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호텔 기획 및 전략
1.1. 호텔 기본 설정
1.1.1. 위치
호캉스를 즐겨하는 MZ세대를 표적시장으로 잡은 만큼, 대학생이 많으며 지리적으로 관리하기 편한 대구를 중심으로 계획하고 있다. 세부적인 위치로는, 대학생뿐만 아니라 20~30대가 근무할만한 사무직이 모여있는 범어, 중앙로 등이 좋을 것으로 보인다. 차가 없는 대학생도 아르바이트비를 모아 호캉스를 즐기곤 하는데 이러한 것을 고려하여 대중교통으로 이동하기 용이한지에 대한 고려 또한 필요하다.
1.1.2. 가격대
현재 비슷한 계통의 숙박시설이 펜션, 에어비앤비(대여업) 등의 업종에서 최저가 10만원 초반대로 시작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기획 중인 숙박시설은 호텔로 등록할 예정이며 일반 호텔리어 외에 조경전문가와 습도 조절 등 세부적으로 신경 쓸 게 많은 만큼 고정적인 비용이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그런 만큼 가격을 약 10만원 후반대에서 20만원 초반대로 계획하고 있다. 저렴하지 않은 가격에서 오히려 신뢰를 얻는 고객도 있을 것이며, 서비스를 강화하여 판매한다면 '호캉스'라는 프리미엄 라벨에 비하여 결코 비싼 가격이 아닐 것으로 보인다.
1.2. 시장분석 및 STP 전략
1.2.1. 호텔 시장 상황 분석
호텔 시장 상황 분석을 살펴보면,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숙박업계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대면 여행 및 숙박에 대한 수요가 크게 감소하였고, 이에 따라 호텔 업계는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위기 속에서도 새로운 기회와 형태의 숙박 수요가 등장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호캉스'라는 신조어가 유행하면서 관광지보다는 도심 내에서 안전하고 편안한 호텔 숙박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났다. 또한 재택근무가 확산되고 개인 여가 시간이 늘어나면서 집 근처에서 편안하게 머무르며 일상을 보내는 '워케이션' 수요도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도심에 위치한 힐링 컨셉의 호텔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숙박 예약과 체크인/아웃이 보편화되면서 기존 호텔과는 차별화된 서비스와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이에 따라 호텔 내에서의 다양한 편의 시설과 어메니티, 그리고 개인화된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또한 최근 MZ세대를 중심으로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속가능성과 친환경성을 강조하는 호텔에 대한 선호도 역시 증가하고 있다. 이에 호텔 업계에서는 친환경 인증 취득, 재생에너지 사용, 일회용품 감축 등 다양한 ESG 경영을 실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처럼 호텔 시장은 코로나19 이후 고객의 니즈와 소비 행태가 크게 변화하면서, 기존의 전통적인 호텔 모델에서 벗어나 새로운 경험과 가치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2.2. STP 전략
현재 MZ세대를 타겟으로 하는 숙박업소는 흔하다. 다수의 에어비앤비, 감성 펜션 등 인스타그램의 많은 숙박업소가 젊은 20대 여성, 또는 인스타그램을 많이 사용하는 20대 남성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기업이 타겟팅을 하는 데에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완전히 같은 집단을 타겟팅 하는 것에는 위험이 따른다. 우리는 그저 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