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도뇨관 근거기반 간호사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최초 생성일 2024.11.23
10,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유치도뇨관 근거기반 간호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근거기반간호의 이해
1.1. 근거기반간호
1.1.1. 근거기반실무의 개념과 구성요소
1.1.2. 근거기반 실무의 등장 배경과 필요성
1.2. 근거기반실무 모델
1.2.1. 긴밀한 협동을 통한 연구와 임상실무 발전 모델
1.2.2. 지식 변형에 대한 ACE star 모델
1.3. 근거기반실무의 기초
1.3.1. 근거의 위계(hierachy of evidence)
1.3.2. 연구 설계

2. 근거기반 간호의 실제
2.1. 임상질문
2.1.1. 임상질문의 필요성
2.1.2. 임상질문의 유형
2.1.3. 임상질문의 형식
2.1.4. 임상질문 작성
2.2. 근거검색
2.2.1. 근거검색 전략수립
2.2.2. 근거검색 수행
2.2.3. 문헌선정
2.3. 비평적 평가
2.3.1. 비평적 평가의 정의와 필요성
2.3.2. 질평가
2.3.3. 임상적 효과 평가
2.4. 권고등급 설정
2.4.1. 권고등급의 정의와 필요성
2.4.2. SIGN 권고등급 체계
2.4.3. GRADE 권고등급 체계
2.5. 실무적용 및 평가
2.5.1. 근거기반실무의 적용
2.5.2. 근거기반간호실무의 장애요인과 촉진전략

3. 근거기반 간호의 확산
3.1. 기관에서 근거기반실무 도입과 확산
3.1.1. 간호부서 근거기반실무 운영을 위한 체계 구축 과정
3.1.2. 간호단위 근거기반 실무 프로젝트 사례
3.1.3. 근거기반실무 결과의 확산 : SMC 사례
3.2. 근거기반 임상 실무 지침
3.2.1. 병원간호사회
3.2.2. 국내 근거기반 임상간호실무지침의 주제 선정 및 우선순위 연구
3.2.3. 국내 근거기반 간호 연구의 동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근거기반간호의 이해
1.1. 근거기반간호
1.1.1. 근거기반실무의 개념과 구성요소

근거기반실무(Evidence-Based Practice, EBP)는 오늘날 보건의료실무의 기반이 되는 가장 중요한 원리로서 보건의료실무와 교육에서 패러다임의 변화이며, 안전하고 질적인 보건의료 제공을 위한 시금석으로 간주되고 있다. 근거기반간호(Evidence-Based Nursing, EBN)는 근거기반실무의 원리가 간호분야에 확대 적용된 개념이다.

근거기반실무의 개념과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거기반간호(EBN)의 정의는 활용 가능한 최상의 근거를 간호사의 임상적 전문성, 개인, 가족, 지역사회의 가치 및 선호도와 통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둘째, 근거기반 실무의 구성요소는 ①근거, ②의료인의 임상적 전문성, ③환자의 선호도와 가치로 이루어진다. ①근거는 임상적 의사결정이나 임상 프로토콜의 기초로 사용되는 객관적인 지식 또는 정보를 의미하며, 최상의 근거는 이들 근거에 대한 엄격한 비평적 평가를 통해 가장 높은 수준의 근거로 결정된 정보를 말한다. ②의료인의 임상적 전문성은 각 환자의 건강상태, 진단, 잠재적 중재의 각 환자에 대한 이득과 위해, 환자의 가치와 기대를 빠르게 규명하기 위해 의료인이 임상기술과 과거경험을 사용하는 능력이다. ③환자의 선호도와 가치는 환자의 선호도, 관심, 기대, 가치 등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

이러한 근거기반실무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간호사들은 최상의 간호실무를 제공하게 되어 대상자의 간호결과를 개선시키고, 비용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1.2. 근거기반 실무의 등장 배경과 필요성

