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함께 사는 지혜
1.1. 함께 살기의 어려움
광동빌라에 이사 온 후 10개월이 지나면서 한 사람이 더 깨끗이 청소하기 시작하면서 갈등이 생겼다는 내용이다. 이전에는 각자 자기 방 청소만 열심히 했지만, 공동공간이 넓어지자 더 깨끗히 청소해야겠다는 개인의 마음이 생겨났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그에 동의하지 않아 "왜 나만?" 하는 마음이 생겨났고, 결국 성질이 폭발하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함께 사는 것의 어려움을 깨닫게 되었다.
필자는 그동안 자신의 공간에서는 가족들의 간섭도 싫어했고, 청소와 정돈도 최소한의 수준으로 해 왔다. 즉, 독립 이후에도 혼자서 알아서 하는 것을 당연히 여겨왔으며, 다른 사람들과 감정을 교류하고 소통하는 것을 혐오해왔다고 고백한다. 이는 자신만의 완벽한 공간을 원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제 인간이 함께 살아가는 데에는 감정의 교류와 소통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자신만의 공간을 지키기 위해 타인에게 무관심했던 태도가 오히려 갈등을 초래했다는 것을 깨달은 것이다. 이를 통해 필자는 자신이 관계에 대해 가지고 있었던 오해를 돌아보게 되었다고 말한다.
1.2. 감정의 교류와 소통의 필요성
감정의 교류와 소통의 필요성은 함께 사는 삶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혼자서는 서로에 대한 이해와 공감이 어렵기 때문이다. 저자는 자신이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살 때에도 타인의 개입을 싫어했고, 자신의 공간을 지키려 노력했다고 고백한다. 이는 타인과의 감정적 교류를 혐오하는 성향을 보여준다. 하지만 저자는 이번 경험을 계기로 자신이 "함께 산다"는 것을 얼마나 안이하게 생각했는지 되돌아보게 된다. 혼자서도 편한 자신의 공간을 선호하고 타인과의 감정적 소통을 피하려 했던 것이다.
그러나 인간은 본질적으로 사회적 존재이자 감정적 존재이기에, 고립된 채로는 살아갈 수 없다"" 알게 모르게 타인에게 영향을 주고받으며, 그 과정에서 오는 충족감을 채우고자 한다. 즉, 감정의 교류와 소통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저자는 이를 혐오하고 거부했던 것이다.
이처럼 감정의 교류와 소통의 부재는 개인과 공동체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저자의 경험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갈등을 피하고자 오히려 관계에 장애를 초래했다. 이는 결국 관계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저자는 "혼자 사는 몫을 다하면 그만"이라는 생각으로 감정적 교류를 멀리했던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함께 사는 지혜"를 얻기 위해서는 감정의 교류와 소통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이를 실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타인과의 소통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통해 건강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1.3. 택산함괘와 '모두 함께'의 도리
는 이 관계로서의 존재를 잘 보여준다. 이 인간세의 첫 걸음으로 함괘를 놓은 것은 자체의 가르침, 어떤 단독자도 이원론도 아닌 음과 양, 존재가 항상 함께 이루어진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산이 의지를 내어 꽃과 나무와 연못을 가져와 자기를 꾸미는 것이 아니듯, 내가 빈 공간을 두어 남을 용납한다고 감히 말할 수 있는 게 아니다. 함괘는 호응하는 도리에 대해 말한다. 함괘의 괘사는 "감응하는 것은 형통하니 올바름을 지키는 것이 이롭고, 여자를 취하면 길하다(咸, 亨, 利貞, 取女吉.)"이다. 함(咸)괘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