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신생아 간호과정

  • 1
  • 2
  • 3
  • 4
  • 5
  • 6
>
최초 생성일 2024.11.23
7,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고위험신생아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고위험 신생아에 대한 간호
1.1. 사례 소개
1.2.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1.3. 간호중재 및 평가

2.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2.1. 정의 및 병태생리
2.2. 진단 및 검사
2.3. 치료
2.4. 간호중재
2.5. 예방 및 관리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고위험 신생아에 대한 간호
1.1. 사례 소개

김** 아기는 재태연령 34주 2일에 출생하였으며, 출생 시 체중은 1,910g이다. 출생 당시 whole body cyanosis, grunting, nasal flaring, chest retraction이 관찰되었으며 간헐절 tachypnea도 관찰되었다. 출생 당시 HR 100BPM 이상이었으나 activity/crying은 약하였다. 이에 출생 1분경에 T-piece resuctitator로 FiO2 30% apply를 실시하였다. 자가호흡이 약하여 transport incubator 내 mask 5L apply하며 NICU(신생아 중환자실)로 입실하였다.

NICU 입실 후에 환아가 nasal flaring, chest retraction, grunting 소견을 보였으며 아프가 점수는 6/8로 측정되었다. 출생 시 V/S은 BP 47/20mmHg, P 161회/min, R 34회/min, T 36.1°C이다. 재태연령 34주로 미숙아에 해당하며, moro 반사, grasp 반사를 제외한 다른 반사는 관찰되지 않았다. 출생시 whole body cyanosis, grunting, nasal flaring, tachypnea로 보았을 때, RDS를 의심해볼 수 있다. Chest AP(including abdomen) 검사를 통해 RDS를 확진하였다.


1.2.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김** 신생아의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은 다음과 같다.

RDS 진단 시 내릴 수 있는 간호진단으로는 폐의 미성숙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 폐의 미성숙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폐의 미성숙과 관련된 자발적 환기장애, 미숙아의 면역력 결핍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미성숙된 위장관계와 관련된 위장관운동 기능장애 위험성 등이 있다.

그 중 폐의 미성숙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에 대한 간호과정은 다음과 같다.

간호사정 결과, 김** 신생아는 재태기간 34+2주의 미숙아로, 출생 시 whole body cyanosis, grunting, nasal flaring, tachypnea 등의 호흡곤란 증상을 보였다. 활력징후는 BP 47/20mmHg, P 161회/min, R 34회/min, SpO2 75-80% 등으로 나타났다. ABGA 결과 pH 7.29, pCO2 57, pO2 39로 호흡 부전 소견을 보였다.

이에 따라 간호진단은 "폐의 미성숙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으로 내렸다.

간호목표는 장기적으로 대상자가 편안하게 호흡할 수 있는 것이며, 단기적으로는 3일 내에 SpO2가 95-100%를 유지하고 흉부 함몰이 완화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한 간호중재 계획으로, 진단적 중재로는 ABGA 검사 실시 및 결과 확인, SpO2 2시간마다 모니터링하기로 하였다. 교육적 중재로는 보호자에게 호흡곤란 증상에 대해 교육하기로 하였다. 치료적...


참고 자료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s://labtestsonline.kr/tests/bilirubin
서울아산병원 의학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body/bodyDetail.do?bodyId=99
대한진단혈액학회 Newsletter -
http://hema-research.or.kr/newsletter/newsletter.php?sub=3&vol=7&PHPSESSID=3f8343fd2a9d4fa607741bb4b6d21ca7
하나병원 건강증진센터
진단적 검사와 간호 (현문사) 송미순외 4명 2002년 4월25일 발행
신생아 간호학 205페지~219페지(황달)
아동간호학 (학지사메디컬) 239페지-242페지 , 아동건강간호학1 (수문사 홍경자 외 2016.2.26일 발행)
배종우.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Medical POSTGRADUATES, 30(5). 2002. 235-248.
성태정. 신생아 호흡 곤란증 치료의 최신지견. 대한주산회지, 25(2). 2014. 62-65.
김희순, 오진아, 유미애, 유하나, 최지혜, 김가은, 최은경, 진주혜, 하명옥, 박유경.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아동청소년 간호학 I. 수문사. 2021. 351-352.
원종순. 김남초. 박수현. 송민선.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제2판). 현문사. 2018. 249-256.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간행물명, 권(호), 인용면수.
에듀 문항평가개발위원회. 2023년 대비 간호사 국가시험 핵심문제집 아동간호학. 에듀팩토리. 2022. 145.
퍼시픽 학술편찬국. 2023년 대비 퍼시픽 간호사 국시대비 문제집 아동간호학. 퍼시픽북스. 2022. 218-219.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