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진출 실패사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상세정보

소개글

"해외 진출 실패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국내외 기업의 해외진출 사례 분석
2.1. 포인트 모바일의 해외진출 사례
2.1.1. 포인트 모바일 기업 소개
2.1.2. 해외 진출 배경
2.1.3. 해외 진출 성공 요인
2.1.4. 기업 성과
2.1.5. SWOT 분석
2.2. LG전자의 중국 진출 사례
2.2.1. LG전자 기업 소개
2.2.2. 중국 진출 배경
2.2.3. 해외 진출 실패 요인
2.2.4. 기업 성과
2.2.5. SWOT 분석
2.3. 까르푸의 중국 진출 사례
2.3.1. 까르푸의 산업 현황
2.3.2. 까르푸가 중국 진출을 추진한 배경
2.3.3. 까르푸의 중국 시장 진출 과정
2.3.4. 까르푸의 중국 시장 내 성과
2.3.5. 까르푸는 왜 실패했나

3. 시사점 및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일촌', '파도타기', '미니홈피' 등으로 2000년대 초반 국내 인터넷 시장을 뒤흔들었던 싸이월드는 급격한 성장만큼이나 급격한 쇠퇴기를 맞이했다. 그 배경에는 페이스북, 네이버 블로그와 같은 신진 SNS 플랫폼의 등장과 지나친 유료화로 인한 충성고객 탈퇴,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이용자 신뢰 하락 등 다양한 사유가 있겠으나, 야심차게 추진했던 해외시장 진출에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철수했던 것 역시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비록 길지 않은 기간이었지만 국내 인터넷 시장을 주도했던 싸이월드가 어째서 해외시장에서는 주목할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을까? 작성자는 본 과제를 통해 싸이월드가 추진했던 해외시장 진출 사례를 살펴보고, 구체적으로 왜 싸이월드가 당시 최대의 인터넷 시장이었던 미국에서 철수할 수밖에 없었는지, 그 원인에 대해서 한국과 미국의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환경 요인들의 비교를 통해 분석해보도록 할 것이다. 끝으로 성공적으로 해외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전략이 필요한지 작성자의 견해를 서술해보도록 하겠다.


2. 국내외 기업의 해외진출 사례 분석
2.1. 포인트 모바일의 해외진출 사례
2.1.1. 포인트 모바일 기업 소개

㈜포인트 모바일은 2006년 7월 28일에 설립된 중소기업으로, 현재 사원수는 90명 정도이다. 산업용 Mobile Computing Device(휴대용 모바일 컴퓨터)를 자체 개발/생산 및 내수와 수출을 동시에 하고 있는 회사이다. 생산의 85%를 수출하고 있으며, 주로 미국, 일본, 이태리로 수출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중심부에 있는 지방 정부의 후원을 받는 디지털 IT단지에 위치해 있으며, 서울시와 전체 직원의 2/3는 산업 디자인, 기계 공학, 전자 및 RF엔지니어링 팀 보증, 소프트웨어 개발을 포함하는 엔지니어링 부서에 속해 있다. 해외로는 HONEYWELL, 모토로라, TOA , DATA LOGIC MOBILE 등 대기업과 거래를 하고 있으며, 국내로는 LS산전, 우체국, 하이닉스 등과 거래를 하고 있다. 전 세계 Mobile Computing Device 공급 업체 중 빠른 속도로 급성장하고 있는 회사이다.


2.1.2. 해외 진출 배경

포인트 모바일의 해외 진출 배경은 다음과 같다.

포인트 모바일은 PDA 산업이 활성화되기엔 국내 시장이 좁다고 판단하여 처음부터 내수시장이 목표가 아니라 수출 주력에 목표를 두고 시작했다. 생산량의 85% 가까이가 미국, 유럽 등 전 세계 60여개 국가에 120개 업체로 수출되고 있다. 설립된 지 10년 만에 중국에 공장을 열어 연 300백만 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포인트 모바일은 창업 시작부터 해외 시장 공략을 염두에 두고 적극적으로 수출 포트폴리오 전략을 짰고, 이를 위해 기술 개발→진입 장벽 높이기 전략을 사용했다. 즉 공격적인 R&D 전략으로 포인트 모바일만의 기술을 확보한 뒤 이를 바탕으로 제품을 지속적으로 리뉴얼해 다른 국가 업체들이 쉽게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고, 한 번 계약을 맺은 국가들과 끝까지 관계를 유지해 나가는 방식이다.


