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한국어 교재 유형별 특성 및 구성
1.1.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
1.1.1.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특징 및 구성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특징 및 구성은 다음과 같다.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는 한국어 숙달을 위한 통상적인 대학의 한국어 교육과 수강을 위한 한국어 교재와 연계되어 있어야 한다. 한국어 중급 수준에 이르러서야,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시작이 가능하고, 이를 반영한 교육과정과 교육 자료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어 교육과정의 전체적인 틀은 초급~중급 단계에는 의사소통 능력을 목적으로 한 통합교과 방식의 교수학습 활동에 치중하더라도 고급 단계부터는 학문 목적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 내용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여러 대학이 교양과정에 외국인 전용 교과목으로서 개설하는 독해, 작문, 청취, 발표 및 토론 류의 과목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또, 이들 교과목에 사용하는 텍스트는 일반적인 교과의 성격과 대학 교육이 다루는 주제나 어휘, 담화 표지를 모두 반영해 구성한다."
1.1.2.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내용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내용은 첫째, 한국어 능력으로는 발음, 어휘, 문법에 관한 내용을 모두 포함해야 한다. 이는 학문적 의사소통을 위한 기본적인 언어능력 신장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발음 항목에서는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정확한 발음을 연습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고, 어휘 항목에서는 교양 및 전공 수업에서 사용되는 고급 수준의 어휘를 다룬다. 문법 항목에서는 복잡한 문장구조와 표현방식 등을 익힐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교수학습을 위한 학습 기술 및 역량 확보를 위한 강의 듣기, 시험 답안 쓰기 등의 내용이 포함된다. 학문적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한 언어실력 향상뿐만 아니라 교수-학습 상황에 필요한 기술과 역량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셋째, 학문적 의사소통 능력으로는 발표나 토의, 강의 등 학문적 담화를 이해하는 능력과 시험 답안 쓰기, 노트 필기, 요약문, 발표문, 설명문, 보고서, 학술 논문, 전공서 등 학문적 텍스트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영역별로 이러한 학문적 의사소통능력을 기를 수 있는 내용이 교재에 담겨있어야 한다.
넷째, 전공 분야를 위한 능력이 필요한데, 교양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