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거기반간호 PICO 사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최초 생성일 2024.11.23
9,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근거기반간호 PICO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비강염증 환자 관리와 생리식염수 코 세척
1.1. 비강염증의 정의와 원인
1.2. 비강염증의 증상과 치료방법
1.3. 비강세척의 방법과 효과
1.4. 비강염증 환자에 대한 생리식염수 코 세척의 효과
1.4.1. 비강염증 증상의 개선
1.4.2. 삶의 질 향상
1.4.3. 부작용 경감
1.5. 비강염증 환자에 대한 생리식염수 코 세척의 권고안
1.6. 임상현장에서의 생리식염수 코 세척 적용
1.7. 참고문헌

2. 전신마취 수술 환자의 폐 합병증 예방
2.1. 전신마취 수술 환자의 폐 합병증 발생
2.2. 전신마취 수술 환자에서 심호흡 운동과 흡기 근육 훈련의 효과
2.2.1. 폐 합병증 예방
2.2.2. 통증 감소
2.3. 국내외 문헌 고찰 결과
2.4. 전신마취 수술 환자 관리를 위한 심호흡 운동과 흡기 근육 훈련 적용
2.5. 참고문헌

3. 수술 환자의 체온 유지 및 통증 완화
3.1. 복강경 담낭절제술 환자의 특성
3.2. 가온가습호흡회로의 적용 효과
3.2.1. 체온 유지
3.2.2. 통증 완화
3.3. 복강경 담낭절제술 환자에서 가온가습호흡회로 적용의 의의
3.4. 참고문헌

4. 국소마취 수술 환자의 불안 해소
4.1. 국소마취 수술 환자의 불안 요인
4.2. 음악요법의 적용 효과
4.3. 국소마취 수술 환자에서 음악요법 적용의 의의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비강염증 환자 관리와 생리식염수 코 세척
1.1. 비강염증의 정의와 원인

비강염증은 "코 안(비강 내)의 염증"을 의미한다. 크게 "알레르기성 비염"과 "만성 비염"으로 구분되지만 둘 사이의 명확한 구분 기준은 없다고 할 수 있다. 알레르기성 비염 중 하나인 "통년성 비염(4계절 내내 지속되는 비염)"을 만성 비염으로 칭하기도 한다.

비강염증의 원인으로는 첫째, 급성 비염에 대한 치료가 불완전하여 비염이 반복될 때 나타난다. 둘째, 부비동이나 편도 조직의 만성적인 염증으로 인해 비염이 오랫동안 지속되거나 전신적인 영양 상태가 불량하거나 면역력이 약할 때도 만성 비염이 나타난다. 셋째, 알레르기성 비염의 지속, 비강 구조의 이상, 자율신경계의 불균형, 호르몬 이상, 약물 등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다.""


1.2. 비강염증의 증상과 치료방법

비강염증의 주된 증상은 코 막힘, 콧물, 재채기 등이며, 신경이 노출되어 발작적인 재채기를 할 때도 있다"" 만성 비염의 경우 오전에 코 막힘과 콧물 증상이 가장 심하고 오후가 되면서 완화되는 특징이 있다"" 만성 부비동염의 경우 코막힘, 지속적인 누런 콧물, 얼굴 통증, 코 뒤로 넘어가는 콧물(후비루)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더 진행되면 후각감퇴, 두통 및 집중력 감퇴 등을 호소하고, 중이염이나 기관지염이 생기기도 한다""

비강염증의 치료방법으로는 약물치료와 수술적 치료가 있다"" 알레르기성 및 만성 비염은 유년기에서 사춘기까지 증상이 심해졌다가 성년이 되면서 증상이 완화되는 경우가 많지만 증상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질병, 면역력,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증상이 변화되기도 한다"" 비후성 비염의 경우 수술적인 치료법으로 비갑개 성형술이나 비갑개 절제술, 레이저 수술, 고주파를 이용한 수술 등을 하는데 수술로써 만족할 만한 효과를 보는 환자군은 전체 환자군 대비 소수에 불과하다""

만성 부비동염은 약물치료와 함께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비강세척이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약물로 치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적인 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다"" 과거에는 입술을 들고 수술하는 상악동근치수술이 일반적으로 시행되었지만, 현재는 부비동 내시경수술이 보편화되면서 과거에 비해 정밀한 수술 및 처치가 가능해졌고 높은 성공률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1.3. 비강세척의 방법과 효과

