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율의 정의와 특성을 정리

  • 1
  • 2
  • 3
  • 4
  • 5
  • 6
  • 7
>

상세정보

소개글

"운율의 정의와 특성을 정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운율의 정의와 특성
2.1. 운율의 정의
2.2. 운율의 특성
2.2.1. 성조의 운율적 특성
2.2.2. 음의 길이와 운율의 특성

3. 장단음이 의미 차이를 만드는 단어
3.1. 방화
3.2. 성인
3.3. 밤
3.4. 회의
3.5. 사고

4. 장단음의 현실적 문제점
4.1. 장단음에 대한 확립된 교육 체계 부재
4.2. 장단음 통일성의 어려움
4.3. 지역과 방언에 따른 장단음 인식 차이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언어는 사회적 약속으로 이루어진 의사소통 수단이므로, 기의와 기표를 통한 약속을 지켜서 발화하고 이를 듣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문자의 소리는 정확한 의미전달을 위해 중요하다 하겠다. 본론에서는 언어의 소리와 음성학 강의를 학습한 것을 바탕으로 하여, 운율의 정의와 특성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고, 장음과 단음이 대립하여 의미의 차이를 만들 수 있는 단어를 2개 이상 예를 들어 적고, 한국어에서 장단음의 차이가 실제 언어 생활에서 중요한가에 대한 견해를 기술하도록 하겠다.


2. 운율의 정의와 특성
2.1. 운율의 정의

운율은 "언어의 의미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음운론적 단위로, 독립하여 발음할 수 없으며 분절음과 함께 실현되는 음성적 특징"이다. 어떤 글을 누군가 소리내어 쭉 읽을 때, 내용을 보지 않고 소리만 듣는다면 발화의 높이 차이, 강세 변화, 길이의 차이 말이 중간중간 끊어지는 부분 등을 발견하게 될 것인데, 이러한 소리가 내는 특징이 바로 운율이다. 즉, 운율은 발화상 의미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음성적 단위인 것이다.


2.2. 운율의 특성
2.2.1. 성조의 운율적 특성

억양은 구, 절, 문장 등 소리의 연속체 전체와 관련된 음높이의 변화를 나타내며, 단언, 질문, 명령 등의 발화문의 차이를 드러내어 화자의 태도를 표현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나가."라고 끝을 내려서 말하면 밖으로 나가라는 명령문의 뜻을 나타내지만, "나가?"라고 끝을 올리면 내가 나가느냐고 상대에게 되묻는 의문문이 된다""

성조는 하나의 분절음 모음에서 음의 높이와 차이가 의미 구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중국어의 경우 성조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여 성조가 다른 경우 뜻이 달라지기 때문에 외국어 학습자가 발음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한국어에도 성조가 있었다고 하지만, 현재는 거의 사라져 경상도 방언을 제외하고는 성조를 쓰는 지역이 없다"" 경상도 성조를 재미있게 설명한 것은 수학에서 2와 e를 문자가 아닌 소리로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숫자 2와 알파벳 e를 똑같이 [이]라고 읽지만 경상도 지역에는 성조로 숫자 2와 알파벳 e를 구분하여 읽기 때문에 이런 구별이 가능하다""


2.2.2. 음의 길이와 운율의 특성

음의 길이와 운율의 특성이란 한국어에서 음의 길이가 단어 차원에서 기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동일한 문자라도 길게 읽는 경우와 짧게 읽는 경우에 따라 단어의 의미가 달라진다는 것이다.

한국어에서는 길게 읽는 단어 위에 "ː"를 붙여 구분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하늘에서 내리는 눈"은 "눈ː"이라고 길게 읽고, "사물을 보는 기능을 하는 신체 일부"는 ...


참고 자료

김성규 정승철, 『소리와 발음』,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허웅 권재일, 『언어학개론』, 지식을만드는지식, 2011.
정진영. ‘유퀴즈’ 최수종 “국어사전 들고 다니며 장단음 표기… 남 대사도 외워”[TVis]. (2023.11.08.). 일간스포츠. https://isplus.com/article/view/isp202311080328
네이버 지식백과. 운율. (2024.03.11.).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406166&cid=47319&categoryId=47319
두산백과. 밤. (2024.03.11.).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99210&cid=40942&categoryId=32694
네이버 국어사전. 밤. (2024.03.11.). https://ko.dict.naver.com/#/entry/koko/3e0d363c18424d5f9bbd33b6d23a58f4
이수민. [우리말 톺아보기] 우리말의 장단음. (2015.07.12.). 한겨례.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507120755589019
김창진. [우리말]우리말 장단음 발음 구분에 힘쓰자. (2003.09.01.). 한겨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0023555?sid=100
강상헌. 국어사전·한국어 발음사전까지 다른 장단음… 부끄러운 자화상. (2014.08.17.). 세계일보. https://www.segye.com/newsView/20140817001729?OutUrl=naver
유지철. [우리말 톺아보기] 성씨(姓氏)의 장단음. (2017.03.12.).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703121048580679
이정복, 2019, 『언어 정책 및 교육 관점에서 본 한국어의 변이와 변화』, 한국사회언어학회
박주경, 1987, 『현대 한국어의 장단음에 관한 연구』, 대한음성학회
언어학개론교재』, 해커스원격평생교육원
네이버 국어사전, 출처 : https://dict.naver.com/
나무위키 - 장음표기, 출처:
https://namu.wiki/w/%EC%9E%A5%EC%9D%8C%20%ED%91%9C%EA%B8%B0 ]
나우위키- 장단음, 출처: https://namu.wiki/w/%EC%9E%A5%EB%8B%A8%EC%9D%8C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