근거기반 실무의 등장 배경과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적 근거가 불확실한 의료서비스 제공이다. 환자들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의료서비스를 받을 권리를 갖고 있으나, 활용 가능한 최상의 근거에 기반을 두지 않는 실무는 환자에게 위해를 줄 수 있다. 이는 새로운 연구를 통해 근거가 계속 진화하는데 의료인이 진화된 최신의 근거를 습득하지 못하거나 실무에 적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둘째, 보건의료정보량의 폭발적 증가이다. 보건의료분야의 연구를 통해 지식이 급속히 생성되고 있으며 그 양도 매우 방대하다. 개별 의료인이 이렇게 방대한 보건의료정보를 처리하여 최신 의학지식을 습득하고 따라가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 되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이 실무현장에서 제기되는 임상질문에 타당한 답을 얻기 위해 방대한 보건의료정보로부터 문헌을 체계적으로 검색하여 비평적 평가를 수행하고 근거를 종합하여 의료인에게 근거기반임상실무지침을 제공해주고, 이들 실무지침을 실무현장에 적용하도록 촉진하는 근거기반실무 접근이 요청되고 있다.

셋째,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과 비용효과성에 대한 요구 증가이다. 전 세계적으로 의료비 지출의 계속적인 증가 추세에 따라 질적 의료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근거기반실무를 통해 의료인은 현재까지 활용 가능한 최상의 근거에 기반을 둔 실무를 하게 됨으로써 의료의 질을 높이고, 대상자에게 최상의 건강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1.2. 근거기반실무 모델
1.2.1. 긴밀한 협동을 통한 연구와 임상실무 발전 모델

The Advancing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through close Collaboration (ARCC) model는 Melnyk과 Fineout-Overholt(2002)가 개발한 모델로, 보건의료기관과 임상현장에서 근거기반실무를 전 조직에 적용하고 지속시키는 것을 안내하는 개념틀이다.

이 모델은 다음과 같은 주요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첫째, 근거기반 실무의 광범위 적용을 위한 조직문화와 준비 정도를 사정한다. 조직문화가 근거기반실무를 촉진 또는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근거기반 실무의 강점과 장애요인을 확인한다. 잠재적 강점에는 근거기반 실무 철학, 근거기반실무 멘토와 변화촉진자의 존재, 행정적 지지 등이 있고, 잠재적 단점에는 근거기반실무 멘토와 변화촉진자의 부족, 지식과 기술 부족, 가치 부족 등이 있다.

셋째, 근거기반실무 멘토의 개발과 활용이다. 멘토는 조직문화에서의 근거기반실무 변화를 지속시키고 간호사의 행위변화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넷째, 근거기반실무의 적용이다. 임상질문으로부터 시작되며 임상적 의사결정을 할 때 연구근거와 실무기반근거를 모두 포괄하고, 실무기반근거를 수집하는 보건의료제공자의 전문성, 환자와 가족의 지지 및 선호도를 함께 통합한다.

결과적으로 근거기반실무 문화를 촉진하는 조직뿐만 아니라 환자와 보건의료제공자에게도 확산될 수 있으며, 이는 보건의료 전체를 변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근거기반실무를 적용하면 보건의료제공자의 만족도와 결속력 증가, 이직의도 감소, 사직 감소 등의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환자결과의 개선과 의료비용 감소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2.2. 지식 변형에 대한 ACE star 모델

지식 변형에 대한 ACE star 모델은 Stevens(2012)가 개발한 모델로 지식의 발견에서부터 환자의 건강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한 개념틀을 제공한다. 별의 다섯 개 점은 지식변형의 다섯 단계를 의미한다.

첫째, 발견 연구 단계는 새로운 지식이 전통적인 연구방법인 조사연구, 무작위대조연구, 질적연구와 같은 일차 연구를 통해 발견되는 단계이다.

둘째, 근거 요약 단계는 근거기반실무를 위하여 집대성한 연구지식을 하나의 의미 있는 과학적 진술로 합성하는 단계이다. 가장 수준 높은 근거합성 방법은 무작위대조연구로부터 근거요약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셋째, 지침으로 전환 단계는 근거요약을 실제 실무로 전환하는 것으로, 근거를 실무 권고안으로 전환하는 것과 실무로 통합하는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근거기반임상실무지침은 임상적 권고안과 지지하는 근거의 강점간의 연결을 명백하게 보여준다.

넷째, 실무 통합 단계는 개인과 조직의 실무 모두에서의 변화를 포함한다.

