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니코마코스윤리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
1.1. 문제 제기
1.2.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
1.3. 행복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
1.3.1. 행복의 개념
1.3.2. 탁월성과 중용
1.4.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의 핵심 요소
1.4.1. 습관과 품성
1.4.2. 자제력과 욕구 통제
1.4.3. 이성과 실천적 지혜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
1.1. 문제 제기
우리는 누구나 행복을 바라며 저마다의 행복을 찾기 위해 삶을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우리들은 궁극적인 목표를 향해 정확한 방향을 모른 채 살고 있다. '만약 행위 될 수 있는 것들의 목적에 있어서, 우리가 이것은 그 자체 때문에 바라고, 다른 것들은 이것 때문에 바라는 것이라면, 또 우리가 모든 것을 다른 것 때문에 선택하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면, 이것이 최상의 좋음(최고선)일 것이라는 사실은 명백하다.' 자신이 쏴야할 과녁을 지닌 궁수처럼 우리가 궁극적인 목표 최고선을 안다면 한층 더 목표에 쉽게 다가갈 수 있음이 확실하다. '무엇이 선인가?'라는 물음은 모든 윤리학이 던지는 근본적인 물음이다. 이 물음의 정답을 알기위해, 우리의 행복을 찾기 위해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탐구하고 아리스토텔레스가 정의한 행복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2.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
아리스토텔레스는 기원전 384년에 그리스 북부 마케도니아의 작은 도시 스타게이로스(Stageiros)에서 태어났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아버지는 마케도니아 왕궁의 주치의였는데, 아리스토텔레스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의사가 되기 위해 의사 수업을 받았다. 그러나 의사가 되기보다는 철학자가 되고자 하는 포부를 가지고 있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부모님은 이러한 그의 뜻을 지원해주었으며, 이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철학자가 되어 생활에서의 경제적 여유를 중요시한 배경이 되었다. 당시 아테네에는 플라톤의 아카데미아가 있었는데, 아리스토텔레스는 아카데미아에서 20여 년 간 플라톤을 스승으로 모시며 공부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신분은 외국인이었기 때문에 아테네의 정치에 직접 참여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그는 정치학 집필과 강의를 통해 학문적 차원에서 독자적인 정치 이론을 펼쳐나갔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풍부한 지식과 박식함을 갖춘 당대의 대표적인 학자가 되었다.
기원전 347년에 플라톤이 사망하고 나서 아리스토텔레스는 몇몇 동료들과 함께 아테네를 떠난다. 그는 아소스에서 아카데미아 분교를 설립했으며, 이곳에서 독...
참고 자료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이창우 등 옮김. 2006. ⌜니코마코스 윤리학⌟. (서울: 이제이북스, 2006).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천병희 옮김. 2013. ⌜니코마코스 윤리학⌟. (서울: 숲, 2013).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홍석영 옮김. 2005. ⌜니코마코스 윤리학⌟. (서울: 풀빛,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