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앤트원 피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정신분석상담이론
2.2. 정신분석 상담이론으로 분석한 영화 "앤트원 피셔"
2.2.1. 저항의 개념
2.2.2. 내담자의 어린 시절과 억압된 감정
2.2.3. 전이의 양상
2.2.4. 상담자의 버텨주기(holding) 기법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상담이라는 것은 '비밀보장의 원칙'이 중요시되기에 외부인에게 공개되기가 어렵다. 따라서 상담심리를 공부하는 나와 같은 학생들은 상담이론이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전개되는지 머릿속에 그려볼 뿐이다. 그러나 금번 과제에서 다룰 영화 '앤트원 피셔'에서는 러닝 타임동안 여러 회기의 상담 장면이 연출되었고 수업 때 배운 여러 상담이론을 떠올리게 하며 실제 상담에서의 적용 사례를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이 영화에서 진행된 상담 속에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의 특징이 두드러져 보였기에 이어질 본론에서 이 이론을 토대로 영화를 분석해보려 한다.
2. 본론
2.1. 정신분석상담이론
프로이트에 의해 창시된 정신분석학은 무의식적인 동기와 갈등이 억압된 유아기의 발달단계와 경험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 따르면 무의식적인 갈등을 의식화 시키는 것, 즉 내담자를 도와 과거 어린 시절의 경험을 재생시키고 억압된 감정들을 해결해가는 것이 상담의 목표가 된다"" 구체적인 상담 장면에서 상담자는 내담자의 갈등을 노출시키기 위해 자유연상을 시도하며 내담자의 과거와 연관된 현 행동의 의미를 내담자에게 지시적으로 가르치고 설명하거나 꿈, 저항, 전이의 분석과 해석을 실시한다""
2.2. 정신분석 상담이론으로 분석한 영화 "앤트원 피셔"
2.2.1. 저항의 개념
상담자 데블포트...
참고 자료
김형태(2003), 21세기를 위한 상담심리학, 동문사
정방자(1998), 정신역동적 상담, 학지사
조현춘 외(2003),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