다섯째, 과정 및 결과 평가 단계는 대상자의 건강결과에 대한 근거기반실무의 영향, 제공자와 대상자의 만족, 효율성, 효과성, 경제적 분석, 건강상태 영향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ACE star 모델은 지식 변형의 맥락 안에서 최상의 근거가 실무로 변화하는 방법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1.3. 근거기반실무의 기초
1.3.1. 근거의 위계(hierachy of evidence)

근거의 위계(hierachy of evidence)는 다양한 근거 중 어떤 근거가 임상질문에 대해 보다 신뢰할만한 답을 제공하는 근거 유형인지를 알려주는 것이다.

근거의 위계에 대한 관심은 방법론적으로 엄격하지 못한 연구에서 오류가 있는 결론이 도출되는 경험을 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즉 과거에는 방법론적으로 엄격하지 않은 연구에 기초한 치료방법이 널리 적용되었으나, 무작위대조연구로 검증하였을 때 효과가 없거나 오히려 위해가 있는 것으로 밝혀진 사례가 많았다.

근거의 위계에 따르면 전문가 의견이나 증례보고는 중재 또는 치료 효과가 타당한지에 대해 가장 낮은 수준의 근거를 제공한다. 보다 높은 수준의 증거는 환자-대조군 연구와 코호트 연구로 얻어진 결과이며, 그보다 상위에 속한 것이 무작위대조연구이고, 가장 최상의 근거는 무작위대조연구들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체계적 문헌고찰이다.

이처럼 근거의 위계는 연구방법의 엄격성에 따라 근거의 신뢰성을 나타내며, 근거기반의학에서는 전문가 의견보다는 연구 근거를, 그리고 연구 근거 중에서도 무작위대조군연구를 더 우월한 근거로 간주한다. 근거의 위계가 높을수록 보다 객관적인 결과를 제시하고 중재를 적용하였을 때 동일한 결과를 가져올 것을 더욱 확신할 수 있게 된다.


1.3.2. 연구 설계

임상연구는 적용되는 연구설계의 종류에 따라 연구결과로 도출된 인과관계에 관한 결론의 타당도가 달라진다. 임상연구 분류에 대한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

이 알고리즘에 따르면, 근거를 생성하는 연구설계는 연구자가 중재/노출을 할당했는지 여부에 따라 실험연구와 관찰연구로 분류된다. 실험연구는 무작위 여부에 따라 무작위대조연구와 비무작위대조연구로 분류되며, 관찰연구는 비교군 여부에 따라 분석연구와 기술연구로 분류된다. 분석연구는 노출과 결과간의 관계분석에 대한 방향성에 따라 코호트 연구, 환자-대조군 연구, 단면 연구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구설계는 연구 결과의 타당도와 직접적으로 관련되며, 근거기반실무를 위해서는 방법론적으로 엄격한 연구설계를 통해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생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근거기반 간호의 실제
2.1. 임상질문
2.1.1. 임상질문의 필요성

임상질문은 간호사가 실무에서 당면하는 의문을 질문의 형태로 제기한 것이다. 임상질문 작성은 문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근거를 찾는데 시간을 적게 소모하거나 시간을 최적화하는 이점이 있으며,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탐색 전략과 유용한 답변을 얻을 수 있는 형식을 제공하기도 한다. 간호사들이 자신의 실무에 대해 그것이 최상의 중재방법인지 불확실하거나 논란의 여지가 있을 때, 중재의 효과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거나 기대하지 않은 환자의 결과가 발생할 때, 관습에 의한 반복적인 실무 등의 상황이 있을 때 임상질문이 촉진된다. 임상적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질문은 환자의 안위에 관련이 되면서 반복적으로 제기 되는 문제 또는 환자에게 중요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 예상되는 질문이다.


2.1.2. 임상질문의 유형

임상질문의...


