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취약계층 다문화가정의사소통결여문제에관련보건교육자로 만들어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다문화 사회와 보건의료 정책
1.1. 다문화 가정의 건강 문제와 정책 필요성
1.2. 다문화 가정의 의료이용 현황
1.3. 다문화 가정을 위한 보건의료 정책 현황
1.3.1. 다문화 가정 대상 지역사회 건강사업
1.3.2. 지역보건의료계획 내 다문화 가정 지원 정책
1.4. 다문화 가정을 위한 보건의료 정책 제안
1.4.1. 법률적 지원 범위 확대
1.4.2. 다문화 가정 아동 지원 전달체계 개선
1.4.3. 대상자 특성별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1.4.4. 사회통합적 관점의 정책 방향 전환
1.4.5. 다문화에 대한 이해 제고 교육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다문화 사회와 보건의료 정책
1.1. 다문화 가정의 건강 문제와 정책 필요성
다문화 가정의 건강 문제와 정책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국제결혼이 지속되고 있고 이에 따라 다문화 가족 및 그 자녀 수가 급속이 증가하고 있다. 다문화 사회를 이루는 주 대상자는 여성 결혼이민자, 외국인 근로자 및 새터민으로, 지금까지 단일민족의 개념 속에 살아온 우리 사회는 새로운 전환기를 맞고 있다. 광산구는 도농복합도시로서 결혼이주여성이 광주광역시(2,807명) 5개구 중 광산구(801명, 28% 차지)가 가장 많다. 여성 결혼이민자는 우리나라 차세대 국민을 생산하는 중요한 한 축이지만, 현재 문화적 차이와 신분의 법적 불안정, 언어장벽을 지닌 채 자녀를 출산하여 양육하고 있다. 이는 장차 우리나라의 가족관계나 출산문화에 더 나아가 가족건강관리 형태에도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요인이다. 따라서 건전한 다문화 사회로 나아가며 건강한 차세대 국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다문화 가족에 대한 체계적인 건강정보 구축과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민간서비스들과 연계하여 다문화 가족의 건강관리를 보다 통합적이고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통해 다문화 가족의 안정적인 정착과 가족생활을 지원하고 다문화 가족의 기본건강권 보장과 건강 격차 해소에 기여할 수 있다.
1.2. 다문화 가정의 의료이용 현황
다문화 가정의 의료이용 현황은 다음과 같다.
거주와 취업 및 소득의 불안정 등으로 실질적인 의료보장을 받지 못하는 다문화 가정의 계층이 많다. 결혼이민자는 체류기간이 짧은 경우, 가구소득이 낮은 경우 건강보험 가입률이 낮다. 체류기간이 짧은 경우 건강보험에 대한 인지부족이나 가구의 보험료 체납이나 혼인신고 지연 등 가족관계 등록상의 문제로 건강보험 수혜가 미치지 못하는 대상이 상당수 존재한다.
다문화 가족이 의료기관을 이용하면서 겪는 어려움으로는 의사소통의 어려움, 의료비에 대한 부담, 교통불편, 이용절차 복잡 등이 있다. 다문화 가족 또한 주로 병의원을 이용하나 체류기간이 짧은 경우 병의원 이용이 상대적으로 낮고 약국 이용이 높은데, 이는 의장보장 수혜가 없는 경우가 비교적 많기 때문이다.
1.3. 다문화 가정을 위한 보건의료 정책 현황
1.3.1. 다문화 가정 대상 지역사회 건강사업
다문화 가정 대상 지역사회 건강사업은 다문화 가정의 건강관리와 의료접근성 향상을 위해 제공되고 있다. 첫째, 다문화 가정에 대한 건강지원 사업으로 다문화 가정의 취약한 ...
참고 자료
노기옥,「문화다양성 사회와 건강」, 수문사, 2019
이정열(2013), 결혼이주여성의 미충족 의료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서인주, 박정숙(2013), 여성 결혼이민자의 건강증진행위, 건강문제 및 주관적 건강상태, 문경대학교, 계명대학교.
김혜련(2013), 보건복지 Issue&Focus,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변수정(2014), 동아시아 국가의 다문화가족 현황 및 정책 비교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중앙일보(2016.04.10.). [현지취재] 일본의 다문화정책에서 배운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8091014037683276
https://www.yna.co.kr/view/AKR20211014139700051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5388680&memberNo=446046
81&vType=VERTICAL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18102185731 」
다문화가족의 건강 및 보건의료 실태와 정책과제, 김혜련,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2018 외국인환자 유치실적 통계분석 보고서
경제자유구역의 공공보건의료, 최정수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한국보건사회연구원(KIHASA)
제 5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제 6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제 7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성과기반 지역사회간호학, 오미성 외, pacific 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