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배론 한국어능력평가론 듣기 능력 평가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한국어능력시험(TOPIK) 듣기 평가 문항 분석
2.1.1. 제36회, 제37회, 제41회, 제52회 TOPIK 듣기 평가 문항 검토
2.1.2. 문항의 평가 기준 및 학습자의 듣기 능력 평가 적절성 검토
2.1.3. 문제가 있는 10개 문항 선정 및 문제점 분석
2.2. 한국어능력시험(TOPIK) 듣기 평가 문항 개선 방안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능력을 시험해보고 검증해볼 수 있는 대표적인 시험 방법은 KBS한국어능력시험, 토클(ToKL), 토픽(TOPIK)이다. KBS한국어능력시험과, 토클의 경우는 주로 입시, 기업의 채용 또는 승진에서 가산점을 받기 위해 시험에 응시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시험을 치르는 대상자도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내국인이나, 한국어에 능통한 외국인이 주를 이룬다. TOPIK의 경우는 교육부 국립국제교육원에서 시행하는 국가공인시험으로, 듣기와 읽기, 쓰기 세 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치러지는 시험이다. TOPIK의 취득 목적은 주로 취업비자의 획득, 비자발급, 외국인/재외 동포의 대학(원) 입학 등에 활용된다.
2. 본론
2.1. 한국어능력시험(TOPIK) 듣기 평가 문항 분석
2.1.1. 제36회, 제37회, 제41회, 제52회 TOPIK 듣기 평가 문항 검토
제36회, 제37회, 제41회, 제52회 TOPIK 듣기 평가 문항을 검토한 결과, 몇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첫째, 문항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어 제37회 TOPIK II 듣기 37번 문항에서는 대화 주제가 선물 증정인지, 신청 기간 안내인지 애매모호한 면이 있었다. 대화 내용만으로는 남자가 어떤 상황인지 파악하기 어려워 보기 선택에 혼란을 주었다.
둘째, 문항의 맥락이나 상황이 실제 대화와 거리가 멀어 보이는 경우들이 있었다. 제41회 TOPIK II 듣기 8번 문항의 경우 업무 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이었는데, 남녀 간 대화의 자연스러운 흐름이 떨어져 보였다. 실생활에서 접하기 어려운 소재와 대화 방식이었다.
셋째, 보기 선택지 간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제83회 TOPIK II 듣기 1번 문항에서는 전시장인지 박물관인지 모호했고, 3번도 답이 될 수 있어 보였다. 보기 선택지가 더 세분화되거나 명확해질 필...
참고 자료
한국어능력시험 TOPIK, 2024년 2월 1일 방문, https://www.topik.go.kr
국립국제교육원, 2024년 2월 1일 방문, www.niied.go.kr.
아리랑 뉴스, 2024년 2월 1일 방문, www.arirang.com
제 35회 TOPIK Ⅱ 기출 문제
제 37회 TOPIK Ⅰ, Ⅱ 기출 문제
제 41회 TOPIK Ⅰ, Ⅱ 기출 문제
제 60회 TOPIK Ⅱ 기출 문제
제 64회 TOPIKⅠ 기출 문제
김하은(2022), 한국어능력시험 듣기 대화문의 실제성 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숨고-한국어능력시험 종류를 알려주세요
한국어 듣기 제시문에 대한 숙달도별 곤란 요인 연구 - 정성헌 외 2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