참고 자료

Mikyung Moon(2013)
“Using the Iowa Model for Promoting Evidence—Based Practice [EBP] in Nursing: Preventing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CAUTI]
공보경(2021). 의료 관련 감염균의 청진기오염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bmeta.knou.ac.kr:8010/link?id=T15784701
김남초, & 김양리(2003). 인공호흡기 튜브교환주기에 따른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발생률. 성인간호학회지, 15(3), 463-471. Retrieved from http://www.dbpia.co.kr.libmeta.knou.ac.kr:8010/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544728
김윤미, 조성현, 전경자, 신순애, & 김지윤(2012). 의료기관 간호사 확보수준이 수술환자의 사망, 폐렴, 패혈증, 요로감염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5), 719-729.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bmeta.knou.ac.kr:8010/link?id=A100116247
김은진, 곽이경, 곽선희, 고수희, 김진화, 김의석, 등(2020). 전국의료관련감염감시체계 중환자실 부문 결과 보고: 2018년 7월부터 2019년 6월. 의료관련감염관리, 25(2), 115-127. DOI: https://doi.org/10.14192/kjicp.2020.25.2.115
김지은(2016). Essentials of Primary Care: 감염 : C. difficile 감염: 진단과 치료의 최신 지견. 대한내과학회 춘계학술대회. VOL.2016 (No.-).157-159.
김태형(2020). KONIS는 어떻게 탄생하였고 우리는 어떻게 개선시킬 것인가?. Korean J healthc assoc Infect Control Prev 25(1): 1-3. DOI: https://doi.org/10.14192/kjicp.2020.25.1.1
노경호, 정혜란, 김수현, 최희정, 정선주, 손희정 등(2020). 2018년 전국 수술부위감염 감시체계 결과보고. 의료관련감염관리 25.2, 128-136. Retrieved from https://doi.org/10.14192/kjicp.2020.25.2.128
송의림, 김숙영(2016).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 프로그램이 폐렴 발생률과 기관내 균집락화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28(6),628-636. Retrieved from https://doi.org/10.14192/kjicp.2019.24.2.97
이용균, 신현희(2017). 국내병원의 유형별 손위생 수행실태 조사분석.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23(3), 9–17. Retrieved fromhttps://doi.org/10.15682/JKIHA.2017.23.3.9
임지영, 조혜진, 최영화, 문경선(2019). 혈액배양 시 피부소독 방법 개선 전, 후 혈액배양 오염률 비교. 의료관련감염관리. 24(2). 97-102.
유재영, 심봉석, 윤하나(2008). 장기간 도뇨 카테터 유치 환자에서 urovaxomⓇ 의 요로감염 예방효과에 대한 초기 연구. 한국요로생식기감염학회지. 3(1):95-98.
최은영, 송민선(2019). 중소병원 간호사의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감염관리 수행 영향 요인. 임상간호연구, 25(3), 303-313. Retrieved from http://www.dbpia.co.kr.libmeta.knou.ac.kr:8010/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400757
하현정, 박정하, & 김명희(2016). 중환자실 간호사의 유치도뇨관, 중심정맥관 및 인공호흡기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과 수행도.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6), 113-120. Retrieved from http://www.dbpia.co.kr.libmeta.knou.ac.kr:8010/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215414
Foxman B.(2002). Epidermilology of urinary tract infections: incidence, morbidity, and economic costs. Am J Med 113(S1A):5-13
Haley RW, Culver DH, White JW, Morgan WM, Emori TG, Munn VP, et al. (1985). The efficacy of infection surveillance andㅜcontrol programs in preventing nosocomial infections in US hospitals. Am J Epidemiol 121:182-205.
Harbarth S, Sax H, Gastmeier P. (2003). The preventable proportion of nosocomial infections: an overview of published reports. J Hosp Infect 54:258-66; quiz 321.
Naber KG, Wagenlehner F(2004). Antibiotics and resistance of uropathogens. EAU Update Series 2:125-35
https://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67 에서 2021년 11월 30일 발췌함
구미옥, 조명숙, 조용애, 은영, 정재심, 정인숙 등 (2010), 국내 근거기반 임상 간호실무지침의 주제 선정 및 우선순위, 병원간호사회 용역연구보고서.
구미옥, 조용애, 은영, 정인숙, 이선희, 서현주 등 (2018), 근거기반간호 입문, 포널스출판사
류세양, 윤순원, 김윤숙 (2017). 국내 근거기반간호연구의 동향, 간호행정학회지, 23(4), 385-396
윤지선 ·김은옥·박희정·문경혜 ·서유선 ·김이영 ·김연희 등 (2013), 수술 후 환자에서 심부정맥혈전증 예방을 위한 무릎형 항혈전 스타킹과 허벅지형 항혈전 스타킹의 효과 비교: 근거기반실무 적용 사례, 한국근거기반 간호학회, 25~32
박경희 외 10인 (2018), 국내 병원의 근거기반간호 수행 현황과 한국근거기반간호학회의 역할 근거와 간호 2018년 6권 1호 p.11 ~ 21
https://khna.or.kr/home/main/
http://www.kebn.or.kr/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