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평택시의 이해
1.1. 지리적 특성
평택시는 국토 공간상 한반도의 중서부에 위치하며, 경기도의 남서부에 자리 잡고 있다. 동쪽은 안성시 공도읍, 용인시 남사면과 접하고, 서쪽은 서해안과 접하며, 남쪽은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면, 아산시 둔포면, 천안시 성환읍과 접하고, 북쪽은 화성시와 오산시에 접하고 있다. 평택지역의 기후는 중부지방에서 나타나는 일반적 기후 특징과 별다른 차이가 없다. 중위도에 위치한 관계로 계절풍의 영향을 받고 사계절의 변화가 뚜렷하며, 평택지역 기후는 중부 서해안형에 속한다. 42.62㎞에 달하는 해안선에 접하고 있는 평야지대는 높은 산이 없어서 해안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1.2. 역사적 배경
평택시는 삼한시대에 연달부곡, 고구려시대에 부산현, 신라시대에 진위현 그리고 고려시대에 평택현이라 하였다.""
1981년 송탄읍이 송탄시로 승격되어 분리되었고, 1983년 안성군 원곡면 용이리, 죽백리, 청용리, 월곡리, 공도면 소사리가 평택읍으로 편입되었다.""
이후 1986년 평택읍도 평택시로 승격되어 분리되면서 송탄시, 평택시, 평택군의 3개 행정구역이 공존하게 되었다.""
1987년엔 화성군 양감면 고렴리가 청북면에 편입되었으며, 1989년 오성·청북·포승·현덕면의 각 일부를 떼어내어 안중면을 신설하였다.""
그러다가 1995년 지방자치제 실시와 함께 송탄시, 평택시, 평택군이 다시 통합되어 오늘날의 도농복합형 평택시가 되었다.""
1.3. 인구 및 인구 변화
평택시의 인구 및 인구 변화를 보면, 평택시의 총인구는 2021년 2월말 기준 544,085명으로 남성이 281,521명, 여성이 262,564명이다. 연령대별로는 40대가 17.8%, 50대 16.1%, 30대 15.0% 순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청소년은 20.2%, 노인은 11.8%를 차지하고 있다.
권역별로 보면 북부권역의 60세 이상 노령인구 비율이 19.9%로 가장 높고, 서부권 17.3%, 남부권 16.1%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인구 분포가 지역별로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평택시의 외국인 주민 수도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0년 13,585명(3.3%)에서 2013년 19,032명(4.4%)으로 증가하였으며, 다문화 가족도 2,700명(0.62%)으로 조사되었다.
이처럼 평택시의 인구 및 인구 변화 동향을 살펴보면 중장년층과 노인인구 증가, 외국인 주민 및 다문화 가족의 증가 등 인구의 다양성이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4. 평택항
평택항은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만호리에 위치한 항구이다. 1986년 12월 액화천연가스선이 처음 입항하였으며, 1986년 12월 5일 국제무역항으로 개항하였다. 2000년 12월 정기 컨테이너선이 처음으로 취항하면서 서해의 대표적인 국제 무역항으로 성장할 계기를 마련하였다.
평택항은 천혜의 입지 여건을 가지고 있다. 첫째, 육지에 둘러싸인 내만지형이라 해일이나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최소화된다. 둘째, 안개발생일수가 26.3일, 폭풍일수가 6.8일로 비교적 기상여건이 양호하다. 셋째, 수도권과 가깝고 신속한 내륙 교통망이 구축되어 물류 수송시간이 단축된다. 넷째, 국내총생산의 47.8%와 인구의 50%를 차지하는 수도권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뛰어나다.
평택항을 통해 수도권 기업들은 물류비용을 부산항이나 광양항에 비해 3분의 1 수준으로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평택항은 지속적으로 컨테이너 물동량이 증가하며 서해의 대표적인 국제무역항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특히 2000년 12월 정기 컨테이너선이 취항한 이후 홍콩과 중국의 톈진·칭다오를 매주 1회씩 운항하며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처럼 평택항은 천혜의 입지 여건과 수도권 인접성으로 인해 물류와 산업 측면에서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점들을 바탕으로 평택항은 지속적으로 발전하며 서해권 최대의 국제무역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5. 평택 미군기지
평택 미군기지는 K-55에 8만여 명이 상주할 예정이며, 여의도 면적의 5.4배 규모로 조성되고 있다.""
현재 주한 미 공군 8,000여 명이 오산 공군기지에 상주 중이며, 향후 1만~1만 5,000명이 증원될 계획이다.""
평택으로 이전하는 미군들의 영외 거주를 위해 약 1만 3,000세대의 숙소가 필요하지만, 현재 2,500세대 수준의 렌탈 주택만 공급되어 있어 숙소 부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직간접적 경제효과는 약 10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며, 기지 내 부지조성비와 건축자재비, 기반시설 지원 등에서 상당한 규모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1.6. 산업 및 경제
평택시는 농산물과 소금, 새우, 조기 등의 수산물을 산출하는 도농복합형태의 도시이다. 평택시의 중심 산업은 농업이었으나, 편리한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