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서안사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안사변
1.1. 서안사변의 배경
1.2. 서안사변의 발발
1.3. 서안사변의 평화적 해결과 제2차 국공합작
1.4. 서안사변의 한계 및 의의
2. 국공합작의 역사
2.1. 제1차 국공합작
2.2. 제2차 국공합작
2.3. 국공합작의 결렬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안사변
1.1. 서안사변의 배경
서안사변의 배경은 일본의 중국 침략과 이에 대한 국민당의 대응이었다. 일본은 1931년 만주사변을 일으켜 만주를 장악한 데 이어 1933년에는 화북지역의 열하를 침공하였다. 이에 중국 국민당의 장개석은 "선안내 후양외(先安內 後攘外)" 정책을 펼쳐 공산당 토벌에 주력하였다.
한편 일본의 중국 침략에 맞서 중국 내에서는 항일운동이 활발히 일어났다. 독서회, 음악회, 행군, 야영, 거리극 등의 다양한 형태로 12.9학생운동이 전개되었고, 이를 주도한 지식인들이 체포되기도 하였다. 또한 화북지역의 자치운동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높아졌다.
이렇듯 일본의 중국 침략과 국민당의 대응이 서안사변의 배경이 되었다. 장개석은 여전히 공산당 토벌에 주력하였지만, 동북군 출신인 장학량은 일치항일에 앞장서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발발한 서안사변은 결국 국민당과 공산당의 제2차 국공합작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1.2. 서안사변의 발발
1936년 12월 12일 새벽 6시경, 장학량과 양호성의 부대가 서안 시내에 위치한 장개석 수행원 숙소와 중앙정부요인 숙소를 포위했다. 중앙정부 기관과 국민당지부에서는 약간의 저항이 있었으나, 곧 진압되었다. 그리고 임동현성에서는 장학량의 명령을 받은 당군요(唐君堯)의 부대가 화청지 주변을 둘러싸고 있었다. 그리고 손명구(孫銘九)의 신호에 따라 당개요는 화청지를 공격하고 장개석을 찾았다. 장개석은 잠옷 바람으로 담을 넘어 화청지 뒤에 위치한 여산(驪山)으로 도주했지만, 날이 밝은 뒤에 발각되어 체포되고 말았다. 체포된 장개석은 장학량이 기다리고 있는 동북군사령부로 옮겨졌다. 오전 중에 서안은 양호성의 서북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장개석의 호위병들도 일망타진되었다. 장학량은 동북군사령부로 끌려온 장개석을 만나 자신의 입장과 주장을 내세웠고, 장개석과 설전을 벌였다. 그리고 이어서 장개석은 양호성의 공관인 신성대루(新城大樓)로 옮겨져, 감금생활에 들어갔다. 장학량과 양호성은 공동 기자 회견 석상에서 '중국 국민에게 보내는 통전(通電)'을 발표하고, 장개석의 구금을 공식적으로 알렸다.
1.3. 서안사변의 평화적 해결과 제2차 국공합작
서안사변의 평화적 해결과 제2차 국공합작은 당시 중국에서 매우 중요한 사건이었다. 장학량과 양호성이 장개석을 체포한 서안사변은 국민당과 공산당 간의 심각한 내전 ...
참고 자료
『서안반월기(西安半月記)』
『서안사변회상록(西安事變回想錄)』
『서안사변참회록(西安事變懺悔錄)』
나가노 히로무 著, 천이두 譯, 『서안사변』, 일월서각, 1982.
요코야마 히로아키 著, 박종현 譯, 『중화민국사』, 신서원, 2000.
유신순 著, 신승화 外 譯, 『만주사변기의 중일 외교사』, 고려원, 1994.
조일문, 『서안사변과 장학량』, 건국대학교출판부, 1996.
진지양 著, 박준수 譯, 『군신정권』, 고려원, 1993.
송한용, 「장학량정권연구(1928-1931)」, 학위논문(박사),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8.
한희정, 「서안사변의 배경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석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1.
1. 이승우, 1993, 제2차 국공합작의 성립배경, 영남대 대학원.
2. 서울대학교동양사학연구실 편, 백영서, 1989, 「제2차 국공합작의 성립과정과 그 의의」,『강좌중국사 Ⅶ』, 지식산업사.
3. 이춘식, 1991, 중국사서설, 교보문고.
-공용, 2021, 세계의역사, 두 차례에 걸친 중국 국공합작의 과정 일본 도쿠가와 막부의 성격과 전개과정
-나종석, 2009, 연세대 철학연구소, 세계의 민주주의
-마이스너, 모리스 2004, 마오의 중국과 그 이후 1권, 이산.
-몰리뉴, 존 2005, 고전 마르크스주의 전통은 무엇인가, 책갈피.
-문영찬 2020, 통일전선 전술의 현재적 의미, 노동사회과학 2호.
-아이작, 해럴드 로버트 2016, 중국 혁명의 비극, 숨쉬는책공장.
-허석원, 2018, 오피이언, 자유성, 좌파-우파
-존 줄리어스 노리치, 2014, 바다출판, 교황연대기