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수면장애
1.1. 수면장애의 정의 및 유형
1.1.1. 수면장애의 정의
수면장애의 정의는 환자가 상대적으로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상생활도중 각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수면장애가 지속되면 생리적 변화, 행동장애, 심지어는 정신장애까지 나타날 수 있는 질병이다.
수면장애는 환자의 평소 수면리듬이 흐트러져 있어서 수면상태에 있거나 깨어 있을 때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의미한다. 전세계 성인의 약 10%가량이 수면장애로 고통받고 있으며, 수면 장애는 학습장애 및 일의 능률 저하, 교통사고 등 각종 안전사고, 정서장애, 사회 적응장애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1.1.2. 수면장애의 유형
1.1.2.1. 불면증
불면증은 잠들기가 어렵고 잠을 자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수면장애이다. 불면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에 비하여 그 숫자는 적은 편이다. 대부분 불면증으로 잠을 자지 못한다고 호소하는 사람들의 상당수가 정상적으로 수면을 취한다. 그들은 잠이 바로 오지 않아서 잠들기 위해 30여분 뒤척인 시간을 길게 느끼고 잠을 잔 6시간은 기억 못하기 때문에 불면증이라고 불평한다.
불면증의 원인은 신체적, 심리적, 개인적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있다. 신체적으로 이상이 생겨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성격이 세심하고 꼼꼼한 편이거나 긴장을 많이 하는 경우 흔히 억압이 많고 완벽주의 성향이 강한 강박적 성격의 사람들이 수면이 자기 뜻대로 조절되지 않을 때 쉽게 긴장하고 불안해질 수 있다. 또한 규칙적이지 않는 식습관과 생활습관, 음주, 잠드는 시간이 규칙적이지 않은 경우 불면증에 빠질 수 있다.
불면증이 지속되면 무기력해지고 일의 능률이 저하되고 만성피로와 우울증 같은 정신질환에 시달릴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 체내의 면역체계가 무너져서 병이 걸리고 호르몬의 비정상적인 분비를 일으켜 인체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불면증에 시달리는 사람들은 삶의 질이 저하되고 각종 신체적, 정신적 질병에 노출될 수 있다.
불면증의 치료는 행동치료법과 약물치료법을 병행하여 실시한다. 행동치료법으로는 긴장이완법, 개인 수면환경개선 등이 있다. 긴장이완법은 수면장애 환자들이 낮이건 밤이건 늘 긴장하고 있어 자연스러운 수면을 스스로 막고 있는 것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다. 개인 수면환경개선은 규칙적인 시간에 잠자고 일어나기, 편안한 환경 조성 등을 통해 수면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약물치료법으로는 벤조디아제핀계, 중추신경흥분제, 항우울제 등이 사용된다.수면장애의 일종인 불면증은 신체적, 심리적, 개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불면증에 대한 행동치료법과 약물치료법을 병행하여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개인마다 발생 원인과 증상이 다르므로 맞춤형 치료가 필요하다. 불면증은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1.1.2.2. 기면증
기면증은 갑자기 주체할 수 없을 정도로 잠이 오는 증세를 말하는 것이다."기면(narcolepsy)"이란 말은 그리스어로 "마약과 같은 졸음"이라는 뜻이다. 기면증은 뇌의 수면 조절 기전에 문제가 있어 발생하는 수면장애의 일종이다.
기면증 환자들은 깊은 수면과 깨어있는 상태를 빠르게 오간다. 이들은 갑자기 졸음이 쏟아져 와 잠에 빠져들며, 근육이 힘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