세포질과 결합 조직을 분홍색으로 염색한다. 이러한 대조 염색을 통해 조직 내 구조와 세포의 상태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인 H&E 염색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파라핀 절편을 탈파라핀하고 함수과정을 거치면 조직 내 수분이 제거된다. 그 후 헤마톡실린 용액에 일정 시간 동안 침지하여 세포 핵을 염색한다. 이후 에오신 용액으로 세포질과 결합 조직을 대조 염색한다. 마지막으로 탈수와 투명화 과정을 거쳐 슬라이드 표본을 제작한다.

H&E 염색은 세포의 형태학적 특징을 관찰하는데 효과적이며, 병리학적 진단에도 널리 활용된다. 핵의 크기, 색상, 모양 등을 통해 정상세포와 비정상세포를 구분할 수 있고, 세포질의 변화나 결합 조직의 양상 등을 통해 조직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H&E 염색은 조직학 연구와 병리학 진단에 필수적인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1.3. 면역조직화학염색(IHC)

면역조직화학염색(IHC)은 조직의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이용하여 조직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항체를 사용하는 절차에 따라 직접법(direct)과 간접법(indirect)으로 나뉜다. 직접법은 효소나 표지자가 부착된 1차 항체가 직접 항원과 결합하는 방식이고, 간접법은 1차 항체가 항원과 결합하고 이에 효소나 표지자가 부착된 2차 항체가 결합하는 방식이다.

특히 형광물질을 항체에 부착시켜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면역형광법(immunofluorescence)은 다양한 파장을 이용해 여러 분자를 동시에 관찰할 수 있어 많이 사용되는 기법이다. 하지만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직접법과 간접법 중 어떤 방식을 선택할지는 주로 대상 항원의 발현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직접법은 항원 발현이 강할 때 적합하고, 간접법은 발현이 약할 때 신호 증폭으로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직접법은 추가적인 2차 항체 결합 과정이 필요 없어 실험 과정이 간단하고 비특이적 결합이나 배경 반응을 줄일 수 있지만, 1차 항체에 결합할 수 있는 표지자의 수가 제한적이라 간접법에 비해 민감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항원 발현 정도에 따라 직접법과 간접법 중 적절한 방식을 선택해야 하며, 때에 따라 두 방식을 병행하여 정확성과 민감도를 높일 수 있다.


1.4. 결과 해석

결과 해석 부분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저배율로 각 기관이 어디인지 판단해야 한다. 간은 상피가 없고 큰 구멍이 나타난다. 이는 간세동이다. 이 두 가지 특징으로 인해 간이라는 것을 알 수 있고, 이후 확대해서 보면 하얀부분이 있는데 이것이 간문맥으로 추측된다. 신장역시 상피가 없고 세로로 기다란 게 보인다. 이는 tubule 때문이다. 동그랗게 사구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것이 사구체가 아닐까 추측한다. ...


참고 자료

김의사박사/쌩초보를 위한 병리학 가이드;2020; 조직학각론
https://blog.naver.com/dlfpomd/221517897841
Wahid, Ahmed & Hamed, Ashraf & Eltahir, Heba & Abouzied, Mekky. (2016).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 of Salix subserrata against CCl4- induced chronic hepatotoxicity in rats. BMC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16. 1-10.
최진성, 이지윤, 정춘식, 정이숙, 이호영, 이은영, 이유미, 이선미, 이명구, 이금화, 이경림. Robbins and Cotran Pathologic basis of disease.
Hsu SM, et al. The use of avidin-biotin-peroxidase complex (ABC) in immunoperoxidase techniques. A comparison between ABC and unlabeled antibody PAP procedures. J Histochem Cytochem 1981;29:577-580.
Mepham BL, Frater W, Mitchell BS. The use of proteolytic enzymes to improve immunoglobulin staining by the PAP technique. Histochem J 1979;11:345-349
Frost AR, Sparks D, Grizzle WE. Methods of antigen recovery vary in their usefulness in unmasking specific antigens in immunohistochemistry Applied Immunohistochemistry & Molecular Morphology 2000;8:236-243
https://blog.naver.com/benemune/222284529524
https://blog.naver.com/one_winterday/222684796086
“hematoxylin”,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Haematoxylin
“What is H&E?”, University of LEEDS
http://www.histology.leeds.ac.uk/what-is-histology/H_and_E.php
“H&E stain”,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H%26E_stain
“Immunohistochemistry”,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Immunohistochemistry
“[TechNote] ImmunoHistoChemistry(IHC) Technical Note”, SeouLin Bioscience
http://www.seoulin.co.kr/contact-center/data/?mod=document&uid=255
Ross, Michael H, and Wojciech Pawlina. Histology: A Text and Atlas : with Correlated Cell and Molecular Biology. Baltimore, MD: Lippincott Wiliams & Wilkins, 2006. Print.
“Immunofluorescence”,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Immunofluorescence
벤슨 1장/현미경(Microscope)/1p, 4p, 5p
일반생물학 실험서/오병운 외 6명/바이오사이언스출판/5p, 6p, 176p
미생물에 대해서 - 5부: 그람양성균, 그람음성균 : 네이버 포스트 (naver.com)
[KOTITI시험연구원] 그람염색, Gram ..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그람염색이란? : 네이버 포스트 (naver.com)
그람 염색의 과정과 결과 그람염색 법 / gram stain (tistory.com)
제품실험자료 - (주)생물나라 (biozoa.co.kr)
그람 염색 - 나무위키 (namu.wiki)
Eldon D.Enger. 《생명과학개론 13판 (Concepts in Biology, 13th Edition)》.
Tim, Sandle (21 October 2015). Pharmaceutical Microbiology: Essentials for Quality Assurance and Quality Control.
Lee, Elisabeth H.L.; Winter, Heinrich L.J.; van Dijl, Jan Maarten; Metzemaekers, Joannes D.M.; Arends, Jan P. (2012년 12월). “Diagnosis and antimicrobial therapy of Mycoplasma hominis meningitis in adults”.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Microbiology》 302 (7-8): 289–292.
Gautier-Bouchardon, Anne V. (2018년 7월 27일). “Antimicrobial Resistance in Mycoplasma spp”. 《Microbiology Spectrum》 6 (4).
그람 염색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