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천식 환자 관리에 있어 호흡 운동의 효과
1.1. 임상 시나리오
김창원(F/50)은 호흡곤란과 불안으로 응급실을 방문하였다. 김창원 환자는 어릴 때부터 천식(asthma)이 있었지만 아무리 치료를 해도 효과가 없었다고 하였다. 이 환자는 집에서 albuterol MD를 반복 사용하였으나 증상이 완화되지 않는다고 말하였다. 이 환자를 위하여 담당 간호사는 약물치료 이외에 천식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 궁금해졌다. 천식의 비약물적 요법에는 흡연, 규칙적인 운동, 체중 감량, 폐렴 구균 접종, 호흡 운동 등이 있다. 담당 간호사는 비약물적 요법 중 호흡 운동의 효과에 대한 근거를 찾아 지침을 마련하기로 하였다.
1.2. 임상질문
1.2.1. 배경 질문
천식의 발생 원인은 유전적 요인, 알레르기 반응, 환경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천식은 기도의 염증과 과민성 반응으로 인해 기도 수축, 점액 분비 증가, 폐 기능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천식 증상은 천명, 호흡 곤란, 기침, 가슴 답답함 등이 있으며, 발작적으로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밤낮으로 변동이 심하고 아침에 더욱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천식의 치료방법으로는 약물치료와 비약물적 요법이 있다. 약물치료에는 기관지 확장제, 스테로이드제, 항염증제 등이 사용되며, 비약물적 요법에는 금연, 규칙적인 운동, 체중 감량, 폐렴구균 백신 접종, 호흡 운동 등이 있다. 호흡 운동의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복식 호흡, 입술 모아 내쉬기, 이완 호흡, 운동 등이 있다.
1.2.2. 구체적 질문
천식 환자에게서 호흡 운동이 주관적/객관적 천식 증상(천명음, 호흡 곤란, 흉부 압박감)을 감소시키는가, 천식 환자에게서 호흡 운동이 삶의 질을 증가시키는가, 천식 환자에게서 호흡 운동이 천식지속증 발생 빈도를 감소시키는가 등의 구체적 질문들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구체적 질문들은 천식 환자의 증상 완화와 삶의 질 향상에 호흡 운동이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천식은 기도 수축과 염증으로 인해 호흡곤란, 기침, 천명음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증상을 줄여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천식지속증은 잦은 악화로 이어져 위험할 수 있으므로, 호흡 운동이 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천식 환자 관리에 있어 호흡 운동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실제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1.2.3. PICO 질문
PICO 질문은 천식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서 호흡 운동이 호흡 운동을 하지 않는 환자에 비해 천식 증상(천명음, 호흡곤란, 기침) 완화와 삶의 질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P(Patient, Problem)는 천식을 앓고 있는 사람, I(Intervention, Treatment)는 호흡 운동, C(Comparisons)는 호흡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 O(Outcomes)는 환자의 주관적/객관적 천식 증상(천명음, 호흡곤란, 흉부 압박감, 야간성 기침, 이른 아침에 심해지는 기침)과 삶의 질(표준화된 설문지로 측정된 삶의 질 값)이다.
이러한 PICO 질문은 천식 환자 관리에 있어 호흡 운동의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임상적 문제에서 비롯되었다. 천식 환자에게 약물 치료 외에 호흡 운동이라는 비약물적 요법이 천식 증상 완화와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에서 PICO 질문이 도출되었다.
1.3. 임상질문의 근거
임상질문의 근거는 총 6가지로, 천식 환자 관리에 있어 호흡 운동의 효과에 대한 불확실성, 새로운 치료법과 기술의 도입, 과학적 근거 없이 관습에 근거한 실무의 반복 등이다.
첫째, 최선의 중재방법에 대한 불확실성이 근거가 된다. 천식 환자 관리에 있어 호흡 운동이 천식 증상과 삶의 질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불분명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새로운 치료법과 기술의 도입이 근거가 된다. 천식 치료에 호흡 운동이라는 새로운 중재방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과학적 근거 없이 관습에 근거한 실무의 반복이 근거가 된다. 천식 환자에게 호흡 운동을 적용하는 것이 관행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상황이므로 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넷째, 환자안전/위험관리 관련, 다섯째, 통일되지 않은 치료 및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