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이상 날개, 비평"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이상의 삶과 작품 세계
1.1. 이상의 생애
1.2. 이상의 작품에 반영된 삶
1.2.1. 날개에 나타난 이상의 생각과 삶
1.2.2. 이상의 다른 작품에 투영된 자전적 요소
2. 이상 문학 연구의 논의 지점
2.1. 이상 소설 연구
2.2. 이상 시 연구
2.3. 이상 작품의 초현실주의적 양상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이상의 삶과 작품 세계
1.1. 이상의 생애
이상은 1910년 8월 20일에 김연창과 박세창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본명은 김해경이었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편애와 구박을 받으며 자랐는데, 특히 양부모와 양부의 자녀들로부터 많은 차별을 받았다. 이러한 유년기의 경험은 이상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여성에 대한 혐오감을 갖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1917년 신명학교에 입학한 이상은 그림에 재질을 보였으며, 1924년 보성고보를 졸업하고 1929년 경성고등공업학교 건축과에 입학했다. 이 시기에 이상은 회화와 문학에 깊은 관심을 가졌으며, 1931년 '이상한 가역반응'을 발표하며 문단에 데뷔했다.
그러나 1933년 폐결핵에 걸리면서 이상의 삶은 급격하게 변화하게 된다. 그는 총독부 기수직을 사임하고, 백부의 집에서 살게 되었다. 이후 금홍이라는 기생과 동거를 시작하며, 다방을 운영하기도 했지만 경영난으로 실패했다. 이 과정에서 이상은 가족들을 빈민촌으로 내몰아야 했다.
폐결핵과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이상은 점점 고립되어 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1936년 '날개', '지주회시' 등 대표작을 발표하며 문학적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1937년 4월 17일 도쿄대학교 부속병원에서 26세의 나이로 요절하고 말았다.
이처럼 이상은 생애 내내 다양한 어려움을 겪었지만, 그 속에서도 뛰어난 문학적 성과를 이루어냈다. 그의 작품들은 1930년대 모더니즘 문학의 대표작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오늘날까지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1.2. 이상의 작품에 반영된 삶
1.2.1. 날개에 나타난 이상의 생각과 삶
이상의 소설 「날개」는 작가 이상의 삶과 사상이 직접적으로 반영된 작품이다. 「날개」는 서문에서부터 이상의 독특한 정신세계를 드러낸다. 서문에서 "박제가 되어 버린 천재를 아시오?"라고 언급하며, 자신의 몸은 결핵으로 인해 구속되어 있지만 자유로운 정신을 지닌 천재임을 밝힌다. 이는 건강이 악화되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었던 이상의 실제 삶이 반영된 것이다.
이상은 자신의 결핵 투병 생활을 "육신이 흐느적흐느적하도록 피로했을 때만 정신이 은화처럼 맑소"라며 역설적으로 표현한다. 이를 통해 건강이 악화되고 있지만 정신적으로는 여전히 자유롭고 창의적인 모습을 보이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나는 위트와 파라독스를 바둑 포석처럼 늘어놓소. 가증할 상식의 병이오."라고 언급하며, 자신의 창작 방식이 역설과 비상식적인 요소로 가득하다고 밝힌다. 이는 당시 사회의 관행과 상식을 거부하고 자신만의 독특한 세계관과 창작 기법을 추구했던 이상의 모습을 보여...
참고 자료
김종건, <이상소설의 배경연구-날개를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1989.
안혜경, <李霜文學(이상문학)의 구조와 의미>, 자하어문논집, 상명여대 제3집, 1984.
나병철, <날개에 나타난 현대성과 현실성>, 연세어문학, 연세대 19집, 1986.
구인환, 한국근대소설연구, 삼영사, 1980
이승훈, 문학과 시간, 이우출판사, 1986
김동현(1998), 작품에 나타난 이상의 정신적 편력, 평택대학교 논문집 제 11집.
김윤식·정호웅(2002), 개정 증보판 한국 소설사, 문학동네.
김윤정(1999), 이상 시에 나타난 탈근대적 사유, 서울대학교 석사 논문.
노지승(1998), 이상 소설의 시간성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 논문.
이계열(1996), 이상 소설 연구, 어문논집 제6집, 숙명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이강수(1997), 이상 텍스트 생성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
이경훈(1999), 질투의 수사학-이상 연구8, 연세어문학 제30~31호 합집.
추은희(1976), 이상문학의 단절의식과 파괴적 요소, 숙명여자대학교 논문집 제16집.
최지숙(1995), 이상 소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