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D stone with acute cholangitis 간호진단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상세정보

소개글

"CBD stone with acute cholangitis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급성 담관염을 동반한 총담관 결석증
1.1. 정의
1.2. 원인
1.3. 임상증상
1.4. 진단검사
1.5. 치료
1.5.1. 내과적 치료
1.5.2. 외과적 치료
1.6. 예방

2. 사례연구
2.1. 기초 자료 수집
2.2. 주호소
2.3. 현재 병력
2.4. 과거 병력
2.5. 암 위험 요인
2.6. 암 진단
2.7. 신체사정
2.8. 진단검사 결과
2.9. 투약
2.10. 특수치료
2.10.1. PTBD
2.10.2. PCD
2.11. 간호과정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급성 담관염을 동반한 총담관 결석증
1.1. 정의

담관염은 담관의 염증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급성 담관염을 말한다. 급성 담관염은 담관 내부의 담즙에 염증이 생긴 경우로, 하부 담관에 폐쇄가 동반되어 담즙의 흐름이 막힌 경우 담즙이 배출되지 못하고 담관염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담관 폐쇄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은 담관에 발생한 담석으로, 담관염이 발생한 대부분의 환자들은 담관의 결석을 지니고 있다. 담석이 없는 경우에도 담관에 악성 혹은 양성 종양이나 기생충 감염이 있거나 양성협착이 있는 경우에도 담관염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급성 담관염은 담관 내부의 담즙에 염증이 생겨 하부 담관이 폐쇄되어 담즙의 배출이 되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으로, 대부분의 경우 담관 결석이 그 원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1.2. 원인

담관 폐쇄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은 담관에 발생한 담석으로, 담관염이 발생한 대부분의 환자들은 담관의 결석을 지니고 있다. 담석이 없는 경우에도 담관에 악성 혹은 양성 종양이나 기생충 감염이 있거나 양성협착이 있는 경우에도 담관염은 발생할 수 있다.

담관 결석의 원인으로는 첫째, 담즙의 성분이 변화하는 것이다. 콜레스테롤 담석 환자의 담즙에는 콜레스테롤이 과포화되어 있다. 둘째, 담낭의 정체가 담즙의 정체를 초래할 수 있다. 담낭의 정체는 담낭의 수축성 감소와 오디괄약근의 경련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셋째, 감염은 결석을 형성하게 하는 또 다른 소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염증으로 인해 떨어져나간 조직의 파편들은 담석이 성장하기 위한 일종의 핵이 될 수 있다. 넷째, 담석 형성에 유전적인 영향도 있다.""


1.3. 임상증상

급성 담관염을 동반한 총담관 결석증의 임상증상은 다음과 같다.

담관염의 주요 증상은 우상복부에 담도산통(biliary colic)이라 불리는 극심한 복통을 호소하며, 오심, 구토, 소화불량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담도의 염증으로 인해 오한과 고열이 나타나며 눈과 피부에 황달이 동반되는 것이 담관염의 특징적인 증상이다. 중증으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의식장애와 혈압 저하와 같은 패혈증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만성적인 담관의 염증이 있는 경우에도 체중감소, 피로감, 우상복부 통증, 소양감, 일시적인 황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총담관 결석증은 우연히 발견된 무증상 담석은 저절로 십이지장으로 나가기도 하지만 담관의 확장, 간기능 검사 수치의 상승과 함께 담성 산통, 담낭염, 또는 췌장염을 동반하기도 한다. 담관 결석에 의한 담도 폐쇄의 경우 오심과 구토를 동반한 상복부의 심한 통증, 황달, 오한 및 발열의 3대 증상이 나타난다.


1.4. 진단검사

담관염이 의심될 경우 혈액검사와 원인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서 방사선 검사를 시행한다"" 혈액 검사에서는 담관의 염증으로 인해 백혈구, C-반응성 단백질(CRP)과 같은 수치의 증가와 그 외 간기능 효소 수치,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인산분해효소(ALP)의 상승이 함께 있을 수 있다"" 방사선 검사의 경우 복부 CT 혹은 MRI 촬영, 내시경 초음파검사,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조영술(ERCP)을 할 수 있으며, 주로 ERCP가 진단과 동시에 조직검사 및 치료가 가능하므로 많이 선호된다"" 혈액검사 상 빌리루빈 수치가 증가되어 있거나 알카리성 인산분해효소(ALP)가 증가되어 있으면 총담관 결석을 의심할 수 있다"" 복부 초음파는 결석의 60~70%, 총담관 확장의 60~75% 를 진단할 수 있으며, 검사 방법 중 ERCP가 가장 표준적이며 정확도가 높다""


1.5. 치료
1.5.1. 내과적 치료

급성 담관염을 동반한 총담관 결석증의 내과적 치료는 다음과 같다.

담관염은 담관의 폐쇄가 동반되어 있으므로 막혀있는 담즙이 흐를 수 있도록 담관 배액술을 시행해야 한다. 내과적 치료로는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조영술(ERCP)을 이용한 치료법과 경피적 방사선 중재술을 이용한 치료법이 있다.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조영술(ERCP)을 이용한 치료법은 내시경을 이용하여 십이지장에서 담관으로 배액관을 삽입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막혀있는 담즙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내시경의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경피적 방사선 중재술을 이용하여 간부위의 피부를 뚫고 간을 통해 간내의 담관으로 배액관을 삽입할 수 있다.