2.1.3. 해외 진출 성공 요인

포인트 모바일의 해외 진출 성공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품질과 내구성에 있어 타협하지 않는 사업철학을 가지고 있다. 포인트 모바일은 일반 스마트폰과 달리 험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산업용 PDA의 특성상 내구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영하 20도에서 3시간 이상 냉각시킨 제품을 1.8m 높이에서 수십 차례 낙하시키는 엄격한 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혹한뿐만 아니라 실온(22도)과 고온(50도) 환경에서도 동일한 검사를 거친 제품만을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다. 또한 산업용 PDA 시장을 분석하여 분야별, 지역별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둘째, 창업 시작부터 해외 시장 공략을 염두에 두고 적극적으로 수출 포트폴리오 전략을 짰다. 포인트 모바일은 기술 개발을 통해 자사만의 기술을 확보한 뒤 이를 바탕으로 제품을 지속적으로 리뉴얼하여 다른 국가의 업체들이 쉽게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전략을 구사하였다. 또한 국가별, 지역별 특성에 맞는 제품을 개발하는 등 세분화된 전략을 통해 해외 시장에 진출하고자 노력하였다. 실제로 포인트 모바일의 전체 매출 대비 수출 비중은 85%에 이르며, R&D 비용도 40억 원에 달한다.

셋째, 자율출퇴근제로 직원 사기 증진에 힘써왔다. 포인트 모바일은 중소기업에서 도입하기 힘든 자율출퇴근제를 설립 초기부터 도입하여 직원들의 사기 증진에 힘써왔다. 이러한 자율출퇴근제와 함께 당기순이익의 10%를 전 직원에게 인센티브로 지급하는 등의 노력으로 직원들의 애사심과 사기 증진을 이끌어냈다.


2.1.4. 기업 성과

포인트 모바일의 기업 성과는 다음과 같다.

포인트 모바일의 순이익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4년에는 25억 6200만원, 2015년에는 45억 5900만원, 2016년에는 46억 6200만원으로 증가하였다. 자본총계 또한 2014년 118억 9700만원에서 2015년 165억 3200만원, 2016년 204억 4700만원으로 지속적으로 늘어났다. 매출액 또한 2014년 290억 7300만원, 2015년 363억 1200만원, 2016년 382억 9800만원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이를 통해 포인트 ...


참고 자료

싸이월드, 日 SNS에 밀려 결국 철수”, 아시아경제, 2022년 9월 6일 접속,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034847
싸이월드 미국.대만 서비스 철수”, 한국경제신문, 2022년 9월 6일 접속,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09110614468
싸이월드’ 인터넷서비스 분야 최초 미국 진출”, 쿠키뉴스, 2022년 9월 6일 접속,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43/0000035958?sid=105
포인트 모바일 홈페이지
사람in, 포인트 모바일
워크넷-청년 친화 강소기업 현장 탐방기 ; 포인트 모바일 탐방기
YTN, 강소기업이 힘이다(2017), 산업용 PDA로 전 세계를 스캔하다, 포인트모바일-92회
첨단 헬로티(2018), 포인트 모바일, 국내 기업 최초 기업용 스마트폰 ‘PM45’ 내놔 2018.04.03
LG공식 홈페이지, LG - Innovation for a Better Life
박에스더 박혜주 조혜정 정무섭, LG전자 스마트폰 사업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관련 사례 연구 논문, 2015.08
글로벌 경제신문, LG전자 스마트폰,중국서 실패한 이유...'상품,마케팅',2017.03.27
강범, "중국진출 다국적기업의 현지화 전략에 관한 연구 : LG전자를 중심으로", 강남 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14.06
양연, “스마트폰업 서비스 품질과 제품 이미지가 고객만족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토종 스마트폰 브랜드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17.02
송해녕, “중국소비자의 스마트폰의 가치, 위험, 만족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무역학과 석사 학위 논문, 2015
kotra 해외시장뉴스(2016), 중국 대표기업으로 부상 중인 화웨이, 그 비결은?, 김성애 중국 베이징무역관, 2016.08.09.
이데일리(2018), LG전자, 스마트폰 사후지원 강화.."한 번 고객은 끝까지", 2018.03.20.
한국일보(2016), [베트남 특집] LG기업, 이젠 ‘베트남 국민기업’ 위상…세계 겨냥한 생산기지로 도약, 2016.10.30.
중국 까르푸 성공 비결... 철저한 현지화, 최밍키. EBN, 2011.06.27.
중국 유통업계 외자 잔혹사...쑤닝에 팔린 까르푸, 이데일리, 2019.06.25.
까르푸가 중국에서 장렬하게 실패한 이유, 중앙일보, 2019.07.12.
까르푸도 철수...중국은 글로벌 유통사의 무덤, 이성훈, 조선비즈, 2019.06.25.
까르푸, 중국서 통한 이유는 현지화, 뉴데일리 경제, 2011.06.28.
알리바바에 밀린 까르푸, 결국 중국 철수, 한국경제, 2019.06.24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