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언어장애 영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언어 장애를 보이는 영화 속 인물의 언어 특성과 치료 방안
1.1. 영화 "허브"의 주인공 상은의 언어 장애 특성
1.1.1. 조음·음운적 특징
1.1.2. 구문·형태론적 특징
1.1.3. 의미적 특징
1.1.4. 화용적 특징
1.2. 상은의 언어 장애에 대한 치료 접근
1.2.1. 조음 치료 방법
1.2.2. 어휘 및 구문 치료 방법
1.2.3. 화용 능력 향상을 위한 치료
1.3. 언어 장애 인물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이해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언어 장애를 보이는 영화 속 인물의 언어 특성과 치료 방안
1.1. 영화 "허브"의 주인공 상은의 언어 장애 특성
1.1.1. 조음·음운적 특징
영화 "허브"의 주인공 상은의 언어 장애 특성 중 조음·음운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은은 입술을 쭉 내밀고 원순모음화 하거나 비음이 섞인 목소리, 과장된 입술과 혀의 움직임으로 인한 어눌한 말이 영화 전반에 걸쳐 나타난다. 예를 들어 "아까 구렁이가 몇 번 할툰 것 가툰데", "아무툰 운건 아니야" 등에서 /ㅡ/를 /ㅜ/로 발음하고, "팔을 꽉 물어줬다"에서 /ㄱ/을 /ㅇ/으로 발음하며, "사우나"를 "싸우라"로, "ㄴ"을 "ㄹ"로 발음하는 등의 조음 오류가 보인다.
둘째, 이러한 조음 오류는 일관적이지 않고 비일관적인 양상을 보인다. 이는 정신지체 아동의 언어발달 특성으로, 일반 아동에 비해 조음 오류가 많지만 오류 양상이 일관적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상은의 조음·음운적 특징은 원순모음화, 비음화, 자음 오류 등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오류가 비일관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1.1.2. 구문·형태론적 특징
상은의 언어 장애 특성 중 구문·형태론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상은은 표현에 어려움을 겪으며, 부사 사용의 어려움과 어색한 문장이 나타났다. 종범이 "아프죠?"라고 묻자 상은은 "당연히, 절대, 아파요."라고 하여 부사어 사용에 문제를 보였다. 또한 종범과의 대화에서 "우리 엄마는요 나 혼자 어디 가는 거 '완벽하게' 싫어해요."라고 말하며 적절한 부사 사용에 어려움을 보였다.
상은의 언어 표현은 전반적으로 짧고 제한적인 문장 형태를 사용하였다. "우리 엄마는요", "엄마가요" 등 엄마에 대한 발화를 반복하는 모습을 보였고, "내가 도둑을 잡았다. 처음에는 놓칠 뻔했다."와 같이 상황을 설명하는데 매우 짧은 문장을 사용하였다.
이처럼 상은은 부사 사용의 어려움과 문장 길이의 제한을 보였는데, 이는 언어규칙을 일반화하는 능력의 결함과 문법적 규칙보다는 낱말들의 배열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는 정신지체 장애의 전형적인 구문·형태론적 특징으로 볼 수 있다"
1.1.3. 의미적 특징
상은의 의미적 특징은 첫째, 일반 아동에 비해 수용언어능력이 낮다는 것이다. 영화 속에서 상은은 여러 상황에서 대화 상대방의 메시지를 온전히 이해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 예를...
참고 자료
민진홍, “발달장애아의 언어적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명지대, 2003
신창호, “독서치료를 통한 경도발달장애아동의 인지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2005
빈병은,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기능적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연구”, 강남대, 2009
유경, “단순언어장애아동·경계선지능언어발달 장애아동·일반아동의 쓰기지식 특성 비교”, 조선대, 2008
강승애, “감각통합운동이 발달장애아동의 적응행동 및 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대, 2006
안지원, “학령전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자극 조건에 따른 단어의미 추론”, 부산가톨릭대,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