내과적 치료에 있어 중요한 점은 우선적으로 응급입원을 하여 검사 및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급성 담관염은 패혈증으로 급속하게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한 응급질환이다. 응급입원 후에는 금식 및 수액주사 요법을 시행하여 탈수 및 신부전 방지와 함께 항생제 투여로 세균감염에 대한 치료를 한다.

이러한 내과적 치료를 통해 급성 담관염의 증상을 빠르게 완화시키고, 담관 폐쇄를 해소하여 합병증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담관 결석이 지속되는 경우 외과적 치료를 통한 근본적인 해결이 필요하다.


1.5.2. 외과적 치료

외과적 치료에는 복강경 담낭절제술(laparoscopic cholecystectomy)이 주로 시행된다.

복강경 담낭절제술은 담낭에 문제가 있거나 담낭결석이 있는 경우 담낭을 제거하는 수술이다. 이 수술은 개복수술에 비해 비침습적이며 수술 시간이 짧고 회복기간이 빠른 것이 특징이다.

수술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복강에 작은 구멍 3개를 내어 복강경과 수술도구를 삽입한다. 그리고 담낭관과 담낭동맥을 절제한 후 담낭을 간에서 분리하여 제...


참고 자료

한양대학교병원-질환정보, “담관염”, https://seoul.hyumc.com
서울아산병원-질환백과, “총담관 결석증”, http://m.amc.seoul.kr
권소희 외 7명(2019), 『핵심 건강사정』, 수문사
성미혜(2018),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
부록 NANDA-Ⅰ 간호진단 (2018~2020)』, 수문사
성인간호학, 수문사
드러그인포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경피경간 담도 배액술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825&cid=51007&categoryId=51007
경피적 농양 배액술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830&cid=51007&categoryId=51007
김금순, 김영숙, 최경옥, 현경선, 윤은자, 2012, 성인간호학Ⅰ, 서울, 수문사, pp.560-572.
서울대학교병원 편저, 2008, 간호방법(제 2개정판),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 2007, 표준 간호진술문을 적용한 임상간호과정, 서울: 현문사.
성낙인, 2015,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 서울대학교출판 문화원, pp.22-28.
[네이버 지식백과] 담관염 [cholangitis]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네이버 지식백과] 컴퓨터단층촬영 [CT : Computed Tomography, computer斷層撮影] (두산백과)
jsr4ever, "복강경담낭절제술 Laparoscopic cholecystetomy", http://blog.naver.com/jsr4ever/220324559258, (2016. 03. 17)
hansong0216, "통증 간호과정“, http://blog.naver.com/hansong0216/220081737301, (2016. 03. 17)
두석12, “간수치를 나타내는 의학전문용어”, http://tip.daum.net/question/57296926, (2016. 03. 17)
총담관 결석증 사진: ePain Assist, "Choledocholithiasis: Causes, Symptoms, Treatment", http://www.epainassist.com/abdominal-pain/gallbladder/choledocholithiasis, (2016. 03. 18)
복강경 담낭 절제술 사진: 명의, “참을 수 없는 복통의 진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449937&cid=51616&categoryId=51616, (2016. 03. 18)
ERCP와 EPBD 사진: 건강100세 HEALTH, “'EBS명의' ERCP(내시경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 시술 권위자 박은택 교수”, http://blog.naver.com/lib3000/220484109813, (2016. 03. 18)
ENBD와 ERBD 사진: Ai hospital, 内視鏡的経鼻胆道ドレナージ와 内視鏡的逆行性胆道ドレナージ, http://www.ai-hosp.or.jp/use_admission/usage_guide/disease_guide/disease_guide32.html, (2016. 03. 19)
특수치료 ERCP 사진: JOHNS HOPKINS MEDICINE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Sphincter of Oddi Dysfunction: Diagnosis“,https://gi.jhsps.org/GDL_Disease.aspx?CurrentUDV=31&GDL_Cat_ID=551CDCA7-A3C1-49E5-B6A0-C19DE1F94871&GDL_Disease_ID=7AB086B0-AB01-446E-B011-2E67CAFEF96D, (2016. 03. 19)
드럭 인포, http://www.druginfo.co.kr/
비오케이(BOK), http://www.2080bok.com/main
드럭어바웃, http://www.drugabout.co.kr/
대한민국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동국제약, http://www.dkpharm.co.kr/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종근당, https://ckdpharm.com/
[네이버 지식백과] 가벡실주사100mg [Gabexil Injection 100mg] (의약품 사전, 약학정보원)
[네이버 지식백과] 트리악손주사2g [Cerftrioxon sodium Injection 2g Hanmi] (의약품 사전, 약학정보원)
[네이버 지식백과] 명문염산페치딘주사 [Pethidine HCl Injection Myungmoon] (의약품 사전, 약학정보원)
[네이버 지식백과] 아넥세이트주0.5mg [Anexate Injection 0.5mg] (의약품 사전, 약학정보원)
[네이버 지식백과] 멕쿨주 [Meckool Injection (Metoclopramide HCl)] (의약품 사전, 약학정보원)
[네이버 지식백과] 아네폴주사 (의약품 사전, 약학정보원)
[네이버 지식백과] 바메딘정 [Bamedin Tab.] (의약품 사전, 약학정보원)
[네이버 지식백과] 토이드정50mg [Toid Tab.] (의약품 사전, 약학정보원)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