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보건의료 간호법 이슈와 해결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법과 의료인면허 취소법의 쟁점과 해결 방안
1.1. 간호법 제정의 배경과 주요 내용
1.2. 간호법 제정에 대한 찬반양론
1.3. 간호법 제정 과정에서의 쟁점과 해결 방안
1.4. 의료인 면허 취소법의 제안 이유와 주요 내용
1.5. 의료인 면허 취소법에 대한 쟁점과 해결 방안
1.6. 간호법과 의료인 면허 취소법에 대한 제언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법과 의료인면허 취소법의 쟁점과 해결 방안
1.1. 간호법 제정의 배경과 주요 내용
현행 의료법 등에서 포괄적으로 규율하고 있는 의료인·의료행위의 범주에서 간호 또는 간호·조산에 관한 사항을 이관하여 독자적인 법률로 제정함으로써, 간호업무 범위, 간호전문인력의 양성·수급 및 근무환경 개선 등에 관한 사항을 체계적으로 규율하여 간호서비스의 질을 제고하고 국민건강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한 법률을 의미한다"이다.
간호법 제정의 배경은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의료법이 규정하는 간호사의 업무 범위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이다. 의료법에 따르면 간호사가 수행할 수 있는 업무는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의 지도하에 시행하는 진료의 보조'가 있는데, 이 '보조'의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둘째, 의료기관 중심으로 설계된 의료법이 지역사회 기반의 간호를 포괄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고령화에 따라 만성질환 관리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의료기관 외에도 지역사회에서 간호사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지만, 현행 의료법은 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간호사의 열악한 근무환경을 개선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는 점이다. 대한간호협회는 간호사들의 높은 이직률과 과로가 심각한 상황이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간호 인력의 근무환경을 규정할 수 있는 별도의 법률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이다.
1.2. 간호법 제정에 대한 찬반양론
간호법 제정에 대한 찬반양론은 다음과 같다.
대한간호협회는 간호법 제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현행 의료법이 간호사의 업무 및 특성을 반영하고 규정하는 데 한계가 있어서 열악한 근무환경과 인력 부족 문제의 개선을 위해 간호법 제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간호사 1인당 적정 환자 수 기준이 없고, 간호사 근무조건과 합당한 처우 규정이 없어 이를 개선하기 위해 간호법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또한 전문간호사들의 법적인 보호장치와 진료 관련 업무 범위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간호학생 및 간호사 역시 열악한 간호사 근무환경으로 인해 임상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비율이 적다며 간호법 제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또한 PA(진료보조 인력) 전문간호사들의 법적인 보호장치와 진료 관련 업무 범위에 대해 간호와 진단·처방을 구체적으로 구분해야한다고 말했다.
반면 대한의사협회는 간호법 제정에 반대한다. 간호사의 진료 관련 업무 범위가 의사의 고유 영역인 환자 진료·처방을 침탈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병원에서 간호조무사가 아닌 간호사를 의무적으로 고용해야하는 부분과 간호사의 임금·근로 조건 지침 마련, 의료기관의 간호사 확충 관련 규정이 시장경제 질서에 반하며 특정 직역 이익 실현을 위한 조항이라고 비판했다. 기존 의료법에서도 간호사의 근무환경과 처우 개선이 가능하다며, 간호법은 간호사의 업무 범위를 모호하게 하고 다른 직역과...
참고 자료
김미정외, 2023 보건의약관계법규 상권, 메디컬에듀케이션
이승민, “간호법 제정, 어디까지 아시나요?”, 가톨릭대학보, 2022.01.17.,
http://www.cuk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3601
이웅, “의사-간호사 다투는 ‘간호법’, 다른 나라도 많이 제정한 법이다?”, 연합뉴스, 2023.02.24.,https://www.yna.co.kr/view/AKR*************0502
최성경, 간호 단독법 제정 필요성과 실현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P.3-39
대한간호협회, 간호법 알아보기- 간호법 왜 필요한가?
공용, 간호윤리와법, 비밀유지 의무를 소홀히 하여 발생한 간호과실의 임상적 사례를 제시하고 면허 licence 개념 의료분쟁해결제도, 2023.
강신국, 의협 등 13개 단체 "의료인 면허취소법도 거부권 행사를, 데일리팜, 2023.
김경동․ 김여진 공저, “한국의 사회윤리 연구: 기업윤리와 직업윤리를 중심으로”,학술원논문집(인문․ 사회과학편) 제49집 제1호, 2010. 9.
김대군․ 박군열 공저, 현대인의 전문직업윤리, 철학과 현실사, 2006.
김상희 의원, 의료법 일부개정법률안(의안번호 12761), 2018.3.29.
김홍진, 20만 간호사들 간호법 제정은 시대적 요청, 히트뉴스, 2022
박호균, “의료인의 형사범죄와 면허 규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입법적 측면을 중심으로, 국회의원 남인순․ 국회의원 권미혁․ 대한변호사협회, 의사의 형사범죄와 면허 규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심포지엄 자료집, 2018.4.
신현호․ 백경희 공저, 의료분쟁 조정․ 소송 총론, 육법사, 2011.
이승용, 의료인 면허 취소법, 치의신보, 2023.
이현정, 간호법 쟁점 ‘지역사회’ 4음절 단독 개원 단초 지나친 억측, 서울신문, 2023.
이형규, 간호법, 어쨌든 간호 인력 문제는 해결해야 한다, 메디포뉴스, 2023.
정재현, 간호법 제정, 무엇이 문제인가, 의학신문, 2023
공용, 간호윤리와법, 비밀유지 의무를 소홀히 하여 발생한 간호과실의 임상적 사례를 제시하고 면허 licence 개념 의료분쟁해결제도, 2023.
강신국, 의협 등 13개 단체 "의료인 면허취소법도 거부권 행사를, 데일리팜, 2023.
김경동․ 김여진 공저, “한국의 사회윤리 연구: 기업윤리와 직업윤리를 중심으로”,학술원논문집(인문․ 사회과학편) 제49집 제1호, 2010. 9.
김대군․ 박군열 공저, 현대인의 전문직업윤리, 철학과 현실사, 2006.
김상희 의원, 의료법 일부개정법률안(의안번호 12761), 2018.3.29.
박호균, “의료인의 형사범죄와 면허 규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입법적 측면을 중심으
로-”, 국회의원 남인순․ 국회의원 권미혁․ 대한변호사협회, 의사의 형사범
죄와 면허 규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심포지엄 자료집, 2018.4.
신현호․ 백경희 공저, 의료분쟁 조정․ 소송 총론, 육법사, 2011.
이승용, 의료인 면허 취소법, 치의신보, 2023.
이현정, 간호법 쟁점 ‘지역사회’ 4음절 단독 개원 단초 지나친 억측, 서울신문, 2023.
이형규, 간호법, 어쨌든 간호 인력 문제는 해결해야 한다, 메디포뉴스, 2023.
정재현, 간호법 제정, 무엇이 문제인가, 의학신문,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