비강세척의 방법은 체온과 비슷한 30~35°C 정도의 생리식염수를 준비하고, 손을 깨끗하게 씻은 후 주사기에 생리식염수를 채워 고개를 약 45도 정도로 숙인 상태에서 주사기 끝을 코에 넣고 생리식염수를 주입하며, 잠시 숨을 참거나 식염수가 들어갈 때 '아'하고 소리를 내는 것이다. 반대쪽 코도 같은 방법으로 시행하며, 한번에 약 20~100cc정도를 하루 1~3회 정도 시행한다. 사용한 기구는 세척하여 건조한다""
비강세척의 효과는 코 안 높은 점성의 점액 및 가피, 이물질 등을 제거해서 점막의 점액섬모운동(비점막에서 점액을 지속적으로 코 인두 쪽으로 이동시켜주는 정상적인 움직임)을 회복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최근 연구에서는 꽃가루 알레르기 비염 환자도 항원(꽃가루)이 많은 시기에 식염수세척을 시행하면 전반적인 증상의 호전을 보이고 약물의 사용 빈도를 감소시켰다는 보고도 있다. 식염수세척은 정확하고 위생적인 방법으로 시행한다면 비염의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1.4. 비강염증 환자에 대한 생리식염수 코 세척의 효과
1.4.1. 비강염증 증상의 개선

생리식염수 코 세척은 비강염증 환자의 증상 개선에 효과적이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코 세척은 비강염증 환자에게서 증상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코 세척을 받은 환자군에서 증상 점수가 대조군에 비해 27.66% 더 개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만성 비염 및 부비동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생리식염수 코 세척 후 코 막힘, 콧물, 후비루 등의 증상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세척 후 비충혈과 비부종이 감소되어 환자들의 주관적 증상도 호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만성 부비동염 환자의 경우, 생리식염수 코 세척을 통해 부비동 분비물 배출이 촉진되고 비강 내 pH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 인해 만성 염증 상태가 호전되면서 반복되던 증상들도 감소하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계절성 알레르기 비염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고장성 식염수 코 세척이 등장성 식염수 세척에 비해 코 증상과 비강 내 호산구 수 등을 더 큰 폭으로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식염수 용액의 농도에 따라서도 증상 개선 효과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종합해보면, 비강염증 환자에게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코 세척은 다양한 기전을 통해 증상을 개선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기존의 약물 치료에 부가하여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보조 요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1.4.2. 삶의 질 향상

생리식염수 코 세척이 비강염증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은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식염수 세척은 비강 내 높은 점성의 점액 및 가피,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 점막의 점액섬모운동을 회복시켜주는 기능을 하므로, 코막힘, 콧물, 재채기 등의 증상 완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식염수 세척을 정기적으로 시행한 결과 코 증상이 27.66% 개선되었고, 약물 사용량도 62.1% 감소하였다. 또한 삶의 질 또한 27.88%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식염수 세척이 알레르기 비염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효과적임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계절성 비염이 있는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buffered hypertonic saline 세척이 코 증상과 삶의 질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냈다. 세척을 받은 환자군에서 증상 점수의 유의한 감소와 삶의 질 향상이 관찰되었다.

이처럼 비강염증 환자에게 생리식염수 세척을 적용하면 코 증상의 개선과 더불어 삶의 질 향상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환자들의 불편감을 해소하고 건강 관련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라 할 수 있다.


1.4.3. 부작용 경감

생리식염수 코 세척 시 부작용은 경미하며,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생리식염수 코 세척을 받은 환자군과 대조군 간 부작용 발생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참고 자료

Saline irrigation for allergic rhinitis, Karen Head, Cochrane Systematic Review, 22 June 2018
Saline irrigation for chronic rhinosinusitis, Cochrane Systematic Review, Lee Yee Chong, 26 April 2016
만성부비동염 환자에서 생리식염수 세척이 비강 내 pH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대학원의학과, 윤정희, 2009. 7.
asal irrigation for chronic sinus symptoms in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asthma and nasal,David P. Rabago,1 Emily Guerard,2 and Don Bukstein3(2008)
Nasal irrigation as an adjunctive treatment in allergic rhinit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Kristina E. Hermelingmeier, 2012
Effectiveness of steam inhalation and nasal irrigation for chronic or recurrent sinus symptoms in primary care: a pragmatic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Paul Little, 2016
Saline irrigation for chronic rhinosinusitis, Lee Yee Chong, 2016
Efficacy of Buffered Hypertonic Saline Nasal Irrigation for Nasal Symptoms in Children with Seasonal Allergic Rhinitis, Velia Malizia, 2017
Saline nasal irrigation for acute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David King, 2015
Nasal irrigation for chronic sinus symptoms in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David P. Rabago, 2009
Long-term Outcome of Once Daily Nasal Irrigation for the Treatment of Pediatric Chronic Rhinosinusitis, Vinh Pham, 2013
[네이버 지식백과] 비염 [鼻炎, rhinitis] (자생한방병원 한방의학정보)
만성 부비동염 [chronic sinusiti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이월숙, 양유리, 오의금. (2014). 수술 후 폐 합병증 예방을 위한 심호흡 운동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기본간호학회지. 21(4), 423-432
Kendall F, Oliveira J, Peleteiro B, Pinho P, Bastos PT. (2018). Inspiratory muscle training is effective to reduce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and length of hospital sta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864-882.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제 7판, 현문사, 2019
성인간호학실습Ⅳ지침서 수술실 학생용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