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내가 생각하는 복지국가의 모습과 우리나라에 맞는 복지국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복지국가와 한국의 복지모델
1.1. 복지국가의 개념과 등장 배경
1.2. 외국과 한국의 복지국가 사례
1.3. 미래 한국의 바람직한 복지모델
2. 한국의 필요한 사회복지정책
2.1. 청소년복지정책의 필요성
2.2. 청소년복지정책의 현황
2.3. 청소년복지정책의 개선 방향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복지국가와 한국의 복지모델
1.1. 복지국가의 개념과 등장 배경
복지국가는 국민들의 삶과 연관된 복지 시행의 전반에 있어서 국가가 적극적인 의무와 책임을 바탕으로 개입하는 국가를 의미한다. 복지국가는 국민의 교육, 건강, 소득, 주택에 있어서 최소한의 생활 수준을 보장할 책임과 의무를 강조하며, 베풀거나 시혜적인 입장이 아닌, 국민이 당연히 누려야 할 권리로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개입한다.
현대적인 의미에서의 복지국가가 등장한 배경은 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 경제공황 등의 위기를 들 수 있다. 전쟁에 국민들을 동원하는 과정에서 복지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많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이를 수용할 수 있는 복지제도가 확립되었고, 경제공황으로 사회 취약 계층으로 편입되는 사람들을 구제하기 위해 사회적인 협약이 체결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국민들을 위한 복지제도의 지출이 국가적 차원에서 증대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복지국가의 틀이 만들어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IMF 이후로 기존에 있는 법을 대체하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생겨났는데 IMF로 인한 국민의 위기와 생존에 대한 위협에 대한 보호와 구제의 방안으로 총체적인 복지제도를 수립하게 되었다.
1.2. 외국과 한국의 복지국가 사례
외국의 복지국가 사례를 살펴보면, 대표적으로 스웨덴의 경우를 들 수 있다. 스웨덴은 가장 적극적인 형태의 복지국가로 평가받고 있다.
스웨덴의 사회보장제도를 자세히 살펴보면, 사회보장사무소를 통해 아동 및 가족 수당, 상병 시 소득보장, 산재보상, 장애인의 소득보장, 연금, 주택 수당 등 총 47개의 급여와 수당이 국민에게 지원된다. 이러한 기존 소득보장 프로그램의 기준에 들어가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는 공공부조가 제공된다. 또한 국적과 무관하게 모든 거주인에게 제공되는 보건의료 서비스와 복지서비스, 고용 보험 등의 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특히 치과 진료의 경우 19세 이하는 무료 진료, 65세 이상의 노인들은 상당 부분의 치료비를 지원받는다. 또한 노년층은 의료 서비스를 거의 무료로 제공받고 있으며 82만원~926만원에 달하는 복지급여를 제공받고 있다. 실업급여의 경우에도 2년 반 동안 매달 기존에 받았던 급여의 80%를 지원받을...
참고 자료
박병현, 『사회복지의 역사』, 공동체, 2016.
스웨덴 복지 모델의 이해 (복지국가 사례연구), 저자 김인춘, 신광영 외 3명, 출판 아산정책연구원, 2015.10.05.
인천일보]학교사회복지사 확대 '예산의 벽'
최인규 기자, 2024.01.16
https://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230026
뉴스포스트] 노동하는 청소년 느는데, 권리는 배울 곳이 없다
홍여정 기자, 2021.01.21
https://www.newspost.kr/news/articleView.html?idxno=92011
인천광역시청소년상담 복지센터
https://www.inyouth.or.kr/consult/con_group.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