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효율적인 의사소통 주제 거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의사소통의 개념 및 중요성
1.2. 긍정적인 의사소통의 필요성
2. 의사소통 기술
2.1. 공감
2.1.1. 공감하기의 개념
2.1.2. 공감 연습
2.2. 반영적 경청
2.2.1. 반영적 경청의 개념
2.2.2. 반영적 경청 기술의 향상
2.3. 나-전달법
2.3.1. 나-전달법의 개념
2.3.2. 나-전달법의 장점
2.3.3. 나-전달법의 단계
2.4. 부탁하기와 거절하기
2.4.1. 부탁하는 요령
2.4.2. 거절하는 요령
3. 효과적인 의사소통 연습
3.1. 이심전심
3.2. 경청자 자세 점검하기
3.3. 나-전달법 연습하기
3.4. 정중한 부탁과 거절
4. 결론
4.1. 의사소통의 중요성 강조
4.2. 의사소통 기술 활용의 필요성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의사소통의 개념 및 중요성
의사소통(communication)이란 "상호 공통점을 나누어 갖는다"라는 의미로 라틴어 'communis(공통, 공유)'에서 비롯된 말이다. 의사소통은 두 사람 또는 그 이상의 사람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의사 전달과 상호교류가 이루어진다는 뜻이며, 어떤 개인 또는 집단이 정보, 감정, 사상, 의견 등을 전달하고 그것들을 받아들이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의사소통은 두 사람 이상의 사람들 간에 언어적, 비언어적인 수단을 통하여 자신들의 의견, 사실, 정보, 감정, 태도, 신념, 생각 등을 전달하고, 그에 따른 반응을 받으면서 상호 간 의미를 공유하는 과정이다.
의사소통의 중요성으로는 의사소통은 타인과의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사회적 능력의 하나이며, 가정, 학교, 직장, 지역사회 등과 같은 조직 내에서의 의사소통은 긍정적인 관계 형성과 유지 외에도 갈등을 완화시키고 협력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의사소통은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의미와 이해를 만들기 위해 언어, 문서, 비언어적인 수단을 통해 상호 노력하는 과정이며 의사소통의 정확한 목적을 알고, 의견을 나누는 자세가 필요하다. 특히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상대방이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상대방이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에 대한 고려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긍정적인 의사소통은 상대방과의 의사소통 과정에서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표현 대신 긍정적이고 서로를 지지하는 표현이 사용될 때 이루어진다.
1.2. 긍정적인 의사소통의 필요성
긍정적인 의사소통의 필요성은 의사소통 과정에서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표현 대신 긍정적이고 서로를 지지하는 표현이 사용될 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긍정적인 의사소통은 상대방과의 정보 교환을 원활하게 하고, 상호작용을 촉진하며, 긍정적인 정서를 만들어내는데 기여한다. 특히 의사소통에서 감사, 지지, 도움, 수용, 칭찬과 같은 긍정적인 발언은 비판, 불인정, 불만족, 냉소, 멸시 등과 같은 부정적 발언보다 훨씬 좋은 수행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긍정적인 의사소통이 상대방과의 정보 교환을 원활하게 하고, 상호작용을 촉진하며, 긍정적인 정서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긍정적인 의사소통은 타인과의 원만한 관계 형성과 유지, 그리고 더 나은 성과를 이끌어내는데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2. 의사소통 기술
2.1. 공감
2.1.1. 공감하기의 개념
공감은 상대방의 이야기를 듣고 느낌과 감정을 잘 읽어주는 것을 말한다. 공감적으로 이해한다는 것은 상대의 경험과 감정을 이해할 뿐 아니라, 상대의 경험과 감정을 잘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언어와 태도로 표현해 주는 것이다. 공감을 잘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의 마음은 미지의 세계라는 점을 인정해야 하며, 선입견이나 편견을 내려놓고 열린 마음으로 상대방에게 다가가야 한다. 또한 자신의 감정과 상대의 감정을 분별할 줄 알아야 하고, 자기감정에 휩싸이기보다는 평정을 유지해야 한다.
2.1.2. 공감 연습
공감 연습은 공감을 잘하기 위해 필요한 절차로, 반영하기-인정하기-공감하기의 3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반영하기 단계에서는 상대방의 메시지를 정확하게 그대로 반복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친구 A가 "나는 오늘 아침 일어났을 때, 오늘 우리 조 발표가 잘 될까 걱정이 됐어."라고 말하면, 친구 B가 "네가 오늘 아침 일어났을 때, 우리 조가 발표를 잘 할 수 있을까 걱정했단 말이지?"라고 반영하는 것이다"".
둘째, 인정하기 단계에서는 자신의 관점이 아닌 상대방의 눈으로 입장을 바꿔서 바라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친구 A가 "나는 매번 조별 발표를 하면 시간이 너무 부족해서 할 말을 다 못하는 것 같아."라고 말하면, 친구 B가 "네 말은 조별 발표에서 매번 시간이 모자라서 하고 싶은 말을 다 못했다는 거지? 맞아, 교수님께서 시간을 조금만 더 주셨더라면, 아마 준비한 내용을 다 발표할 수 있었을 거야."라고 인정하는 것이다""
셋째, 공감하기 단계에서는 상대방의 감정을 실제로 느끼고 경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친구 A가...
참고 자료
양경희. (2019). 건강한 인간관계를 위한 의사소통 기술 한국간호연구학회편. 퍼시픽북스. 서울.
원더풀 마인드. (2018). 효율적인 소통을 위한 8가지 키포인트. November 13, 2020,
from https://wonderfulmind.co.kr/8-keys-to-effective-communication/
[네이버 지식백과] 의사소통 [意思疏通, communication]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2009., 국립특수교육원)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83967&cid=42128&categoryId=42128
[네이버 지식백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nonverbal communication, 非言語的意思疏通]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74377&cid=62841&categoryId=62841
[네이버 지식백과] 상호작용 [interaction] (사회학사전, 2000. 10. 30., 고영복)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520767&cid=42121&categoryId=42121
[네이버 지식백과] 상호작용 [interaction, 相互作用]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10159&cid=40942&categoryId=32229
[네이버 지식백과] 대인관계 [對人關係, interpersonal relation] (교육학용어사전, 1995. 6. 29.,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네이버 블로그] 제 14장 의사소통과 인간관계 (ClinicalTrials, CRC교재)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hanbill&logNo=140107872917
행복한 삶을 위한 인성 교육, 황해익, 정민사, 2020.12.20
이현주(2016), 관계의 99%는 소통이다. 원앤원북스,
조신영, 박현찬(2007), 마음을 얻는 지혜, 경청, 위즈덤하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